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일 (일)
(백)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이는 내 몸이다. 이는 내 피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기버(giver)와 테이커(taker)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3-04-20 ㅣ No.6227

                                                                                      기버(giver)와 테이커(taker)




기버(giver)와 테이커(taker)는 인간관계를 의미하는 용어다. 비교적 드문 부류로 호혜 관계에서 상대방 쪽에 무게를 두고 받은 것보다 더 많이 주고 싶어 하는 부류를 기버(giver)라 한다. 기버(giver)는 상대방에게 초점을 맞춰서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게 무엇을 바라는지 주의를 기울인다. 반면 자기중심적이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게 무엇을 줄 수 있는지 고려하는 부류를 테이커(taker)라고 한다.  

기버(giver)와 테이커(taker)는 다른 사람들을 대하는 태도와 행동에서 차이를 보인다. 테이커(taker)는 자기가 얻는 혜택이 들여야 하는 비용보다 클 때 전략적으로 남을 돕는다. 기버(giver)는 비용과 편익을 테이커와 완전히 다르게 분석한다. 다른 사람이 얻는 편익이 자기가 치러야 하는 비용보다 큰 경우라면 언제라도 돕는다. 심지어 자기가 치러야 하는 비용은 아예 고려하지 않고 아무런 대가도 기대하지 않으면서 남을 돕기도 한다.

경쟁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추다 보면 테이커가 되어야만 성공할 수 있다고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 남들에게 초점을 맞추지만 결국에는 그런 행위가 자기 자신을 위한 일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인생은 대부분 제로섬 게임이 아니다. 모든 것을 감안할 때 호혜 관계에서 주로 주는 쪽을 선택하는 사람들은 결국 보상을 받는다. 기버(giver)가 호의와 신뢰를 쌓기까지는 시간이 걸리지만 결국에는 성공을 뒷받침하는 평판과 관계를 형성한다.

기버(giver)와 테이커(taker)는 애덤 그랜트의 저서 <기버 앤 테이커>에서 인간관계로 기버(giver)와 테이커(taker)라는 두 부류의 사람들을 정의한 데서 유래된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215 1

추천 반대(0) 신고

기버(giver),테이커(taker),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