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일 (일)
(백)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이는 내 몸이다. 이는 내 피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제임스 - 랑게 이론(James-Lange theory)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3-04-06 ㅣ No.6213

                                                                         제임스 랑게 이론(James-Lange theory)




심리적 감정 경험은 외부 자극에 대한 신체 반응을 지각한 결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하는 감정(emotion) 이론을 가리켜 제임스 랑게 이론(James-Lange theory)이라고 한다. 정서적 경험 이전에 신체의 생리적 변화에 대한 지각이 선행된다고 보는 것이다. 즉 자극, 감정, 신체적 변화의 순서가 아니라 자극, 신체 변화, 감정의 순서라고 주장한다.

제임스 랑게 이론(James-Lange theory)은 슬픔이 눈물을 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눈물이라는 신체 반응이 먼저 일어나고 그 반응을 인식하는 것이 슬픔이라고 했다. 마찬가지로 화가 나서 머리로 피가 몰리는 것이 아니라 머리에 피가 몰리는 것을 깨닫는 것이 분노라고 했다. 또 심장이 두근거리거나 근육이 뻣뻣해지는 신체 반응을 인지하는 것이 공포인 셈이다. 정리하면 감정은 자기의 신체 반응을 감지한 것, 즉 신체 반응에 대한 감각이다.

제임스 랑게 이론(James-Lange theory)19세기 후반 미국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 1842-1910)와 덴마크의 생리학자인 칼 게오르그 랑게(Carl Georg Lange 1834-1900)가 동시에 제창한 감정 이론이다. 감정과 생리학적인 반응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이론 중 하나이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019 1

추천 반대(0) 신고

제임스 - 랑게 이론(James-Lange theory),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