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6일 (수)
(녹) 연중 제12주간 수요일 너희는 그들이 맺은 열매를 보고 그들을 알아볼 수 있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보상결핍증후군(reward deficient syndrome)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2-10-09 ㅣ No.6036

                                                                   보상결핍증후군(reward deficient syndrome)




뇌가 중독에 빠지면 가장 먼저 일어나는 변화는 전전두엽(prefrontal cortex)의 능력이 약해진다는 것이다. 전전두엽은 행동을 주시하고, 감독하고, 이끌고, 지시하고, 집중시키는 일을 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부위다. 전전두엽은 인간을 가장 인간답게 만드는 뇌 영역이다. 그런데 중독으로 이 전전두엽이 타격을 받으면 인간은 이 모든 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미래를 내다보거나 계획하며 인내하고 성찰하는 능력들을 잃고 오로지 현재의 만족만을 위해 충동적으로 살게 된다. 이런 현상을 가리켜 보상결핍증후군(reward deficient syndrome)이라고 한다.

보상결핍증후군(reward deficient syndrome)이란 뇌가 타격을 받아 모든 능력을 상실하게 되면 불균형을 가져온다. 불균형은 장래를 보이는 개인에게 안전감, 온화함, 포만감이 결여된 느낌을 남긴다. 이러한 느낌에 위협, 불안, 불쾌의 신호를 내보낸다. 이렇게 되면 갈망(craving)이 유발되는데 이 갈망은 개인으로 하여금 부정적인 감정들을 제거하도록 동기화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과 현상을 가리키는 말이다.

도파민의 분비와 수용체 이상으로 문제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하는 보상결핍증후군(reward deficient syndrome)은 미국의 뇌과학자 케네스 블룸(Kenneth Blum)이 이름 붙였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508 1

추천 반대(0) 신고

보상결핍증후군(reward deficient syndrome),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