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30일 (일)
(녹) 연중 제13주일(교황 주일) 소녀야,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어나라!

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Fr.조명연 마태오]

스크랩 인쇄

이미경 [ayo98060] 쪽지 캡슐

2010-03-29 ㅣ No.54338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2010년 3월 29일 성주간 월요일
 
 
 
 Why was this oil not sold for three hundred days’ wages
and given to the poor?
(Jn.12.5)
 
 
제1독서 이사야 42,1-7
복음 요한 12,1-11
 
 
어제 우리 본당에서는 피정이 있었습니다. 바쁜 일상 가운데에서 이 피정을 통해 주님의 사랑을 찾고자 하는 마음에서 매달 진행되는 월 피정입니다. 솔직히 걱정이 많았습니다. 다른 이가 진행하는 피정이 아니라 제가 직접 진행을 하고 직접 강의도 해야 하는 피정이었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제가 직접 진행하는 피정인데 사람들이 오지 않으면 어떻게 하는가 라는 걱정도 사라지지 않더군요. 특히 홍보를 제대로 하지 못했기 때문에 더욱 더 걱정이 되었습니다.

결과는 그리 나쁘지 않았습니다. 꽤 많은 분들이 참석하셨고(전보다 많이 오시지는 않았지만), 좋은 피정이었다면서 미소 지으며 돌아가시는 분들이 참 많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저 개인적으로는 피정을 마친 뒤 아쉬움이 없지 않았습니다. 조금만 더 잘했으면 더 좋은 피정이 되었을 것 같고, 이 순간에 이렇게 했더라면 더 괜찮을 것이라는 후회도 많이 생겼거든요.

하지만 이런 아쉬움을 통해 생겨나는 불평불만들은 지금 당장 버려야 할 내 마음이 아닐까 싶었습니다. 이미 지난 일에 대해서 연연하기보다는 늘 감사하면서 지금이라는 시간에 더욱 더 충실하게 살아가는 것이 주님께서 원하시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생각하다보니 아쉬움보다는 감사의 마음이 더 많이 생겼습니다. 그리고 그제서야 행복할 수 있었지요.

정말로 그런 것 같습니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감사의 이유를 찾았을 때 우리는 행복했습니다. 그러나 어떠한 상황에서도 불평불만의 이유를 찾았을 때 우리는 힘들고 어려운 삶을 살 수밖에 없었습니다.

사회학자들의 분석에 따르면, 1950년대 지구촌 사람들에게 필요한 생필품은 72가지였고, 절대 필요한 필수품은 18가지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2천 년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들의 생필품은 500가지 이상이고, 꼭 필요한 물품만도 50가지가 넘는다고 합니다. 필요한 생필품을 더 많이 누리며 사는 현대인이라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더 많이 누리는 현대인들이 5, 60여 년 전 사람들보다 더 행복하고 감사할까요? 그렇지는 않다는 것입니다.

오늘 복음을 보면 두 명의 사람이 분명하게 대비됩니다. 한 명은 비싼 향유를 예수님의 발에 붓고 자기 머리카락으로 발을 닦아 드리는 마리아입니다. 그녀는 주님께 너무나 감사해서 최고의 예우를 최하고 있지요. 그에 반해 또 한 명은 유다 이스카리옷입니다. 그는 이 여인을 향해 불평불만의 이유를 날립니다.

“어찌하여 저 향유를 삼백 데나리온에 팔아 가난한 이들에게 나누어 주지 않는가?”

결국 이들의 운명은 후에 완전히 바뀌지요. 한 명은 예수님의 부활을 목격하는 영광을 얻은 반면, 다른 한 명은 좌절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게 됩니다.

감사의 이유를 찾고 감사의 행동을 한 사람과 불평불만의 이유만을 찾고 그에 따른 말을 했던 사람의 차이가 이렇게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떠한 삶을 살아야 할까요? 분명해집니다.




어디에 있느냐는 중요하지 않다. 어디로 가느냐가 중요하다.(올리버 웬델 홈스)




연필의 용도(‘좋은생각’ 중에서)

뉴욕 리치먼드에 가난한 아이들을 가르치는 학교가 있었다. 1983년, 논문을 준비하던 파벨 박사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이 학교 졸업생들의 범죄율이 뉴욕에서 가장 낮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뉴욕 시장의 지원을 받아 조사를 시작했다. 이 학교에서 공부했거나 일한 사람 중 연락이 닿는 모두에게 “학교에서 무엇을 배웠는가?”라는 설문지를 보낸 것. 그는 3천 7백여 통의 답장을 받았는데, 그중 74%가 “연필의 용도가 얼마나 다양한지 알았다.”라고 답했다.

의외의 답변에 흥미를 느낀 파벨은 이 학교 출신인 백화점 사장을 찾아가 이야기를 들어 보았다. “학교에 들어가기 전까지 연필은 글 쓰는 데만 사용하는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연필은 자 대용으로 쓸 수도 있고, 선물해서 친구들과 우정을 나눌 수도 있고, 연극할 때 화장품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았어요. 연필의 용도는 이처럼 무궁무진하지요. 학교에서는 연필처럼 작고 평범한 우리가 얼마나 큰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가르쳐 주었습니다.”

파벨이 졸업생을 계속 취재한 결과 그들은 낙천적으로 생활하며, 연필의 용도를 20여 가지 이상 이야기할 수 있었다. 조사를 마친 파벨은 뉴욕 시장에게 보고서를 보냈다.

“우리는 자신의 결점을 부끄러워할 필요가 없다. 우수한 면도 얼마든지 있기 때문이다. 결점만 생각하고 자포자기하면 자신이 지닌 빛을 잃는다.”
 

 
 
With You - Ernesto Cortazar
 



1,083 2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