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9일 (목)
(백) 부활 제6주간 목요일 너희가 근심하겠지만, 그러나 너희의 근심은 기쁨으로 바뀔 것이다.

성인ㅣ순교자ㅣ성지

[순교자] 시복 대상자 약전: 오이근 에우제니오 수사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15-11-12 ㅣ No.1520

[시복 대상자 약전] 오이근 에우제니오 수사


 

덕원 수도원, 1885년 9월 17일 생, 독일 뮌헨 대교구 출신
세례명 : 미카엘
첫서원 : 1907년 2월 3일
한국 파견 : 1912년 9월 12일
소임 : 농장 담당
체포 일자 및 장소 : 1949년 5월 11일, 덕원 수도원
순교 일자 및 장소 : 1949년 9월 14일, 옥사덕 수용소


오이근 에우제니오(Eugen Ostermeier, 吳利根, 1885-1949)는 1885년 9월 17일, 독일 뮌헨(Munchen)에서 농부였던 아버지 요셉(Josef)과 어머니 크레스첸시아(Kreszentia) 사이에서 태어나 미카엘이라는 이름으로 세례받았다. 그는 도나우뵈르트(Donauworth)와 뮌헨에서 김나지움을 다니다 4학년을 마치고 학업을 중단했다. 상점 점원으로 일하던 그는 1904년 말, 상트 오틸리엔(St. Ottilien) 수도원에 입회를 청원했다. 본당신부의 추천서에는 그가 매우 독실한 가톨릭 가정 출신이라고 소개되어 있다. 그는 에우제니오라는 수도명을 받고 수련을 시작했으며, 1907년 2월 3일에 첫서원을 하고, 1910년 2월 3일에 종신서원을 했다.

1912년 9월 1일, 수도원 농장에서 소임을 하던 오 에우제니오 수사는 한국으로 선교 파견되었다. 그는 카예타노 피어하우스(Cajetan Vierhaus, 河, 1868?1936) 신부와 함께 시베리아 횡단열차를 타고 같은 해 11월 16일, 서울에 도착했다. 그는 수려한 문장으로 러시아를 가로지르는 대장정에 관한 아름다운 여행 보고서를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 선교잡지에 남겼으나, 그 후 수십년간 한국에서 펼친 자신의 선교활동에 대해서는 단 한줄도 기록하지 않았다. 그는 서울 백동 수도원에서 운영하던 숭공학교 원예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유럽에서 일어난 제1차 세계대전이 동아시아로 번지자, 1914년 8월초, 그는 세 명의 동료 수사와 함께 징집되어 중국의 독일 보호령인 청도(靑島)로 가서 위생병으로 복무했다. 같은 해 11월 7일, 청도가 일본군에게 함락되었을 때 용케 포로 신세를 모면한 그는 두 달 후 수도복 차림으로 수도원으로 돌아와 수도형제들을 놀라게 했다.

- 포도밭을 가꾸는 오 에우제니오 수사


청도에서 돌아온 오 에우제니오 수사는 수도원 비탈에 포도밭을 일구었고 몇 차례 시도 끝에 미사주를 만들어냈다. 당시 미사주는 미국에서 수입했는데 재정적 부담이 만만치 않았다. 그는 다양한 품종의 포도들을 시험 재배하면서 한국 땅에 맞는 품종을 찾아냈다. 1921년, 숭공학교 목공부와 철공부 수사들이 포도 압착기를 만들어 주자 그는 포도주를 대량생산하기 시작했다. 당시 수도원 연대기는 “1922년 말, 현재 미사주 재고는 3년간 충분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1920년, 원산 대목구가 설정되어 서울 백동 수도원에 선교활동이 위임되었을 때 수도형제들의 대부분이 새로운 선교지에 투입되었으나 그는 포도밭 때문에 계속 수도원을 지켰다. 수도원 연대기는 그의 놀라운 성과를 다음과 같이 보고한다. “총 200젠트너(10톤)의 포도를 수확했고, 1927년 1월에 들어설 때까지 종종 후식으로 신선한 포도를 맛보았다. 다양한 시도 끝에 독일식 리즐링 포도주뿐 아니라 머스캣 포도주와 각종 프랑스식 포도주도 손색이 없음이 입증되었다.”

 

1929년 봄, 오 에우제니오 수사는 보니파시오 사우어(Bonifaz Sauer, 辛上院, 1877-1950) 주교 아빠스의 지시를 받고 독일로 돌아가 머물면서 덕원 수도원 성당 건축 기금을 모금했다. 장상이 선교활동 홍보사업을 맡길만큼 그의 언변은 뛰어났다. 1930년 10월 30일, 에우제니오 수사는 새로 선교파견된 수사들과 함께 한국으로 돌아왔다. 그는 잠시 연길 지목구 돈화 본당에 파견되었다가 덕원 수도원으로 돌아왔다. 1931년 6월, 그는 청진 본당으로 파견되었는데 그곳에서 그의 또다른 재능이 빛을 발했다. 청진 본당 주임인 마르코 바인거(Markus Bainger, 方仁建, 1891-1945) 신부의 보고에 따르면 그는 목수일을 하며 제의방과 사랑채를 지었다. 그는 건축분야에도 이미 일가를 이루고 있었다. 이후 그는 건축일을 도우러 여러 본당으로 파견되었다. 1932년에는 영흥으로 가서 언덕을 깎아 새 성당이 들어설 자리를 마련했으며, 고산에서는 툿찡 포교 베네딕도 수녀회 원산 수녀원 수녀들이 첫분원으로 쓸 작은 건물을 지었다. 그리고 1933년에는 북간도로 영역을 넓혀 용정 본당에 가서 정원을 만들기도 했다. 물론 그 사이에 덕원 수도원에 새로운 포도밭을 일구고 미사주의 생산량 증가와 품질 향상에도 힘썼다. 1939년 8월, 보니파시오 사우어 주교 아빠스는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에 그가 더 이상 일을 못하므로 젊은 포도 재배 전문가를 보내달라고 청하는 편지를 보냈다. 그러나 그의 후계자가 한국에 왔다는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1946년까지 그는 수도원 포도밭에서 미사주를 생산하여 한국 전역에 공급했다.

 

- 청진 성당 봉헌식(1931년, 청진)

 

 

제2차 세계대전과 일본의 탄압으로 질식할 것 같은 시절을 보내고 해방을 맞이했으나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1946년 3월, 토지개혁으로 수도원 포도밭은 사라졌고 포도 압착장도 가동이 멈추었다. 그러다가 1948년, 국영 조합의 위탁으로 다시 가동되었으나 포도주 생산은 수도원에 범죄 혐의를 뒤집어 씌우는 빌미가 되었다. 다고베르트 엥크(Dagobert Enk, 嚴光豪, 1907-1950) 당가 신부가 1948년 12월 1일, 밀주 제조 혐의로 체포되어 원산 내무서로 압송되었다. 1949년 5월 11일, 덕원 수도원이 정치보위부원들에 의해 폐쇄되었다. 그는 수도형제들과 함께 체포된 후 평양 교화소로 압송되었다가 자강도 전천군에 있는 옥사덕 수용소로 옮겨졌다. 64세의 고령인 그는 강제수용소의 고된 노동을 감당하지 못했다. 그런데도 공동체를 위해 뭐라도 해야겠다고 싶었는지, 마을을 가로지르는 실개천에서 사금을 찾는다며 사금 채취용 체를 만들었다. 그러는 동안 그의 장 질환이 급속히 악화되어 체력이 급격히 떨어지고 눈에 띄게 초췌해졌다. 그가 임종하기 이틀 전, 수용소에 함께 수감된 원산 수녀원 수녀들이 그가 누워 있는 방 앞에서 성모성가를 불러 잠시나마 그를 기쁘게 했다. 1949년 9월 14일, 성 십자가 축일에 그는 하느님 아버지 품에 안겼고 이틀 뒤 먼저 세상을 떠난 수도형제들의 무덤 옆에 안장되었다.

* 자료 출처 Todesanzeige(상트 오틸리엔 수도원), Necrologium(왜관 수도원), 芬道通史(분도출판사, 2010년), 덕원의 순교자들(분도출판사, 2012년)

[성 베네딕도회 왜관 수도원 계간지 분도, 2015년 여름호(Vol. 30)]



2,769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