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일 (일)
(백)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이는 내 몸이다. 이는 내 피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안아주기 효과(holding effect)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3-03-13 ㅣ No.6189

                                                                                  안아주기 효과(holding effect)




포옹을 뜻하는 영어 단어 허그(hug)의 어원은 고대 노르웨이 후가(hugga)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후가(hugga)편안하게 하다’, ‘위안을 주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즉 포옹은 그 자체로 위로를 담는 행위인 것이다


포옹을 하면 우리 몸에서 옥시토닌 호르몬이 분비돼 몸이 편안해지는 것을 가리켜 안아주기 효과(holding effect)라고 한다.

포옹으로 한 생명을 살린 사례가 있다. 20103우러 호주 시드니의 한 병원에서 임신 27주 만에 미숙아 쌍둥이가 태어났다. 하지만 탄생의 기쁨도 잠시, 쌍둥이 동생 제이미는 20분 동안 지속된 소생술에도 불구하고 사망 선고를 받고 말았다. 그런데 제이미의 엄마가 마지막 인사를 나누려고 제이미를 안는 순간 기적이 일어났다. 멈췄던 아기의 호홉이 돌아온 것이다. 제이미를 살린 것은 바로 엄마의 품이었다. 사람들은 이 사건을 두고 캥거루 케어(kangaroo mother care)의 기적이라 불렀다. 캥거루가 새끼를 낳으면 배에 있는 주머니에 새끼를 낳고 키우듯, 사람도 엄마와 아기의 맨살을 오래 밀착시키면 아기의 정서 안정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180 1

추천 반대(0) 신고

안아주기 효과(holding effect),캥거루 케어(kangaroo mother care)의 기적,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