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6일 (수)
(녹) 연중 제12주간 수요일 너희는 그들이 맺은 열매를 보고 그들을 알아볼 수 있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워비곤 호수 효과(Lake Wobegon Effect)와 우월감 환상(Illusory Superio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17-07-12 ㅣ No.4142

 


워비곤 호수 효과(Lake Wobegon Effect)와 우월감 환상(Illusory Superiority)



인간성의 단면을 설명할 때 심리학자들은 우월감 환상(Illusory Superiority)이론을 내놓고 있다. 인간은 "내가 남보다 우월하다"는 환상을 본래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우월감 환상(Illusory Superiority)은 일상의 모든 영역에서 관찰되는 현상으로 사람들이 갖고 있는 일종의 선입견이다.

우월감 환상(Illusory Superiority)이란 자신이 다른 사람보다 좀 더 특별하다고 믿는 것이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과 비교해 자신의 강점을 터무늬없이 과대평가한다.  그 결과 사람들은 너나없이 자신이 대단히 똑똑하고 매력적이며 걸출한 능력의 소유자로 착각에 빠진다.

미국의 심리학자 톰 길로비치(Tom Gilovich)는 우월감 환상(Illusory Superiority)을 워비곤 호수 효과(Lake Wobegon Effect)라고 불렀다. 미국의 풍자작가이자 방송인 개리슨 케일러(Garrison Keillor)의 라디오 버라이어티 쇼 '프레이리 홈 컴패니언'에 나오는 가상의 마을이 '워비곤 호수'이다. 케일러는 '워비곤 호수' 마을의 소식을 전하면서 시작한다. "워비곤 호수에 사는 남자들은 모두 강인하고 여자들은 모두 눈부신 미인이며, 아이들은 평균 이상의 지능을 자랑한다." 물론 이를 입증할 근거는 없다. 다만 스스로 평균 이하라고 생각하는 것이 유쾌하지 않기 때문에 비록 근거가 없을지라도 자신을 평균 이상이라고 단정함으로써 마음의 안정과 평화를 얻으려 한다는 것이다.

이때 만들어진 신조어가 워비곤 호수 효과(Lake Wobegon Effect)이다. 다른 사람들보다 재능이나 실력이 뛰어나다고 자신을 과대평가하는 현상을 일컫는 말이다.

우월감 환상(Illusory Superiority)은 자신의 모습을 실제 모습보다 긍정적으로 그림으로써 인생을 즐겁게 사는 데 도움을 주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어떤 사람은 이런 과대망상 덕에 놀라운 성공을 거두기도 한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볼 때 우월감 환상(Illusory Superiority)은 자신의 가치를 왜곡하는 현상에 지나지 않는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2,928 1

추천 반대(0) 신고

워비곤 호수 효과(Lake Wobegon Effect),우월감 환상(Illusory Superiority),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