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8일 (금)
(홍) 성 이레네오 주교 학자 순교자 기념일 주님께서는 하고자 하시면 저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ㅣ순교자ㅣ성지

[성지] 시복결정 124위 순교지 29곳을 가다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14-04-07 ㅣ No.1248

시복결정 124위 순교지를 가다


124위 순교 영성 깃든 성지 찾아 순교 신심 키우고 깊이 새겨



오는 8월 시복될 124위 순교지는 총 29곳에 이른다. 이를 관구별로 보면, 서울관구가 서울대교구 5곳(38위), 춘천교구 1곳(1위), 대전교구 7곳(13위), 수원교구 4곳(11위), 원주교구 1곳(3위) 등 5개 교구 18곳(66위)으로 가장 많다. 대구관구는 대구대교구 1곳(19위), 부산교구 2곳(5위), 마산교구 3곳(4위), 청주교구 1곳(5위), 안동교구 1곳(1위)으로 전체 8곳(34위)이다. 광주관구는 전주교구 3곳(24위)뿐이다.

이를 관구별로 나눠 124위 순교자들의 순교지를 조명하게 된 것은 오는 8월 시복을 앞두고 더 많은 신자들이 124위가 순교한 성지 순례에 함께함으로써 순교신심을 내면화하고 이를 신앙 실천에 이르도록 하기 위해서다. 다음은 관구별 순교지 소개다.

 

 

서울관구


◇ 서울대교구

△ 서소문 밖=124위 중 최창현(요한)ㆍ정약종(아우구스티노)ㆍ정철상(가롤로)ㆍ강완숙(골룸바)ㆍ이경도(가롤로)ㆍ홍익만(안토니오) 등 25위(20.16%)가 서소문 밖에서 순교했다. 관변기록에 순교지가 서울로만 표기돼 있지만, 경기도 양근의 조숙(베드로)ㆍ권천례(데레사) 동정부부 또한 서소문 밖에서 순교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게 교회사학자들의 추정이다. 서소문 순교성지에선 이미 성인이 44위 탄생했다. 서울 중구 칠패로 5(중구 의주로2가 16). 문의 : 02-312-5220(중림동약현성당 서소문순교성지 전시관)

△ 새남터=124위 중 유일한 외국인 순교자인 주문모(야고보) 신부는 새남터에서 군문효수를 당했다. 서울시 용산구 이촌로 80-8(이촌2동 199-1). 문의 : 02-716-1791(새남터성지)

△ 포도청=윤유일(바오로)ㆍ최인길(마티아)ㆍ지황(사바)ㆍ심아기(바르바라)ㆍ김이우(바르나바) 등 5위에 이른다. 순교성인도 22위나 돼 관할 본당인 종로본당에선 포도청순교자현양관을 통해 성인과 하느님의 종의 순교신심을 전해주고 있다. 서울시 종로구 동순라길 8(인의동 167). 문의 : 02-765-6101(종로성당)

△ 당고개='모진 육정을 극복한 위대한 어머니' 이성례(마리아)가 순교한 성지다. 당고개성지에선 이미 9위의 성인이 탄생했다.서울 용산구 청파로 139-26(용산구 신계동 56). 문의 : 02-711-0933(당고개 순교성지)

△ 경기감영=경기도 관찰사가 관장했던 경기 감영(監營)에선 '옥중 세례자'로 널리 알려진 조용삼(베드로)이 옥사했다. 현재의 적십자병원이다.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 9(평동164). 문의 : 02-2269-0414(서울대교구 순교자현양회 현양분과)

이 밖에도 충청도 충주에서 끌려온 송 베네딕토와 송 베드로, 인천에서 끌려온 이 안나가 각각 한양에서 순교했다고 기록돼 있지만, 정확한 순교 위치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 춘천교구

△ 포천=경기도 포천에선 홍교만(프란치스코 하비에르)의 아들 홍인(레오)가 순교했다. 원래 한양에서 살아가 포천으로 이주, 포천 복음화에 기여했으나 1801년 신유박해 당시 체포돼 포천 형방과 경기감영, 포도청을 거쳐 다시 포천으로 돌아와 현재의 포천경찰서 인근 한내천변에서 참수됐다. 경기도 포천시 왕방로 191(신읍동 138-32). 문의 : 031-534-0057(포천성당)


◇ 대전교구

△ 홍주=원시장(베드로)ㆍ방 프란치스코ㆍ박취득(라우렌시오)ㆍ황일광(시몬)이 순교했다. 홍주 최초의 순교자 원시장이 천주교에 입교해 3년간 예비자로서 복음을 선포함으로써 '예비신자들의 모범 성지'로 떠올랐으며, 그는 1791년 신해박해 때 옥에서 세례를 받고 매를 맞다가 관장의 명령에 따라 동사했다. 충남 홍성군 홍성읍 아문길 37-1(오관리 110-6). 문의 : 041-633-2402(홍주순교성지)

△ 해미=인언민(마르티노)ㆍ이보현(프란치스코)ㆍ김진후(비오)가 순교했다. 김진후는 김대건 신부의 증조부다.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생매장당한 순교자들의 터를 보존하고 있는 곳으로, 성지 안에 순교자들의 유해를 모시고 있다. 충남 서산시 해미면 성지1로 13(읍내리 274-10). 문의 : 041-688-3183(해미순교성지)

△ 공주=이국승(베드로)ㆍ김원중(스테파노)이 순교했다. 충남 공주시 왕릉로 118(금성동 6-1번지). 문의 : 041-854-6321(황새바위성지)

△ 정산=「정산일기(定山日記)」의 주인공 이도기(바오로) 순교지로, 순교 터는 현재의 정산면사무소다. 충남 청양군 정산면 칠갑산로 1857(서정리 496-1). 문의 : 041-943-8123(청양 다락골성지)

△ 예산=예산 여사울 면장 출신의 김광옥(안드레아)은 예산 장터 우시장에서 순교했다. 현재의 충남 예산군 예산읍 형제고개로954번길(대회리). 문의 : 041-741-4443(예산성당)
 
△ 대흥=김광옥과 함께 청주, 한양을 거쳐 대흥으로 보내진 김정득(베드로)는 대흥 읍내에서 순교하였다. 충남 예산군 대흥면 의좋은형제길 37(동서리 106-1) 대흥면사무소. 문의 : 041-331-1924(응봉성당)
 
△ 덕산=내포 회장이던 정산필(베드로)은 덕산 관아에서 순교했다. 관아 터에는 현재 덕산초등학교가 자리하고 있다. 충남 예산군 덕산면 예덕로 33-13(읍내리 348-1) 덕산초등학교. 문의: 041-337-4355(덕산성당)


◇ 수원교구
 
△ 양근=윤유오(야고보)ㆍ윤점혜(아가타)ㆍ권상문(세바스티아노) 등 3위가 순교했다.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물안개공원길 37(오빈리 173-2). 문의 : 031-775-3357(양근성지)

△ 여주=최창주(마르첼리노)ㆍ이중배(마르티노)ㆍ원경도(요한)ㆍ정순매(바르바라)ㆍ정광수(바르나바) 등 5위가 순교했다. 이들이 피를 흘린 곳으로 전해지는 순교지 여주 관아 남문 밖이다. 여주본당은 2009년 6월 이들이 순교한 곳으로 추정되는 현장에 가로 150㎝에 세로 70㎝, 높이 220㎝ 크기 '여주 순교자 현양비'를 세웠다. 현재의 여주읍 홍문리 48-7 비각거리다. 경기도 여주시 우암로 5(여주읍 하리 215). 문의 : 031-885-2031(여주성당)

△ 죽산=박경진(프란치스코)과 오 마르가리타 등 2위가 순교했다. 순교지를 관할하는 죽산성지에선 최근 시복이 결정된 2위가 순교한 죽산도호부 터 시유지 82.64㎡(25평)에 대한 사용허가를 받아 현양비를 세우기로 했다.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종배길 115(죽림리 703-6). 문의 : 031-676-6701(죽산순교성지)

△ 남한산성=충청도 홍주(현 홍성) 출신 한덕운(토마스)가 순교했다.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남한산성로 763-58(산성리446). 문의 : 031-749-8522~3(남한산성성지)


◇ 원주교구

△ 강원감영=김강이(시몬)ㆍ최 비르지타 등 2위는 감영 내 옥사에서 순교했고, 최해성(요한)는 감영 인근에서 참수됐다. 강원감영 터는 강원도 원주시 원일로 85(일산동 54-1). 문의 : 042-765-4224(교구 사목국)ㆍ4225(교구 홍보부)


대구관구

◇ 대구대교구

△ 관덕정=김희성(프란치스코)ㆍ구성열(바르바라)ㆍ김사건(안드레아) 등 10위가 참수됐다. 103위 성인 중 이윤일(요한) 성인의 순교지이기도 하다. 대구광역시 중구 관덕정길 11(남산 2동 938-19번지). 문의: 053-254-0151(관덕정순교성지)


◇ 부산교구

△ 수영 장대골 순교성지=동래부 동헌은 대부ㆍ대자 관계인 이정식(요한)ㆍ양재헌(마르티노)이 사형선고를 받은 곳으로, 이들은 수영 장대로 끌려가 십자성호를 긋고 칼을 받았다.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4동 566(수영 장대골 순교성지). 문의: 051-756-3351(광안성당)

△ 울산=허인백(야고보)ㆍ김종륜(루카)ㆍ이양등(베드로)은 울산 장대벌에서 군문효수형을 받아 순교했다. 이 자리에는 3월 15일에 울산병영 순교성지성당이 축성됐고, 매주 월~토요일 오전 11시에 미사를 봉헌한다. 울산광역시 중구 외솔큰길 241(남외동 567). 문의: 052-294-3993(병영성당)


◇ 청주교구

△ 청주=청주시 중앙공원 일대에 있는 청주병영은 원시보(야고보)ㆍ배관겸(프란치스코)이 장사한 순교지다. 공원 남쪽에는 청주교구민들이 뜻을 모아 세운 순교자 현양비가 있다. 충북 청주시 상당구 상당로55번길 33(남문로 2가 92-1) 중앙공원 일대. 문의: 043-252-6984(서운동성당)


◇ 마산교구

△ 진주옥터=정찬문(안토니오)ㆍ윤봉문(요셉)이 순교한 진주 옥터에는 현재 시장이 들어서 있다. 경남 진주시 진양호로547번길 8-1(대안동 8-600). 문의: 055-741-2442(옥봉성당)

△ 함안=구한선(타대오)는 석방돼 집으로 돌아왔으나, 고문으로 맞은 장이 화근이 돼 순교했다. 여러 증언을 토대로 찾은 순교자의 유해는 1976년 현재의 가등산 묘역으로 이장했다. 경남 함안군 대산면 고원길(평림리 733-1). 문의: 055-582-8041(대산성당)

△ 통영='제주의 사도' 김기량(펠릭스 베드로)는 통제영 옥터에서 교수형을 당한 뒤 가슴에 대못이 박혀 순교했다. 현재는 세병관만 남고 모두 헐렸으며, 옥터는 세병관 아래에 있다. 경상남도 통영시 세병로 27(문화동 62). 문의: 055-645-3336(태평동성당)


◇ 안동교구

△ 상주=아전을 다녀 교우의 어려운 일을 도운 박상근(마티아)는 상주관아의 옥중에서 목이 졸려 순교했다. 남문시장 근처에 터가 남아있다. 경상북도 상주시 성동로 17(성동동 632-1 상주남문청과). 문의 : 054-531-1784(남성동성당)


광주관구

◇ 전주교구

△ 전주 풍남문=윤지충(바오로)ㆍ권상연(야고보)ㆍ유항검(아우구스티노) 등 3위가 순교했다.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동성당길 54(완산구 전동 1-1). 문의 : 063-284-3222(전동성당)

△ 전주 감옥터=124위 중 유중철(요한)ㆍ유문석(요한)ㆍ이경언(바오로) 등 10위가 순교했다. 감옥터는 현재 남부종합병원(전 전북도청) 왼쪽 주차장 자리다. 전북 전주시 완산구 현무1길 20(경원동3가 14-2). 문의 : 063-284-3222(전동성당)

△ 전주 숲정이성지=이순이(루갈다)ㆍ유중성(마태오)ㆍ신태보(베드로) 등 7위가 순교했다. 이순이와 유중철(요한) 동정 부부의 얘기는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전북 덕진구 진북 2동 1034-13. 문의 : 063-255-2677(숲정이 안내실)

△ 전주감영 등지=김천애(안드레아)는 신유박해 때 체포돼 전주 감영으로 압송, 참수형을 받고 순교했다. 윤지헌(프란치스코)도 신유박해 때 체포, 한양으로 압송돼 의금부에서 마지막 문초를 받은 뒤 전주로 이송돼 1801년 10월 24일 능지처사형을 받고 순교했다.

△ 김제=김제 동헌에서는 호남의 사도 유항검의 자녀들을 가르쳤던 한정흠(스타니슬라오)이 참수형을 받았다. 형장터는 현재 김제초등학교 주변으로 추정된다. 전라북도 김제시 동헌4길 46-1(교동 7-3). 문의: 063-544-0151(요촌성당)

△ 고창=전라 교회 지도층이던 최여겸(마티아)은 개갑장터에서 참수를 당했다. 2004년 고창향토문화유산 제1호로 지정된 개갑장터는 지난해 최여겸 순교성지로 축복됐다.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석교리 198. 문의: 063-563-1782(고창성당)

[평화신문, 2014년 4월 6일,
오세택 기자, 김유리 기자, 백슬기 기자]



1,569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