2024년 4월 27일 (토)
(백) 부활 제4주간 토요일 나를 본 사람은 곧 아버지를 뵌 것이다.

성극ㅣ영화ㅣ예술

도서칼럼: 도서 깊이 뿌리내린 - 화해와 평화를 꿈꾸며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23-04-16 ㅣ No.66

[도서칼럼] 도서 ‘깊이 뿌리내린’


화해와 평화를 꿈꾸며

 

 

독일과 프랑스는 어떻게 화해해서 유럽연합의 중심이 될 수 있었을까? 유럽에서 얼마 지내보니 더 와닿게 된 물음이었습니다. 두 국가는 1871년 보불전쟁부터 제1차, 2차 세계대전까지 끔찍한 전쟁을 세 차례나 치른 ‘원수’였습니다. 그런데 1951년 유럽석탄철강공동체로부터 시작해서 유럽경제공동체를 거쳐서 형성된 오늘날 유럽연합의 가장 중심이 되는 국가가 바로 독일과 프랑스입니다. 이 둘의 화해와 연대가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그래서 유럽의 여러 동료들과 이야기해보았습니다. 다양한 답변을 들었는데,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첫째, 역사 인식. 독일은 역사적 반성을 했고, 독일과 프랑스는 ‘더 이상 전쟁은 안 된다’는 데 공감했습니다. 적대감을 넘어 상생해야 한다는 역사적 과제를 인식한 것이죠. 역사에서 배우지 못하는 나라는 같은 잘못을 반복할 것입니다.

 

둘째, 문화적 토양. 프랑스와 독일의 협력에는 용서와 화해라는 에토스, 즉 공동체적 정신을 빼놓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바로 그리스도교에 바탕을 둔 유럽의 문화적 토양이죠.

 

마지막으로 정치 지도자의 역할. 프랑스의 로베르 쉬망과 독일의 아데나워와 같은 이들의 활약이 중요했습니다. 1950년 5월 9일 ‘쉬망 선언’은 인상적이었습니다. 전쟁 방지와 세계 평화에 대한 독일과 프랑스의 비전은 물론이며, 초국가적인 기구 설치, 아프리카의 발전 도모, 하나의 유럽을 만든다는 계획을 담고 있었습니다. 흥미롭게도 쉬망의 보편주의적 비전은 가톨릭 세계관에 바탕을 두고 있었고, 그는 유럽연합의 아버지로 불립니다.

 

유럽연합에 대한 물음 이면에는 ‘동아시아 평화는 어떻게 해야 가능한가?’라는 물음이 제게 있었습니다. 물론 현실적인 어려움이 먼저 떠오릅니다. 일본의 역사 반성은 독일과 다릅니다. 동아시아의 민족주의뿐 아니라 미·중의 패권 경쟁은 화해와 평화 건설보다 진영 논리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추세가 지속된다면 신뢰와 복지는 줄고 군비는 늘어나는 미래를 후손에게 남기게 될 것입니다. 모두가 원하지 않는 미래입니다. 쉬망 같은 정치 지도자가 어딘가에 있을까요? 국가 경쟁을 넘어서 화해와 평화라는 에토스나 사랑과 자비라는 종교적 전통을 발전시키는 노력이 대중적으로 확산될 수 있을까요? 이런 측면에서 교회는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까요? 지도자에게만 기대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평신도의 사회적 사명이 중요합니다.

 

쉬망을 소개하는 책이 『깊이 뿌리내린: 로베르 쉬망의 잊혀진 비전』이란 제목으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유럽의 그리스도교적 전통이 망각되는 것을 우려하며 개신교 입장에서 쓴 책입니다. 쉬망이 가톨릭 신앙과 사회관을 어떻게 공적인 삶에서 실천했는가 엿볼 수 있습니다. 안중근 토마스의 『동양평화론』이나 『현대 세계의 교회에 관한 사목 헌장(기쁨과 희망)』이라는 공의회 문헌도 좋을 것 같습니다. 쉬망은 2021년 가경자로 선포되면서 시복시성의 길이 열렸습니다. 그는 정치를 하느님 뜻에 따르는 소명과 봉사로 여기고 살아간 평신도의 모델입니다.

 

[2023년 4월 16일(가해) 부활 제2주일(하느님의 자비 주일) 서울주보 7면, 김우선 데니스 신부(예수회, 서강대학교 교수)]



126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