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1일 (금)
(백) 성 알로이시오 곤자가 수도자 기념일 너의 보물이 있는 곳에 너의 마음도 있다.

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양승국 신부님_하느님께서는 한쪽 문을 닫으실 때, 반드시 다른 쪽 문을 하나 열어주십니다!

스크랩 인쇄

최원석 [wsjesus] 쪽지 캡슐

2024-06-03 ㅣ No.172955

 

오늘은 성 가롤로 르왕가와 21명의 동료들의 순교를 기념하는 날입니다. 북아프리카에 비해 동아프리카 지역의 복음화는 꽤 늦었습니다. 1879년에 이르러서야 첫 선교 사제들이 파견되었습니다. 당시 가톨릭에 호의적이었던 무데시 추장은 선교 사업을 적극적으로 후원했습니다.

그러나 무데시 추장이 세상을 떠나고 난 후 무왕가가 그 자리를 계승하게 되는데, 성격이 포악하고 폭력적이었습니다. 오만하고 그릇된 최고 통치자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백성들의 몫이었습니다.

무엇보다도 모든 것을 독식하고 좌지우지하고 싶었던 무왕가 추장 눈에, 사랑과 배려, 친교와 나눔을 강조하는 가톨릭교회 교리가 곱게 보일 리가 없었습니다. 폭군은 가장 충직한 부하였지만, 가톨릭 신자였던 무카사를 본보기로 참수형에 처했습니다.

무카사 자리를 계승한 다른 부하가 우간다의 김대건 신부님 격인 가롤로 르왕가였습니다. 그는 자신의 보스 몰래 4명의 예비자에게 세례를 주었습니다. 그리스도교 신자라는 사실이 발각되면 즉시 사형이었음에도 은밀히 신자 수가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나중에 이 사실을 알게 된 폭군은 닥치는 대로 그리스도교 신자들을 체포했습니다. 사형 집행인들은 신자들이 입고 있던 옷을 모두 벗기고, 온몸을 포승줄로 꽁꽁 묶었습니다. 그리고 밤새 빙빙 돌며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면서, 갖은 협박을 하고 농락했습니다. 그리고 날이 밝아오자 순교자들은 참수형이나 화형으로 순교하였습니다.

놀라운 것은 순교자들이 대체로 폭군 무왕가와 가까운 사람들이었다는 것입니다. 그 중에는 왕의 개인 비서도 있었고, 왕궁에서 이런 저런 사무를 보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그리스도교를 당분간 멀리 하겠다는 말 한마디면 목숨을 구할 수 있었을 텐데, 순교자들은 결코 태도를 굽히지 않았습니다.

우간다 순교자들의 피는 결코 헛되지 않았음이 곧 드러났습니다. 순교 이후 박해의 칼날은 더욱 번득였지만, 입교자, 세례자 숫자는 점점 늘어갔습니다. 순교 직후 3천명의 예비자들이 쇄도했고, 500명이 세례를 받았습니다.

저희 살레시오회 같은 경우 지금 우간다를 비롯한 아프리카 대륙은 풍요로운 성소의 온상입니다. 유럽이나 북남미, 우리나라까지 포함해서 다들 사제 수도 성소의 급감으로 교회가 심각한 위기 상황에 놓여있지만, 그쪽에서는 활활 불타오르고 있습니다.

하느님께서는 한쪽 문을 닫으실 때, 반드시 다른 쪽 문을 하나 열어주신다는 말씀이 참된 말씀이라는 것을 실감합니다. 순교자들이 흘린 피와 그들이 보여준 흔들리지 않는 신앙의 모범이 일궈내고 있는 이 시대 또 다른 기적이 아닐 수 없습니다.

더 이상 피를 흘리는 박해가 없는 우리의 현실 속에서 순교 영성을 어떻게 실현시켜 나갈 것인가 하는 것은, 일상적으로 우리에게 주어지는 중요한 과제입니다.

우리에게 매일 다가오는 호의적이지 않은 현실을 너그러운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것, 이 시대 순교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죽어도 나와 맞지 않는 관계라 할지라도 나를 성장시키기 위한 하느님의 도구로 수용하는 자세, 순교 영성을 사는 노력이라고 생각합니다.

결코 원치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찾아오는 노화나 병고, 실패나 죽음조차도 주님의 크신 구원 계획안에서 바라보려는 시선을 지니는 것도 아주 좋은 순교의 한 모습이라고 확신합니다.

양승국 스테파노, 살레시오회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19 1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