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일 (일)
(백)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이는 내 몸이다. 이는 내 피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핫미디어(hot-media)와 쿨미디어(cool-media)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2-12-01 ㅣ No.6088

                                                                        핫미디어(hot-media)와 쿨미디어(cool-media)




정보의 양과 선명의 정도의 기준에 따라 미디어를 분류한다.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량이 풍부하고(high definition) 수용자의 참여를 별로 요구하지 않는(low participation)경우를 핫미디어(hot-media)라고 하고, 반면에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량이 낮고 수용자의 참여 요구가 높은 경우를 쿨미디어(cool-media)라고 한다.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량을 뜻하는 정세도(definition)와 정보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지각적 참여도(participation)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그 차이를 구분했다. 정세도는 어떤 메시지에 대해 감각이 받아들이는 정보량이다. 데이터의 충실도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사진은 만화보다 시각적으로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량이 높다. 정보가 더 정밀하고 충실하며 구체적이기 때문이다. 지각적 참여도(participation)는 수용자가 메시지의 의미를 재구성하는 데 필요한 지각과 감각적인 활동의 정도를 말한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요구되는 뇌의 활동 정도를 뜻하기도 한다.  


핫미디어(hot-media)와 쿨미디어(cool-media)를 신문과 텔레비전을 비교해 보자. 신문 정치면은 눈으로 읽기 때문에 감각의 참여도는 낮지만 정보량이 많아서 정세도는 높다. 반면 텔레비전 예능프로그램을 볼 때는 눈과 귀를 동시에 사용한다. 마치 뇌가 작동을 멈춘 듯 아무 생각없이시청하는 경우가 많다. 신문은 핫미디어(hot-media)의 성격이, 텔레비전은 쿨미디어(cool-media)의 성격이 강하다.

캐나다의 영문학자, 문명비평가, 미디어 이론가이자 현대사상가로 평가받고 있는 마셜 맥루한(Marshall Mcluhan 1911-1980)<미디어의 이해(understanding media>에서 핫미디어(hot-media)와 쿨미디어(cool-media)라는 흥미로운 개념을 제시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357 1

추천 반대(0) 신고

핫미디어(hot-media),쿨미디어(cool-media),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