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3일 (금)
(녹) 연중 제26주간 금요일 나를 물리치는 자는 나를 보내신 분을 물리치는 사람이다.

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오늘의 묵상 [10.03.금] 한상우 신부님

스크랩 인쇄

강칠등 [kcd159] 쪽지 캡슐

08:54 ㅣ No.185276

10.03.금. "나를 물리치는 자는 나를 보내신 분을 물리치는 사람이다."(루카 10,16) 

 
받아들임은
한 사람을 품는
일이 아니라,
그 안에 깃든
하느님의 뜻을
맞아들이는
것입니다. 
 
제자들의 파견은
하느님으로부터
비롯됩니다. 
 
수용은 단순한
인간적 친절이
아니라,
존재의 진리를
받아들이는
행위입니다. 
 
거부는
단순한 행위가
아니라,
근원과의 단절을
드러냅니다.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일은
곧 존재의
근원을
존중하는 일이며,
거부와 배척은
곧 근원적 진리를
거부하는 것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인간의 언어와
삶의 관계 안에서
자신을 드러내십니다. 
 
따라서
계시를
거부한다는 것은
단지
한 인간의 말을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께서
자신을 드러내시는
구원의 방식을
거부하는
행위입니다.  
 
예수님의 사명과
하느님의 뜻은
분리될 수 없으며,
그분을
받아들이는 것은
곧 하느님을
받아들이는
것임을
보여줍니다. 
 
파견된 제자들이
늘 환영받는 것은
아닙니다.  
 
때로는
거부당하고,
비난받고,
무시당할 때도
있습니다.  
 
그럴 때 우리는
그 거절을
개인적 실패나
무가치함으로
받아들이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는
하느님의
도구입니다. 
 
우리의
연약함 속에서도
하느님께서 일하고
계심을 믿습니다. 
 
그렇기에
흔들리지
않습니다. 
 
신앙은 결국
하느님께서
내 삶 안으로
들어오시도록
문을 열어드리는
응답입니다. 
 
다른 사람을
받아들이고
불완전한
자신을
받아들이는 것이
하느님의 자비와
사랑의 시작입니다. 
 
모든 만남 안에서
하느님의 현존을
발견하고,
그분의 뜻을
신뢰하며 응답하는
존중의 날 되십시오. 
 
하느님을
받아들이는 것은
우리의 한계와
약함 속에
스며드는
하느님의
은총을 신뢰하며
하느님께
맡기는 삶입니다. 
 
(한상우 바오로 신부)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24 0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