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9일 (토)
(홍)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너는 베드로이다.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성인ㅣ순교자ㅣ성지

[순교자] 하느님의 종 증거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 약전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10-12-11 ㅣ No.883

‘하느님의 종’ 증거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1821-1861년)



생과 성장

최양업(崔良業) 토마스 신부는 1821년 3월, 충청남도 청양의 다락골 인근에 있는 새터 교우촌에서 최경환 프란치스코 성인과 순교자 이성례 마리아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최양업 토마스 신부는 박해를 피해 이곳저곳을 옮겨 다니던 부친을 따라다니다가 경기도 부평을 거쳐 안양에 있는 수리산으로 이주하여 살았다. 이 수리산 마을은 그 뒤 신자들이 하나둘 모여들면서 비밀 신앙 공동체로 변모하였다.

이에 앞서, 조선 대목구의 전교를 위임받은 파리 외방 전교회에서는 선교사들을 조선으로 파견하려고 여러 가지로 노력하고 있었다. 그러나 국경 감시가 심한 데다가 박해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었으므로, 서양 선교사가 조선에 들어가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이 난관을 극복하고 처음으로 조선에 입국한 선교사는 프랑스 출신의 성 모방 베드로 신부였다.

1835년 말, 조선 천주교회에서 파견한 밀사들의 안내로 입국한 모방 신부는 곧바로 전국의 신앙 공동체들을 순회하기 시작하였고, 이듬해 초에는 부평에 있는 최경환 프란치스코의 집을 방문하였다. 그리고 이곳에서 장래가 촉망되는 최양업 토마스를 한국의 첫 신학생으로 선발하였으니, 당시 그의 나이는 15세였다.

신학생으로 선발된 최양업 토마스는 1836년 2월 6일 서울의 모방 신부 댁에 도착하여 라틴어 수업을 받았다. 이어서 모방 신부가 신학생으로 간택한 최방제 프란치스코가 3월 14일에, 김대건 안드레아가 7월 11일에 각각 도착하여 함께 생활하였다.


마카오 유학과 부제 서품

최 토마스는 1836년 12월 2일, 동료 신학생들과 함께 성경에 손을 얹고 순명을 서약하고, 다음 날 마카오 유학길에 올랐다. 그리하여 중국 대륙을 남하하여 다음 해 6월 7일 마카오에 있던 파리 외방 전교회 극동 대표부에 도착하였으며, 이때부터 그곳에 임시로 설립된 신학교에서 공부를 시작하였다.

마카오에서의 유학 생활은 1842년까지 계속되었는데, 1837년 11월에는 동료인 최방제 프란치스코가 열병으로 사망하는 아픔을 겪었고, 1839년에는 마카오의 소요 때문에 필리핀의 마닐라로 장소를 옮겨 수업을 받아야만 했다. 그러다가 같은 해 말에 마카오로 돌아왔다.

그러나 신학생 최 토마스는 아직 공부가 끝나기도 전인 1842년 4월에 마카오를 떠나게 되었다. 한국과 통상 조약을 원하는 프랑스 함대에서 통역자를 필요로 했기 때문이다. 이때 극동 대표부의 장상인 리브와(Libois) 나폴레옹 신부는 박해로 끊어진 조선 천주교회와 연락을 기대하고 최 토마스와 김 안드레아를 각각 다른 프랑스 함대에 승선토록 하였다. 그러나 프랑스 함대가 남경에 도착한 다음에 더 이상의 북진을 원하지 않게 되자, 최 토마스와 김 안드레아는 프랑스 함대에서 내려 요동으로 가게 되었다. 조선으로 들어가고자 입국로를 탐색하기 위해서였다.

이후 최양업 토마스는 만주의 소팔가자로 거처를 옮겨 조선 대목구의 부주교인 페레올(Ferreol) 요한 주교에게 계속 수업을 받았고, 1843년에는 리브와 신부를 통해 프랑스 파리의 무염 성모 성심회에 가입하였다. 그러던 가운데 조국에서 일어난 박해와 순교자들의 소식을 들었다. 이때 그는 프랑스로 귀국해 있던 스승 르그레즈와(Legregeois) 베드로 신부에게 서한을 보내 다음과 같이 자신의 심정을 이야기하였다.

“저는 우리 부모님과 형제들을 따라서 공을 세우지 못하였으니, 저의 신세가 참으로 딱합니다. 그리스도 용사들의 그처럼 장열한 전쟁에 저는 참여하지 못하였으니 말입니다. 정말 저는 부끄럽습니다! 이렇듯이 훌륭한 내 동포들이며, 이렇듯이 용감한 내 겨레인데, 저는 아직도 너무나 연약하고 미숙함 속에 허덕이고 있습니다.
 
인자하신 하느님 아버지, 당신 종들의 피가 호소하는 소리를 들으소서. 저희를 불쌍히 여기시어 당신의 넘치는 자비와 당신 팔의 전능을 보이소서. 언제쯤이나 저도, 신부님들의 그다지도 엄청난 노고와 저의 형제들의 고난에 참여하기에 합당한 자가 되어, 그리스도의 수난에 부족한 것을 채워, 구원 사업을 완성할 수 있을까요?”

신학 수업을 계속하던 최양업 토마스는 1844년 12월 10일경에, 동료 김대건 안드레아와 함께 페레올 주교에게 부제품을 받게 되었다. 그리고 김대건 안드레아 부제가, 사제품을 받고서 페레올 주교, 성 다블뤼(Daveluy) 안토니오 신부와 함께 조선에 입국한 뒤에도, 소팔가자에 남아 있으면서 매스트르(Maistre) 요셉 신부와 함께 귀국로를 찾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하였다.


사제 수품과 귀국

귀국로를 탐색하는 동안 최 토마스 부제는 조선 천주교회의 밀사들을 만나, 1846년의 박해와 동료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순교 소식을 듣게 되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스승 르그레즈와 신부에게 서한을 보내 조국의 애통한 소식을 알렸다.

“마침내 지루했던 기나긴 포로 생활에서 해방되고, 저의 동포들한테 영접을 받으리라 희망하면서 크게 기쁜 마음으로 용약하여 변문(한중 국경의 성문)까지 갔습니다. 그러나 변문에 도착하여 보니, 이 희망이 산산이 무너졌습니다. 너무나 비참한 소식에 경악하였고, 저와 조국 전체의 가련한 처지가 위로받을 수 없을 만큼 애통하였습니다. …… 특히 저의 가장 친애하는 동료 안드레아 신부의 죽음은 신부님께도 비통한 소식일 것입니다.”

조선 천주교회 밀사들의 만류로 귀국을 포기한 최 토마스 부제는 극동 대표부가 이전해 있던 홍콩에 도착한 뒤에 ‘한국 순교자들의 행적’을 라틴어로 번역하였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귀국로 탐색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1847년 8월에는 프랑스 군함을 타고 조선의 해안에 도달하였지만 밀사들을 만나지 못하여 귀국에 실패하고 말았다.

다시 상해로 거처를 옮긴 최양업 토마스 부제는 1849년 4월 15일, 마침내 서가회 성당에서 사제품을 받았다. 이때 그에게 사제품을 준 사람은 예수회원으로 강남 대목구장으로 있던 마레스카(Maresca) 주교였다.

사제품을 받은 최양업 토마스 신부는 그해 5월에 상해를 출발하여 중국 요동 지방으로 가서 성 베르뇌(Berneux) 시메온 신부 아래서 사목 활동을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11월에 매스트르 신부를 다시 만나 귀국을 시도한 끝에, 12월 3일 조선 천주교회의 밀사들을 만나 귀국하게 되었다. 이때 매스트르 신부는 발각될 위험이 있었으므로 조선에 입국하지 못하였다.


사목 활동과 선종

귀국하자마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는 페레올 주교와 다블뤼 신부를 만난 뒤, 각처에 숨어 있는 신자들을 순방하기 시작하였는데, 1850년 초부터 6개월 동안 5개 도와 5천여 리를 걸어다니며 3,815명의 신자를 방문하였다. 이후, 진천 배티를 사목 중심지로 삼게 되었다.

이러한 사목 활동은 11년 6개월여 동안 꾸준히 계속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그는 휴식 기간을 이용하여 한문 교리서와 기도서를 한글로 번역하였고, 선교사들의 조선 입국을 도왔으며, 신학생들을 말레이 반도에 있는 페낭(Penang) 신학교로 보냈고, 순교자들에 대한 기록을 수집하였다.

물론 전국에 산재해 있는 신자들을 순방하기란 쉽지 않았다. 도중에 최 토마스 신부는 서양인으로 오인을 받아 마을에서 쫓겨나기도 했고, 포졸들의 습격으로 죽을 위험에 처하기도 하였다. 특히 1859년에는 순방 도중에 발각되어 포졸과 외교인들로부터 흠씬 두들겨 맞고, 주막에서 쫓겨나 반쯤 나체가 된 몸으로 눈 쌓인 밤을 헤맨 적도 있었다. 그러나 그 어느 것도 그의 신앙과 조국애, 그리고 신자들에 대한 애정을 빼앗을 수는 없었다.

1860년 경신박해 때, 최양업 토마스 신부는 몇 명의 신자들과 함께 경상남도의 한 모퉁이에 갇혀서 대목구장 베르뇌 주교나 다른 선교사들과 연락이 끊긴 채 지내야만 하였다. 이때 그는 스승 르그레즈와 신부에게 다시 서한을 보내 자신의 처지를 설명하고, 다음과 같이 조선 천주교회를 도와주십사고 부탁하였다.

“우리를 환난에서 구하소서. 엄청난 환난이 우리에게 너무도 모질게 덮쳐 왔습니다. 원수들이 우리에게 달려들고 있습니다. 당신의 보배로운 피로 속량하신 당신의 유산을 파멸시키려 덤벼들고 있습니다. 당신께서 높은 데서 도와주시지 않으면 우리는 그들을 대항하여 설 수가 없습니다.

지극히 경애하올 신부님들께서 열절한 기도로 저희를 위하여 전능하신 하느님과 성모님께 도움을 얻어 주시기를 청합니다.

이것이 저의 마지막 하직 인사가 될 듯합니다. 저는 어디를 가든지, 계속 추적하는 포위망을 빠져나갈 수 있는 희망이 없습니다. 이 불쌍하고 가련한 우리 포교지를 여러 신부님들의 끈질긴 염려와 지칠 줄 모르는 애덕에 거듭거듭 맡깁니다.”

다행히 최양업 토마스 신부는 갇혀 있던 곳을 빠져나와 경상도 남부 지방의 사목 방문을 다 마친 다음, 베르뇌 주교에게 성무 집행 결과를 보고하고자 길을 나섰다. 그러나 과로에다 장티푸스까지 덮쳐 1861년 6월 15일에 문경읍 또는 진천 배티 교우촌에서 선종하고 말았으니, 이때 그의 나이 40세였다.

이 소식을 들은 베르뇌 주교는, 파리 외방 전교회의 신학교 교장인 알브랑(Albrand) 신부에게 보낸 서한에서, 다음과 같이 최양업 토마스 신부의 신심과 열심, 그리고 평소에 보여 준 사제로서의 분별력을 칭송하고, 동시에 그를 잃은 아쉬움을 표시하였다.

“최 토마스 신부는 신심, 영혼의 구원을 위한 불과 같은 열심, 그리고 무한히 귀중한 일에서는 훌륭한 분별력으로 우리에게 그렇게도 귀중한 존재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우리의 유일한 한국인 신부 최 토마스가 구원의 열매를 풍성히 맺은 성사 집행 뒤에, 내게 자신의 업적을 보고하려고 서울에 오던 중, 지난 6월 세상을 떠났습니다.

이 착한 신부가 처해 있는 위험에 대한 소식을 맨 처음 받은 푸르티에(Pourthie) 신부는 그에게 마지막 성사를 줄 수 있을 만큼 일찍 도착했습니다. 그러나 그 신부는 말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 죽어 가는 그의 입술에서 아직 새어 나오는 말이 단지 두 마디 있었으니, 그것은 예수 마리아의 거룩한 이름이었습니다. …… 최 토마스 신부는 12년간 거룩한 사제의 모든 본분을 지극히 정확하게 지킴으로써 사람들을 감화시키고, 성공적으로 영혼 구원에 힘쓰기를 그치지 않았습니다. 그의 죽음은 저를 난처하게 합니다. 그가 성무를 집행하던 구역에는 커다란 위험을 무릅쓰지 않고는, 서양 사람이 뚫고 들어가기 어려운 많은 마을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를 우리에게서 빼앗아 가신 주님께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마련해 주실 것입니다.”

이 서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최양업 토마스 신부가 배론 신학교에서 170-180리 지점에서 사경을 헤매고 있을 때, 그 당시 신학교에 있던 푸르티에 신부가 이 소식을 듣게 되었다. 그는 곧장 최 토마스 신부에게 달려갔다. 그러나 그가 들을 수 있는 말은 아주 열성적으로 부르는 예수 마리아의 거룩한 이름뿐이었다. 최양업 토마스 신부의 선종 뒤, 5개월이 지난 다음, 베르뇌 주교의 주례로 최 신부의 장례가 성대하게 치러졌고, 그의 시신은 배론 신학교 뒷산에 안장되었다. [주교회의 시복시성 주교특별위원회 편, '복자'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123위 '하느님의 종' 증거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 서울(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14년]



Biographical Sketch of Father Thomas Choe Yang-eop



Birth and Upbringing

Father Thomas Choe Yang-eop was born on March, 1821, in the Catholic village of Saeteo, which was in the vicinity of Darakgol, Cheongyang, Chungcheong-do, as the eldest son of Saint Francis Choe Kyeong-hwan and Martyr Maria Yi Seong-rye. Thomas Choe, who spent his early childhood in this place, followed his father from place to place as he tried to avoid the persecution and, finally, moved to Surisan in Anyang, Kyeonggi-do. This village of Surisan was later transformed into a secret Faith community through the coming together of Catholics in ones and twos. Choe Sang-jong, (Transcript), 1939, Director, The Research Institute for Korean Church History.

At the time that the Surisan community was formed and growing, the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which had been entrusted with the evangelization of the Joseon Vicarate Apostolic, was attempting to send missionaries to Korea. However, because border surveillance was strict and, in addition, there was danger of persecution, it was not easy for western missionaries to enter Korea. The very first missionary to overcome the obstacles and to enter Korea was a priest, Saint Peter Maubant, who had been born in France.

Towards the end of 1835, Father Maubant, who had been guided into the country by the secret envoys sent by the Korean Catholic Church, immediately began to travel around the Christian communities throughout the country. In the beginning of the following year, he visited the Bupyeong community and selected, as a seminarian, Thomas Choe who was a fifteen-year-old boy with bright prospects.

On February 6, 1836, the chosen seminarian, Thomas Choe, arrived at the house of Father Maubant in Seoul and began to receive Latin language lessons. Francis Xavier Choe Bang-je and Andrew Kim Dae-geon, also picked by Father Maubant as seminarians, arrived on March 14 and July 11, respectively, and they all lived together.


Studies in Macao and Order of Deacon

On December 3, 1836, Thomas Choe and his fellow seminarians placed their hands on the Bible, took an oath of Obedience and set off on the road to study in Macao. They travelled south through the mainland of China and reached the Far Eastern Headquarters of the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in Macao on June 7 of the following year. From then on, they studied at the temporary seminary there.

His studies were to continue until 1842 but, in November 1837, he was stricken by the death from fever of his companion, Francis Xavier Choe. Then, in 1839, due to disturbances in Macao, he moved to Manilla and continued his studies but returned to Macao at the end of the same year.

In April, 1842, even before he had finished his studies, Thomas Choe had to leave Macao because France, which wanted a trade agreement with Korea, needed an interpreter on board its fleet. Father Napoleon Libois, superior of the Far Eastern Headquarters at that time, who was waiting for news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because contact had been broken off due to a persecution, managed to get Thomas Choe and Andrew Kim on board two different French ships. However, the French fleet, after arriving at Nanjing, did not wish to proceed any further north, so Thomas Choe and Andrew Kim disembarked and went to Liaodong in order to find a route into Korea.

Thomas Choe then went to Sopalgaja in Manchuria and continued his studies under the tutorship of Bishop John Ferreol, the Coadjutor Bishop of the Joseon Vicariate Apostolic. In 1843, through Father Libois, he joined the Paris-based French Order of the Immaculate Heart of Mary (SS. Coeur de Marie). In the midst of all of this, he heard news of the persecution and martyrdom which had occurred in his homeland. At that time, he sent a letter to his former teacher, Father Legregeois, who had returned to France, and expressed the feelings in his heart as follows :

"Since I am not able to distinguish myself like my father and brothers, my situation is very miserable. I could not get involved like them in the glorious war as a soldier of Christ. I am truly ashamed. They were my worthy compatriots, my brave fellow countrymen! Yet, I am still left languishing with feelings of much weakness and immaturity.

Most gracious God, our Father! Please hear the cries uttered by the blood of your servants! Have mercy on us. Show us your overflowing compassion and the almighty power of your embrace! Will I, O God, someday, be worthy to participate in the great challenge of the priests and the suffering of my brothers, in order to make up for what is lacking in the Passion of Christ and so complete the work of Salvation ?"

Thomas Choe, who had continued his studies, received the Order of Deacon, along with his companion Andrew Kim, from Bishop Ferreol on about December 10, 1844. After Deacon Andrew Kim received ordination to the Prieshood and left with Bishop Ferreol and Father Anthony Daveluy for Korea, Thomas Choe, while staying behind at Sopalgaja with Father Joseph Maistre, strove to discover another route to his homeland.


Ordination to the Priesthood and Return Home

While he was searching for a way to return home, Deacon Thomas Choe met with secret envoys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and heard the news of the 1846 Persecution and the martyrdom of his companion, Father Andrew Kim. He wrote the following letter to his former teacher, Father Legregeois, and conveyed to him the heartbreaking news of his motherland :

"Finally, with the feeling of being released after a long captivity and with hope of getting a welcome from my companions, I went in an elated mood to Byeonmun (fortress gate on the Korea-China border). However, when I reached Byeonmun, my hopes were shattered to pieces. I was thrown into shock by the tragic news. I and my pitiful country felt such grief that nothing could provide consolation. The news of the death of Father Andrew, my dearest companion, will be a cause of deep sadness for you also, Father."

Deacon Thomas Choe, on being restrained by the secret envoys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abandoned his intention of going home and, on reaching the Far Eastern Headquarters which had been moved to Hong-kong, he translated into Latin “The Achievements of the Korean Martyrs.” At the same time, he kept seeking for a way to return to his homeland and, in August 1847, he boarded a French warship and, although he arrived at the shores of Korea, he could not meet up with the secret envoys and so failed in the attempt to reach home.

He then moved to Shanghai and was finally ordained to the Priesthood on April 15, 1849 at Seogahoe church. The ordaining prelate was Bishop Maresca, a member of the Society of Jesus and Ordinary of the Jiang-nan Vicariate Apostolic.

After ordination, Father Thomas Choe left Shanghai in May of that year and went to the area of Liaodong where he began pastoral ministry under the direction of Bishop Saint Simeon Berneux. In November, he once again met Father Maistre and, as a result of making an attempt to go home, he met up with the secret envoys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on December 3 and managed to return to his country. Because of the danger of detection, Father Maistre was unable to enter Korea.


Pastoral Ministry and Death

As soon as he arrived in his homeland, Father Thomas Choe, after meeting with Bishop Ferreol and Father Daveluy, began to visit the Catholics who were hiding in different locations. From the beginning of 1850, during a period of six months, he walked over 5,000 lys (about 2,235. 6 km) through five provinces and visited 3,815 Catholics. After that he settled at the Baithi Christian Village, Jincheon, the centre of his pastoral ministry.

He continued this type of apostolate for about 11 years and 6 months. Not only that, he availed of resting periods to translate the Chinese catechism and prayer book into the Korean language, assisted the entry into Korea of missionaries, sent seminarians to the seminary in Penang, Malaysia and collected data on the martyrs.

It was not easy, of course, to travel around the Catholics who were scattered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He was sometimes mistaken for a foreigner and chased from the villages and constantly faced the danger of death in raids by the police. Once, during his journeys in 1859, he was detected and severely beaten by the police and non-believers, chased from an inn where he had been staying and, half-naked, he wandered through deep snow for the whole night. However, nothing could strip him of his Faith and his love for his country and the Catholics.

At the time of the Kyeongsin Persecution of 1860, Father Choe Thomas and several Catholics were confined to a corner of Kyeongsang-do and had to survive without contact with the Ordinary of the Vicariate Apostolic, Bishop Berneux, and other missionaries. He wrote again to his teacher, Father Legregeois, explaining his dire situation and requesting help for the Korean Church :

"Save us from distress! An awful misfortune has brutally descended upon us. The enemies are encroaching upon us. They are rushing to destroy the inheritance which has been redeemed by your Precious Blood. If you do not help us from on high, we cannot stand up to them.

Most reverend and loving Father (Legregeois), through your fervent prayers, I beg you to please obtain help for us from Almighty God and our Holy Mother.

This is, most likely, my farewell letter. No matter where I go, I have no hope of evading the encircling net which is pursuing me. I earnestly commend our poor and wretched mission field to the unceasing concern and inexhaustible love of many priests."

Fortunately, Father Thomas Choe was able to escape from the place in which he had been confined and he completed his pastoral visitation. After that, he set off to give a report on his apostolic work to Bishop Berneux. However, he contracted typhoid fever on top of exhaustion and died at Munkyeong-eup or the Baithi Christian Village, Jincheon on June 15, 1861. He was 40 years old.

On hearing the news, Bishop Berneux sent a letter to the Rector of the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s seminary, Father Albrand, in which he eulogized Father Thomas Choe's Faith, zeal and the priestly discernment which he had shown at all times, and expressed his deep feelings of loss :
 
"Father Thomas Choe, because of his Faith, zeal for souls which burned like a fire and his admirable sense of discernment in his ceaseless and invaluable ministry, was a person who was very precious to us. After administering the Sacraments of the bountiful fruits of Salvation, our one and only Korean priest, Father Thomas Choe, departed this life last June on his way to Seoul to give a report to me on the progress of his work.

Father Pourthie, who first heard of the danger with which this kind priest was faced, arrived early enough to give him the Last Sacraments. However, Father Choe was unable to speak. The only two words which escaped from his dying lips were the Holy Names of Jesus and Mary. Father Choe, through very assiduously carrying out the duties of a holy priest for almost 12 years, converted many people and did not cease from striving successfully to save souls.

His death leaves me at a loss. It would be very difficult for western priests to enter, without the risk of great danger, the area, which covers many villages, where he carried out his apostolate. However, the Lord who took him from our midst will provide us with what we need."

When Father Thomas Choe was on the brink of death at a place 170-180 lys (76.01-80.48 kilometers) from Baeron, Father John Pourthie, who was at the seminary in Baeron, heard the news. He immediately rushed to Father Choe's side. However, the only words he could hear were the Holy Names of Jesus and Mary spoken with great fervour. Five months after the death of Father Choe, Bishop Berneux celebrated a solemn funeral ceremony and the remains of Father Choe were laid to rest in a hill behind the Baeron seminary. [출
처 : 한국천주교 주교회의 시복시성 주교특별위원회 홈페이지]



1,513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