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일 (일)
(백)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이는 내 몸이다. 이는 내 피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이중 구속(double bind)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3-03-18 ㅣ No.6194

                                                                                        이중 구속(double bind)




한 사람이 둘 이상의 모순되거나 서로 용납되지 않는 방법으로 해석될 수 있는 메시지를 전하고, 그 메시지를 받은 사람은 그 모순에 대한 결과나 응답을 할 수 없는 일종의 자가당착적 의사전달을 가리켜 이중 구속(double bind)이라고 한다.

이중 구속(double bind)은 하나가 다른 하나를 부정하는 둘 이상의 모순된 메시지를 개인이나 집단이 받게 되는 의사소통상의 딜레마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중 메시지(double massage)라고도 부른다

이중 구속(double bind)이란 용어는 인류학자로도 저명한 정신의학자 그레고리 베이트슨(Gregory Bateson 1904-1980) 1956<정신분열병이론에 대하여>라는 논문에서 제창한 개념이다. 그레고리 베이트슨은 이 논문에서 정신분열병을 인간관계와 관련된 병, 다시 말해 커뮤니케이션의 병리라고 특징짓고 그 원인으로는 도저히 벗어날 수 없는 인간관계에서 일정한 메시지가 주어지고, 또 그 메시지를 부정하는 메타메시지가 동시에 주어지는 더블 바인드적 상황을 들었다.

이중 구속(double bind)이 발생하는 원인 중의 하나는 우리가 의사소통을 할 때 언제나 여러 개의 채널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문자로 변환되는 말의 내용은 그 중의 하나일 뿐이다. 말에도 어조가 있고 뉘앙스가 있으며 악센트나 기타 등등의 방법으로도 완전히 다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내적인 갈등을 느끼고 있거나, 스스로도 인식하지 못하는 자기기만에 빠져 있거나, 인격에 결함이 있는 사람이라면 그 채널마다 서로 다른 메시지를 전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이중 구속(double bind)이 발생한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195 1

추천 반대(0) 신고

이중 구속(double bind),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