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7일 (목)
(녹) 연중 제12주간 목요일 반석 위에 지은 집과 모래 위에 지은 집

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연중 제10주간 수요일] 오늘의 묵상 (최정훈 바오로 신부)

스크랩 인쇄

김종업로마노 [rlawhddjq] 쪽지 캡슐

2024-06-12 ㅣ No.173230

 

 

2024년 06월 12일 수요일

[연중 제10주간 수요일오늘의 묵상 (최정훈 바오로 신부)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율법을 완성하러 오셨으며, “모든 것이 이루어질 때까지 율법에서 한 자 한 획도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라고 이르십니다.

우리는 율법이라는 말에 반감을 가지게 되지만사실 예수님께서는 규칙과 명령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율법주의를 비난하셨지 율법’ 자체를 반대하시지는 않으셨습니다.

율법의 참된 의미와 목적은 뒤로 한 채 조항을 지키는 것 자체에서만 의미를 찾고 그로써 하느님께 무엇을 얻을 수 있다고 여기는 율법주의는 두려움과 편협함과 완고함을 낳을 뿐 우리를 하느님께 이끌지 않습니다.

주님께서는 율법 없음도 경계하십니다.

율법의 폐지를 바라는 사람들은 법은 필요 없고사랑하는 능력만 있으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 생각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물론 사랑하는 사람은 법이 필요 없습니다.

사랑하는 마음이 곧 법이 되기 때문입니다.

아우구스티노 성인의 유명한 문장인 사랑하라그리고 원하는 대로 하라.”가 그러한 뜻입니다.

그러나 사랑하는 마음을 지녔다고 하는 사람이사랑으로 말미암은 사랑의 법을 꺼리고 거기에 자신이 얽매여 있다고 여긴다면사랑하고 있지 않음을 스스로 보여 주는 것입니다.

실제로는 자신 안에 사랑이 없으면서도율법이 필요 없다고 하는 사람은 자신의 의지와 자기만족에 기울게 됩니다.

이기적인 자아 추구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미화하면서 율법을 없애 버리려 하는 것입니다(울림, 200-204면 참조).

우리는 규정에 지나치게 얽매이는 율법주의와 내적인 기준을 없애고 무분별한 자유를 바라는 율법 없음을 모두 경계하여야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사랑의 마음으로 율법의 참의미를 깨닫고이를 지키는 율법의 완성을 말씀하고 계십니다.

 

(최정훈 바오로 신부)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49 0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