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일 (일)
(백)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이는 내 몸이다. 이는 내 피다.

성무일도ㅣ독서기도

1월 25일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 바오로는 그리스도의 사랑 때문에 모든 것을 견디어...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11-06-17 ㅣ No.11

1월 25일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

 

독서기도


제2독서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 주교의 강론에서

(Hom. 2 de laudibus sancti Pauli: PG 50,477-480)

 

바오로는 그리스도의 사랑 때문에 모든 것을 견디어 냈습니다

 

 

사람이 무엇이고 그 본성은 얼마나 큰 위엄을 지니며 또 우리 인간은 얼마나 큰 덕행의 능력을 지니고 있는지 사도 바오로는 다른 누구보다 더 훌륭하게 보여 주고 있습니다. 바오로는 매일매일 더욱 높은 상태로 올라가고, 매일매일 더욱 큰 열성으로 일어나며, 매일 당하는 위험과 투쟁했습니다. “나는 내 뒤에 있는 것을 잊고 앞에 있는 것만 바라봅니다.”라고 말할 때 그는 이것을 보여 줍니다.

 

바오로는 자신의 죽음이 다가온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다른 이들도 자신의 기쁨을 함께 나누도록 다음의 말로 촉구 했습니다. “여러분도 기뻐하십시오. 나와 함께 기뻐하십시오.” 그는 또 자신에게 닥쳐올 위험과 모욕과 온갖 수치 앞에서 다시금 기뻐하면서 고린토인들에게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나는 모욕과 빈곤과 박해와 곤궁을 달게 받습니다.” 그리고 이것들이 정의의 무기라고 말할 때 자신이 이런 것들로 부터 많은 유익을 거두었음을 보여 줍니다.

 

바오로는 또 원수들의 위협 가운데 갇혀 있을 때 그들의 위협 가운데서 거둔 승리를 기쁜 마음으로 전했습니다. 그리고 그가 매질과 모욕과 욕설을 당할 때 그 승리를 경축하고 전리품을 거두는 승리자인 듯 자랑하면서 다음의 말로 하느님께 감사 드렸습니다. “우리 안에서 승리하시는 하느님께 항상 감사 드립니다.”

 

바오로는 영예를 찾는 우리의 열성보다 더 큰 열성을 가지고 복음을 전하며 견디어 내야 하는 반대와 모욕을 달려가 찾았습니다. 그는 우리가 생명을 구하는 것 이상으로 죽음을 찾았고, 우리가 재화를 추구하는 그 이상으로 가난을 추구했으며, 우리가 일을 마친 다음 휴식을 찾는 그 이상으로 일 자체를 찾았습니다. 바오로가 두려워하고 무서워 한 것은 다음 한 가지, 즉 하느님의 마음을 상하게 하는 일이었습니다. 그 외에는 두려워하는 것이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그리고 그가 갈망하는 것도 하느님을 기쁘게 해드리는 일 그 한 가지뿐이었습니다.

 

바오로는 또 다른 무엇보다도 위대한 그리스도의 사랑을 즐거워 했습니다. 이 사랑을 지닐 때 다른 누구보다 더 행복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그 사랑이 없다면 그에겐 제후들과 권력자들과의 친분 관계도 아무 가치가 없었습니다. 그리스도의 사랑 없이 제후들과 권력자들 가운데 사는 것보다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누리면서 가장 비천한 사람이 되어 저주받는 사람들 가운데 사는 것을 더 원했습니다. 이 사랑에서 멀리 떨어져 나가는 것은 그에겐 유일하고도 무서운 고통이었습니다. 그 생각마저 지옥이고 책벌이며 영속적이고도 참을 수 없는 괴로움이었습니다.

 

반면, 그리스도의 사랑을 누리는 것은 그에게 생명이요 온 세계요 천상적 상태이고 현세의 선물이요 하느님의 나라이고 후세의 희망과 약속이며, 한마디로 헤아릴 수 없는 축복이었습니다. 이 사랑 외에는 고통스러운 것도 또 즐거운 것도 없었고, 이 세상에 있는 그 어떤 것도 쓴것으로나 단것으로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바오로는 이 세상에 보이는 모든 것을 썩은 풀처럼 멸시했습니다. 폭군들이나 또는 분노를 내뿜는 사람들은 그에게 흡혈모기처럼 보였습니다. 그리스도께 대한 사랑으로 참을 수 있기에, 죽음과 고초와 일천 번의 형벌도 어린이의 장난으로 여겼습니다.

 

  

응송  1디모 1,13b-14; 1고린 15,9b

 

◎ 내가 믿지 않을 때 모르고 한 일이었기 때문에, 하느님께서 나를 자비롭게 대해 주셨도다. * 우리 주님께서 나에게 은총을 차고 넘치게 베푸셨고, 그리스도 예수를 믿는 자들이 가지는 믿음과 사랑을 나에게 풍성하게 주셨도다.

○ 나는 하느님의 교회를 박해한 사람으로서 실상 사도라고 불릴 자격도 없도다.

◎ 우리.



565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