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일 (일)
(백)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이는 내 몸이다. 이는 내 피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톱다운(top down) 방식과 보텀업(bottom up) 방식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2-12-15 ㅣ No.6102

                                                                     톱다운(top down) 방식과 보텀업(bottom up) 방식




경기의 흐름을 살피는 거시적 안목으로 투자하느냐, 개별 기업을 철저히 분석함으로써 선별해 투자하느냐에 따라 투자자의 유형이 나뉜다. 기업이나 산업을 분석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분석의 기초 방식으로 톱다운(top down) 방식과 보텀업(bottom up) 방식이 있다. 두 가지 용어는 의사 결정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데 주로 투자 분석에 사용된다.

경제와 산업을 분석한 후 기업의 내재 가치를 분석하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을 가리켜 톱다운(top down) 방식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 거시경제를 먼저 분석한 후 개별 기업의 세부분석을 하는 방식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경제 신문이나 뉴스에서 경기 흐름, 금리, 환율, 물가지수, 고용지수, 업황 기대감 등의 지표를 분석하는 경우와
경기순환 주기에 따른 투자, 장기투자, 가치투자를 찾아내는 경우가 톱다운(top down) 방식으로 접근한다고 볼 수 있다.

보텀업(bottom up) 방식은 톱다운(top down) 방식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개별 기업부터 철저히 분석하여 선별 투자하는 방식을 가리키는 용어로 보텀업(bottom up) 방식이라고 한다.

개별 기업의 펀더멘탈, 실적, 종목 이슈 등으로 주식을 분석한다면
보텀업(bottom up)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2,076 1

추천 반대(0) 신고

톱다운(top down) 방식,보텀업(bottom up) 방식,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