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3일 (월)
(홍)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소작인들은 주인의 사랑하는 아들을 붙잡아 죽이고는 포도밭 밖으로 던져 버렸다.

사목신학ㅣ사회사목

[사회복지] 한국 천주교 사회 복지사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09-06-03 ㅣ No.428

이 책은 한국 교회의 각 시대별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회가 어떠한 사회 복지 활동을 펼쳐 왔는지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사회 복지 활동이 교회 복음 선교에서 차지하는 자리를 한국 사회의 관계 안에서 재확인하고, 교회가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선교와 복지를 해야 하는지를 밝혔다.

 

 

한국 천주교 사회 복지사

 

차례

 

I. 서론

1.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II. 본 론

1, 초기 교회 신앙 정립 과정의 활동(1777-1886년)

2. 종교 자유 획득과 수도회 결성 이후의 활동(1886-1910년)

3. 일제 식민 시기의 활동(1910-1945년)

4. 해방 후 활동(1945-1975년)

5. 인성회(人成會) 조직 이후의 활동(1975-1991년)

6.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사회 복지 위원회 조직 이후의 활동(1991년-)

 

결 론

1. 한국 천주교 사회 복지사 요약

2. 제언

 

참고 문헌

 

[주교회의 홈페이지에서,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74179]



1,128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