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9일 (월)
(백) 시에나의 성녀 가타리나 동정 학자 기념일 아버지께서 보내실 보호자께서 너희에게 모든 것을 가르쳐 주실 것이다.

영성ㅣ기도ㅣ신앙

[신앙] 금쪽같은 내 신앙12-13: 의심과 확신 사이에서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23-08-14 ㅣ No.1972

[한민택 신부의 금쪽같은 내신앙] (12) 의심과 확신 사이에서 (1)


의심을 넘어 더 단단한 믿음으로

 

 

신앙생활을 하다 의심이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느님의 존재, 내세의 삶, 육신의 부활 혹은 예수님의 기적이나 부활, 승천 등에 대해 의심이 들 때가 있는가 하면, 신앙 자체에 대한 의심이나 회의가 들 때도 있다. 아무리 기도해도 들어주시지 않는데, 내가 계속 믿는 것이 맞는가? 의심은 당혹스러운 일이지만, 언젠가는 마주해야 할 중요한 문제다.

 

먼저 의심은 신앙에 늘 뒤따라오는 것임을 알 필요가 있다. 신앙에서 의심이 생기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는 말이다. 어떤 의미에서 신앙은 의심과의 공존이며, 의심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성장한다.

 

성경이 이야기하는 믿음이 그러하다. 그 어떤 의심도 없이 완벽한 믿음이 아닌, 종종 의심에 싸이며 길을 잃고 헤매는, 그렇지만 그러한 계기를 통해 성장해가는 믿음을 보여준다. 일례로 베드로 사도가 그러했다. 물 위를 걸으시는 예수님을 뵈러 배에서 내려 물 위를 걷다가, 거센 바람을 보고 두려워 물에 빠지게 되자 주님께 도움을 청하는 사도에게 예수님께서 말씀하신다.

 

“이 믿음이 약한 자야, 왜 의심하였느냐?”(마태 14,31) 이 말씀은 믿음이 약한 베드로 사도에 대한 꾸중이지만, 믿음이란 늘 의심과의 싸움을 딛고 앞으로 나아가는 것임을 말해주기도 한다. 믿음에 종종 찾아오는 의심은 자신을 돌아보게 하고, 믿음을 성장시키는 계기가 된다. 실제로 베드로 사도는 이후에도 수많은 의심의 순간을 맞았지만, 의심을 딛고 믿음의 길을 끝까지 걸었으며, 결국 예수님과 일치하는 순교로 생을 마감할 수 있었다.

 

성경에 나오는 나약한 믿음을 지닌 사람들의 이야기는, 그에 못지않게 우리의 믿음도 나약함과 한계로 각인된 믿음이며, 그럼에도 우리가 계속해서 의심을 딛고 믿음의 길을 걸어간다면, 언젠가는 사도들처럼 예수님과 온전히 일치하는 삶으로 마감할 수 있음을 말해주기도 한다.

 

정반대의 경우로 바오로 사도를 들 수 있다. 그는 믿음이 너무 과해서 주님의 제자들을 박해하고 죽이는 일까지 동조하였다. 이는 과도한 확신이 믿음에서 얼마나 위험한지 보여주는 예다. 바오로 사도는 주님의 제자들을 박해하러 가는 길 위에서 부활하신 주님을 만났으며, 그 만남은 그의 과도한 확신에 철퇴를 가했다. 그의 그릇된 믿음은 산산조각이 났으며, 그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만 했다. 그 과정에서 새롭게 갖게 된 믿음은 자신의 나약함을 충분히 인식하는 겸손한 믿음이었다. 그는 심지어 자신의 나약함을 자랑할 수 있었고, 나약함 안에서 강한 힘으로 활동하시는 하느님께 대한 확신을 전해줄 수 있었다.(2코린 12,5-10 참조)

 

믿음은 처음부터 의심이 전혀 없는 완전무결한 것이 아니라, 의심의 순간을 거치며 조금씩 확신에 다다른다. 따라서 의심이 없는 믿음보다는, 우리 안에 존재하는 의심이 어떤 것인지 솔직하게 대면하고 이를 딛고 일어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인내와 용기를 청할 필요가 있다. 그럴 때 의심은 나의 신앙에 더욱 확신하게 하는 디딤돌이었음을 발견하게 된다.

 

여기서 말하는 의심, 곧 신앙의 길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의심은, 믿음을 마비시키고 더 앞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는 회의 섞인 의심과는 다르다. 이 믿음의 의심은 우리가 하느님과 맺는 관계의 나약함에 연결되어 있다. 나약함에서 오는 의심은 관계의 발전을 위해 끊임없이 관통해야 하는 순간들이다. 이 길에서 주인은 하느님이시다. 그분께서는 우리가 의심의 순간들을 관통하며 더욱 밝고 환희에 찬 믿음의 길로 나아가도록 이끌어주실 것이다. [가톨릭평화신문, 2023년 8월 13일, 한민택 신부(수원가톨릭대학교 교수 겸 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총무)]

 

 

[한민택 신부의 금쪽같은 내신앙] (13) 의심과 확신 사이에서 (2)


끊임없이 의심을 극복해 나가는 여정

 

 

우리는 지금 불확실성의 시대를 살고 있다. 그래서인지 사람들은 더 확실하고 분명한 것을 찾는다. 점이나 사주를 보는 사람이 느는 현상도,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 확신을 가지려는 마음 때문일 것이다. 또한 사람들은 종교나 신앙보다는 과학을 선호한다. 과학은 확실한 답을 제시하지만, 종교나 신앙은 추상적인 것을 비현실적인 언어로 말하고 있어 보이기 때문이다.

 

이 시대 사람들은 신앙에 관해서도 납득할 만한 설명을 요구한다. 젊은 세대는 당차게 묻는다. 하느님이 계시다면 증명해달라고, 그럼 믿겠다고. 혹은, 선하시고 전능하신 하느님이 계시다면 어째서 천재지변이나 전쟁과 같은 불의한 일이 계속해서 발생하느냐고. 그런 물음 앞에서 신앙인은 대체로 당혹감을 느끼며, 또한 그런 질문에 답할 수 없음에 답답함을 느끼기도 한다.

 

신앙에 대해 던지는 다양한 질문에 답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 안에는 매우 복잡한 문제들이 서로 얽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대부분은 신앙에 대한 오해로 인한 것들이다. 따라서 질문에 대해 직접적인 답을 찾기보다, 신앙의 본질적 특수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곧 신앙은 의심을 완벽히 배제한 것도 아니며, 수학 공식처럼 갖게 되는 확신도 아니라는 사실이다. 먼저 신앙은 끊임없는 의심의 극복이기에, 의심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의심은 인간의 나약함에서 비롯하는 의심으로, 믿음은 의심의 순간들을 관통하며 성장하기 마련이다.

 

다른 한편, 신앙은 수학 공식처럼 신 존재 증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확신이 아니다. 따라서 과도한 확신은 광신주의(예수천국! 불신지옥!)에 빠질 수 있어 늘 경계해야 한다. 우리가 갖는 신앙의 확신은 완성된 것이 아니며, 새로운 문제 앞에서 늘 새롭게 시작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는 것이다. 아브라함께서 걸었던 신앙의 여정처럼 말이다.

 

이러한 신앙의 역설은 그동안 우리가 가졌던 믿음의 어려움을 새로운 눈으로 바라보게 한다. 우리에게 던지는 자녀나 배우자의 질문이나 의심은 반드시 나쁜 것만은 아니다. 어쩌면 그들은 진정한 신앙의 길로 나아가기 위한 관문을 넘어서고 있는 것이다. 가령 자녀들이 커가면서 신앙에 대해 의심을 갖고 질문을 하거나, 신앙에 대해 불만을 표시할 때, 그것을 반항이나 방황으로 보다는, 신앙에서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성장의 순간들로 이해하고, 또 그렇게 이해시킬 필요가 있다. 신앙의 확신은 한순간에 가질 수 없는, 의심을 동반하기도 하는, 삶의 긴 여정을 거치며 획득되는 것이기에, 자녀에게 즉각적인 답을 주려고 애쓰기보다, 자녀의 생각과 감정을 공감해주고, 그럼에도 계속해서 믿을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인내심을 갖고 계속 가다 보면 어느새 신앙의 깊은 의미를 깨닫게 될 것이라고 용기를 주고 격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요한 것은 신뢰 관계다. 신앙은 그러한 물음에 늘 열려 있다는 것, 그리고 의심과 갈등이 나쁜 것이 아니라는 것, 그렇기에 솔직하게 자기 이야기를 하도록 기회를 주고 대화하며 공감해준다면, 자녀는 그 자체로 부모와 교회, 그리고 신앙에 대해 신뢰를 갖게 될 것이다.

 

신앙에는 그런 솔직함이 필요하다. 그렇기에 자녀나 배우자뿐 아니라 사람들이 갖는 믿음의 어려움, 의심 등에 귀를 기울이며 공감하고 그들이 걷는 신앙의 길을 함께 걷는 것은 중요하다. 당장 확신을 갖지 못할지라도 인내심을 갖고 가던 길을 계속해서 가도록 동반해주며 함께 걸을 때, 우리의 신앙도 함께 성장할 것이다. [가톨릭평화신문, 2023년 8월 20일, 한민택 신부(수원가톨릭대학교 교수 겸 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총무)]

 

※ ‘금쪽같은 내신앙’ 코너를 통해 신앙 관련 상담 및 고민을 문의하실 분들은 메일(pbcpeace12@gmail.com)로 내용 보내주시면 소통하실 수 있습니다.



139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