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9일 (토)
(홍)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너는 베드로이다.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신앙상담 신앙상담 게시판은 비공개 게시판으로 닉네임을 사용실 수 있습니다. 댓글의 경우는 실명이 표기됩니다.

q Q: 약혼한 사이라도 혼전 순결 지켜야 하나요?-----A: [이동익 신부의 카페]에서

인쇄

비공개 [24.10.164.*]

2014-02-19 ㅣ No.10506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Q. 신부님, 결혼을 앞둔 청년입니다.  요즘 고민하는 문제중의 하나는 혼전 성관계에 관한 것입니다.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은 결혼 전에는 절대로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된다고 하는데 약혼한 사이에서도 안되나요?  요즘 약혼녀와는 결혼은 바로 눈앞에 두고 거의 매일을 만나고 있는데 이 문제로 인한 혼란과 유혹이 매우 심합니다. 




갈등과 유혹, 사랑으로 극복하세요


A. 혼전 성관계에 대해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은 언제나 그것이 중죄라고 가르쳐왔습니다.  전통적으로 혼전 성관계의 반대 근거로 삼아온 것은 다음의 두 가지입니다.  우선 성의 가장 근본적인 목적 중의 하나는 자녀 출산을 통한 인류의 번식인데 혼전 성관계는 이 목적을 피함으로써 성의 의미와 특유성이 파괴된다는 것이 그 첫째 근거이고, 둘째 근거로서는 성이란 부부 상호간의 사랑을 표현하고 심화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있음에도 성관계가 순전히 성욕의 해소와 육체적 쾌락 때문에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성의 참된 의미를 상실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가톨릭 교회의 전통적인 논거는 오늘날까지도 계속 유효하다고 보아야 하겠습니다.  곧 성행위의 자연적 목적은 자녀의 출산과 교육, 부부 사랑이므로 이러한 목적을 보장할 수 있는 성관계만이 책임있는 행위가 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약혼기간이 가지는 목표 중의 하나는 사랑의 성적인 관점을 정신적, 인격적으로 통합하는 것이라는 사실도 매우 중요합니다. 젊은 남녀들은 그들의 성적 이끌림과 자기가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정신적 애정을 분리시키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애써서 성적 충동을 억제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자신의 사랑의 대상인 약혼자에게 성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것도 결혼을 앞둔 시기에는 매우 중요하지요.  왜냐하면 인격의 성숙한 발달은 인격적 애정과 성적인 관점이 함께 통합될 것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약혼의 시기에 우선적으로 시도해야 할 것은 성 문제에 대한 자유로운 대화일 것입니다.  남녀 서로가 현재와 미래의 성적 관계에 대한 모든 관점을 놓고 대화를 나누면서 서로의 감정과 반응과 격정, 반감과 이끌림 등을 이해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두 사람의 큰 관심거리이면서도 흔히 침묵을 지키고 있는 이런 문제들에 대한 솔직한 대화는 혹시 두 사람 사이에 있을 수도 있는 잘못된 생각이나 억제를 고치고 서로 조화를 이루는 데에 도움을 줄 것입니다.


성행위는 사랑의 표현이지 원인은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약혼자들이 표현하는 사랑은 성행위를 하기 전에 충분히 성숙해져야 합니다.  미성숙한 사랑의 상태에서라면 성행위는 오히려 사랑의 충분한 성숙을 막아버리는 결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곧 결혼하는 순간까지 성적 행위를 절제하여 기다려주는 사랑은 그 사랑이 순전히 성적 충족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성적인 필요는 두 사람의 사랑을 위하여 부수적으로 따르는 것이니까요.


약혼기간 중에 두 사람의 사랑의 힘을 강화시키고 사랑의 진실함을 증명하기 위해서라도 혼전 성관계를 피해야 할 것입니다.  비록 갈등과 유혹은 있지만 그것은 해로운 것은 아니고 두 분의 보다 성숙한 사랑을 위하여 극복해 나가야 할 과정일 것입니다.  보다 성숙한 사랑을 위한 두 분의 노력에 축복을 보냅니다.



1,249 0댓글쓰기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