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1일 (토)
(홍) 성 유스티노 순교자 기념일 당신은 무슨 권한으로 이런 일을 하는 것이오?

세계교회ㅣ기타

그리스도교의 고통 이해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08-01-08 ㅣ No.93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 홈페이지 신학강좌 자료실에 있는 자료입니다.

 

 

그리스도교의 고통 이해

   손희송(가톨릭대학교 교의신학 교수 · 신부)

 

 

1. 들어가는 말

2. 고통 - 하느님 신앙에 관련된 문제

3. 구약성서에 나타난 고통의 이해

  3.1. 죄의 징벌로서의 고통

  3.2. 정화와 교육의 수단으로서의 고통

  3.3. 시련과 선택의 표시로서의 고통

  3.4. 대속(代贖)의 가치를 지닌 고통

4. 예수 그리스도와 고통

  4.1. 하느님 나라: 모든 고통이 사라진 곳

  4.2. 십자가: 하느님 나라를 위한 헌신

  4.3. 부활: 고통에 대한 새로운 대답

5. 종합적 고찰

  5.1. 그리스도교의 전통적 고통 해석의 문제점

  5.2. 그리스도 신앙과 고통

  5.3. 맺는 말



파일첨부

1,068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