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9일 (토)
(홍)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너는 베드로이다.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신앙도서ㅣ출판물 ※ 이미지 업로드 시 파일찾기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에서 복사하여 붙여넣기 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마리아니스트의 기억과 전망

스크랩 인쇄

마리아니스트 에셈북스 [smbooks0911] 쪽지 캡슐

2016-02-12 ㅣ No.339


지은이

 

안베다 중한 수사

마리아수도회 수도자.

전주에서 태어나 전주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서강대학교 문과대학을 졸업하였으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교육행정을 전공하였다.

또한 미국 오하이오주 데이튼 대학교(University of Dayton) 대학원(신학)을 졸업하였고, 성청(聖廳)신학원인 IMRI(International Marian Research Institute: Marianum)에서 마리아론(Mariology) 전공으로 신학교수 디프로마(STL)를 취득하였다.

목포마리아회고등학교 교목실장을 거쳐 인천대건고등학교와 인천제일고등학교 교장을 역임하였고, 인천가톨릭대학교에서 전임강사(신학과 교수)로 마리아론을 강의하였으며, 초당대학교 겸임교수도 역임하였다.

 

 

책 소개

 

이 책의 저자인 안베다 중한 수사는 한 평생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제자로서, 또한 하느님의 모상인 우리들을 올바른 길로 이끄는 가톨릭 교육자로서 온몸, 온 마음을 바쳐 살아온 수도자이다.

그가 몸담은 마리아수도회(SM)2017년 창립 200주년을 맞이하는데, 이를 기념하기 위해 마리아수도회의 영성인 성모 마리아가톨릭 교육에 대해 저자가 여러 매체에 발표한 글들과 오랜 동안 교육 현장과 수도 생활을 하며 써놓은 글들을 모아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마리아수도회는 1789년의 프랑스 혁명 이후, 혼란과 역경의 소용돌이 속에서 인간성 회복을 위한 사도직을 수행하고자 1817년 창립되었다. 자매수녀회인 마리아의 딸 수도회(FMI) 역시 1816년에 거의 동반 창립되었는데, 저자는 이를 하느님 나라 건설을 위한 하나의 축복이었다고 한다.

저자는 예수 탄생 전인 로마시대부터 현재까지의 역사를 이해하기 쉽게 기술하고 있는데, 특히 끊임없이 억압 받아온 그리스도 신앙인들은 현재를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저자 특유의 해학과 깨달음으로 풀어놓는다. 하여자유라는 미명과인간 이성이라는 허울로 민초들을 하느님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분리시키려던 세상에 맞선 저항정신은 오늘에도 살아있어야 한다고, 그리하여 마리아수도회 창립 200주년을 기념하는 것 자체는 내일을 기약하는 다시없는 다짐이 된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또한 가톨릭 교육자로서의 의무와 역할에 대해서도 자세히 기술하고 있는데, 저자는 가톨릭적 페다고지’(교육, pedagogy)는 그리스도론에서 출발한다.”고 역설한다. 또한 그 핵심은 그리스도교적 우주관과 자연관 및 인간관을 아우르는 것이며, 진정한 교육은 하느님의 모상인 인간을 올바르게 양육하려는 수단이어야함을 치열하게 풀어놓았다. 결국 가톨릭 교육은 사회에 대하여 경종을 울릴 수 있어야 하고, 교육자는 제2의 그리스도(Another Christ) 역할도 감행해야 한다.”고 과감히 주장하고 있다.

 

서 평

마리아니스트 영성은 마리아가톨릭 교육에 있다. 마리아니스트뿐만 아니라 그리스도 신앙인으로 살면서 신앙과 삶을 일치시키기 위한 일상의 자세에 대해 고민스러웠던 적이 있다면 참 적절한 책이다. 1부는 로마와 유대시대의 초대 그리스도인들을 다루었으며, 2부는 교회의 어머니이며 우리의 어머니인 마리아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전반부는 예수님의 삶과 역사적 배경에 담긴 의미를 체계적으로 펼쳐놓아 마치 한정식 한상 차림을 대접받는 것처럼 곰살맞으면서도 격조 높게 차려놓았다. 독자는 수저와 젓가락을 들고 입맛에 맞게 먹다가도, 편식하는 재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 젓가락 뜰 수 있게 잘 버무려 놓았다. 다시 말하자면, 예수 당시의 정치 사회적 환경이 어떻게 그리스도 역사 안에서 어떻게 사용되었으며 어떻게 깊은 의미를 간직하게 되었는지를 인간성 회복의 차원에서 풀어놓았다.

이 책의 서두를 신앙의 깊이로 채웠다면, 중반부인 제3부와 제4부에서는 마리아수도회 창립 200주년을 기념하는 시점에서 예수의 삶은 어떤 방식으로 현재 우리의 삶에 기둥이 되고 있는 지를 생각하게 한다. 특히 마리아수도회의 창립자인 샤미나드 신부가 살았던 시대, 즉 프랑스 혁명 후의 혼란과 황폐함 속에서 야기되는 프랑스 학파의 출몰과 신학 운동들을 소개하는데, 이러한 역경의 소용돌이 속에서 마리아수도회를 창립해야만 했던 샤미나드 신부의 역할과 그의 영성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샤미나드 신부의 마리아론에 대해서 자세히 기술하고 있는데, 여기에 구속녀(救贖女)이자 교회의 어머니이신 마리아, 우리의 어머니이시며 희망이신 마리아 등 마리아의 이미지를 누구나 알기 쉽게 설명하였다.

 

또한 이 책은 가톨릭 교육자로서 바라보는 세계 가톨릭 교회의 교육과 교육자로서의 의무와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발표한 교육 선언1교회는 어떠한 민족, 신분, 연령의 차이를 불문하고 사람은 다 존엄한 인격의 소유자로서 교육에 관하여 타에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가졌다.”를 인용하며, 결국 어느 누구든지 학교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으나 이를 실천하지 않는 국가 권력에 신랄한 비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그래서 가톨릭 교육은 2의 그리스도’(Another Christ) 역할을 감행해야 하며, 하느님의 모상인 인간을 올바르게 양육하기 위한 사회 공통의 합의와 참여가 있어야 함이 독자들로 하여금 큰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더불어 모든 신앙인들의 믿음에 대한 주요 주제를 가독성 있게 풀어놓았으며, 저자의 감성과 필력이 돋보이는 수상록 또한 이 책을 구수하게 갈무리하는 화룡점정(?龍點睛)이다.


 

차 례

 

프롤로그

 

1부 로마제국과 유대(초기 그리스도인 공동체)


1장 로마, 라틴, 이탈리아


1. 로마의 건국 신화

2. 로마의 이탈리아 반도의 통일

3. 로마의 달력

4. 로마의 화폐의 가치


2장 로마의 유대정책


1. 유대에 대한 로마인의 이해

2. 폼페이우스의 예루살렘 정복

3. 헤로데의 유대 통치

4. 헤로데 시대의 예루살렘 성전

5. 헤로데 사후의 유대 왕국의 분할

6. 로마의 유대인 탄압과 빌라도의 폭정

7. 304월의 예수의 피포(被捕)와 빌라도의 재판

8. 로마의 예루살렘 직할 통치

9. 네로 황제의 그리스도인 박해

10. 타치투스의 로마 화재 보고

11. 네로의 박해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저항

12.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순교


3장 유대 독립 전쟁

 

 

2부 우리의 어머니, 교회의 어머니


초대 그리스도교의 이단


1장 사도시대의 이단

2장 니체아 공의회 시대의 이단

3장 니체아 공의회 시대 이후의 이단


마리아 교의


서 언

1장 평생 동정이신 마리아

2장 천주의 모친

3장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

4장 성모 승천

결 언


2차 바티칸 공의회와 성모 공경


1장 초안 작성

2장 난항의 시기

3장 수정안

4장 마리아 헌장의 구성

5장 마리아 헌장의 내용

 

3부 마리아니스트 기초적 영성


샤미나드 시대의 사회와 사상


118세기의 프랑스

2장 프랑스의 사상적 변환(1750-1850)

3장 샤미나드 신부의 시대 인식

4장 샤미나드 신부와 자유주의


샤미나드 신부와 프랑스 학파


1장 프랑스 학파의 태동

2장 프랑스 학파의 영성

1. 프랑스 학파의 활동가들

2. 프랑스 학파의 주안점

3. 프랑스 학파 영성의 신학 원리

4. 프랑스 학파의 실천 요강

3장 샤미나드 신부의 사상에 미친 프랑스 학파의 신학적 영성

1. 하느님 중심주의

2. 그리스도 중심주의

3. 강생의 영성

4. 마리아론적 영성


 샤미나드 신부의 마리아론(Mariology)


1장 샤미나드 신부의 마리아 저작물

2장 샤미나드 신부의 마리아론적 특성

3장 샤미나드 신부의 마리아론의 원천

4장 샤미나드 신부의 마리아론

1. 성모신심의 기초

2. 마리아의 이미지

3. 우리의 희망이신 마리아

4. 마리아와 우리의 연대

 

4부 가톨릭 교육, 마리아니스트 교육


학교 문화와 가톨릭 교육


1장 새로운 학교 문화 창출

2장 문화 발전에 대한 가톨릭적 견해: 사목 헌장

3장 조직문화의 개념


교육에 관한 교회의 가르침


서 언: 인간의 교육권

1장 그리스도교적 교육에 관한 선언(GE)

2장 가톨릭 교육의 이념과 목적

3장 비그리스도교적 환경의 가톨릭 학교

결 언: 가톨릭 교육의 완성


마리아 수도회의 학교 교육


서 언

1장 마리아니스트 영성과 교육

2장 마리아니스트 교육의 실천 요목

3장 통합적 양질의 교육 제공

4장 가족정신 안에서 교육

5장 봉사와 정의, 그리고 평화를 위한 교육

6장 적응과 변화를 위한 교육

결 언


샤미나드 신부와 학교 교육


1장 프랑스 혁명 당시의 교육제도와 개혁

2장 마리아니스트의 첫 사도직(1817-1830): 학교 설립

 

 5부 순례하는 교회의 영성생활


주님께는 천 년이 하루(대림)


그날이 오면(Parousia)


예수 탄생 역사의 전환점


사순시기의 발전 역사


사순 · 부활시기의 마리아


성모성월(Mense Maio)


기초 교회 공동체와 마리아의 중재


1장 새로운 복음화와 기초 교회 공동체

2장 소공동체(Small Christian Community)

3장 아래로부터의 교회: 기초 공동체

4장 기초 교회 공동체의 모형(Leonardo Boff)

5장 기초 교회 공동체의 특성

결 언: 마리아와 우리의 연대

 

6부 자후 수상(自厚隨想)


湖南歌

湖南詩

스승님을 그리며

하느님을 만나려면

수도원에 오려는 젊은이들에게

마리아의 慈悲心

화해의 어머니 복되신 동정녀 마리아

성서를 앞에 놓고

노란 리본

파레토 법칙의 영성

 

에필로그



2,643 0

추천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