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7일 (토)
(백) 부활 제4주간 토요일 나를 본 사람은 곧 아버지를 뵌 것이다.

영성ㅣ기도ㅣ신앙

[신앙] 금쪽같은 내 신앙21-23: 자유의 교육학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23-10-24 ㅣ No.1990

[한민택 신부의 금쪽같은 내 신앙] (21) 자유의 교육학 (1)


자유롭게 하느님을 사랑하는 기쁨

 

 

신앙하면 많은 경우 의무와 순종이라는 단어를 떠올린다. 신앙은 자유와는 무관한 것, 혹은 자유와 반대되는 것으로 생각한다. 구원받기 위해 교회에서 가르치는 교리를 믿고 계명을 지켜야 한다. 맞는 말이다. 그렇지만 하느님께서 단순히 의무감으로 신앙생활을 하는 사람을 바라실까? 의무로 성당에 나오지만, 전혀 기쁘지 않은 얼굴로 오는 사람을 반갑게 맞아주실까?

 

교회는 신앙이 지성과 의지의 순종이며, 자유롭고 자발적인 응답이라고 가르친다. 무엇에 대한 응답인가? 하느님 자녀로 사는 삶으로의 초대에 대한 응답이다. 그 삶이란 고역과 짐이 아닌 기쁨과 환희의 삶, 하느님 자녀로서 누리는 진정 자유로운 삶이다.

 

되찾은 아들의 비유(루카 15,11-32 참조)에 나오는 큰아들은 동생이 돌아왔을 때 화가 난 나머지 집에 들어가려고 하지 않았다. 그는 평생을 아버지 곁에서 ‘종처럼’ 일하였다. 그는 방탕한 생활을 하고 돌아온 동생을 용납할 수 없었고, 그 동생을 맞아주신 아버지를 이해할 수 없었다. 그는 아버지 곁에서 열심히 일하였지만, 그의 마음은 자유롭지 않았고, 돌아온 동생을 보고 기뻐할 만큼 너그럽지 못했다.

 

어쩌면 우리도 아버지 말씀에 순종하며 열심히 성당에 다니고 계명을 지키며 살았지만, 실은 옹졸하고 고집스러우며 너그럽지 못한 마음을 갖고 있지는 않은지? “얘야, 너는 늘 나와 함께 있고 내 것이 다 네 것이다.”(루카 15,31) 하느님께서는 우리에게 모든 것을 주셨는데, 우리는 아버지 곁에 머물며 정말로 모든 것을 받아 누리는 자녀로서 기쁘게 즐겁게 살지 못하는 것은 아닌지?

 

신앙을 막연하게 의무요 순종으로만 여겨왔기 때문에 자유와는 무관한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예수님을 바라보자. 예수님께서는 자유로운 사람이셨다. 또한 당신께 오는 사람들에게 하느님의 자녀로 기쁘고 즐겁게 사는 자유로운 삶의 길을 알려주셨다.

 

여기서 자유가 하고 싶은 것을 자기 마음대로 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자. 그것은 자유가 아닌 찰나의 욕망에 따르는 유아기적 삶이다. 신앙이 하느님과 맺는 인격적인 관계이기에, 자유란 상대방의 사랑에 기꺼운 마음으로 자발적으로 응답하는 자세를 말한다. 자유란 자발성, 기꺼움과 상통한다. 하느님께서는 억지로 혹은 의무감으로 신앙하는 사람이 아닌, 자발적으로 그리고 기꺼운 마음으로 당신 사랑에 응답하는 자녀를 바라신다.

 

그러나 그 자유란 완성형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닌, 긴 시간에 거쳐 체득되고 완성되는 것임도 분명하다. 창조된 만물, 당신 아드님 그리고 교회(사도신경 참조)를 통해 끊임없이 나를 향해 거저 주시는 하느님의 사랑을 깨닫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 부모님의 깊은 사랑을 깨닫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과 같은 이치다. 그런 의미에서 신앙과 자유는 개인의 삶과 공동체 삶 안에서 계속해서 성장한다고 말할 수 있다. 신앙과 삶을 통해 하느님을 더 잘 알고, 그분과 더 깊은 인격적 관계를 맺을수록, 나는 더 자유롭게 하느님을 사랑할 수 있게 된다.

 

스스로 자유를 찾지 않으면, 나는 늘 누군가, 무언가의 노예로 살기 마련이다. 자신에게 물어보자. 나는 정말 자유로운가? 나는 자유를 찾고 염원하고 있는가?

 

하느님께서는 인생이라는 여정과 다양한 시험대를 통해 당신 자녀를 훈육하시고 양육하시며, 자유와 사랑을 경험하도록 배려하신다. 당신 아드님을 통해 드러난 당신의 사랑을 우리가 깊이 체험하고 변화하도록 말이다. 우리는 지금 그토록 위대한 신앙의 길을 찾고 걷도록 초대받고 있는 것이다. [가톨릭평화신문, 2023년 10월 22일, 한민택 신부(수원가톨릭대학교 교수 겸 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총무)]

 

 

[한민택 신부의 금쪽같은 내 신앙] (22) 자유의 교육학 (2)


넘어지고 쓰러지며 터득하는 자유

 

 

“뽈(바오로), 넌 이 신학교에서 자유롭단다. 그런데 너에게 하나의 의무가 있으니, 바로 자유로울 의무야.”

 

필자가 프랑스 유학 시절 신학원 영성지도 신부님께서 첫 영성 면담 때 하신 말씀이다. 자유로울 의무. 이 역설을 이해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 하느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길은 결코 남이 대신해줄 수 없고, 스스로 걸어야 하는 길이다. 그렇기에 자유로워야 한다. 자유롭지 못하면 결코 응답할 수 없다. 그러나 자유는 양성되어야 한다. 뿌려진 씨에 물과 거름을 주고 정성스레 가꾸어야 하는 것처럼, 자유 역시 정성스럽게 가꾸고 돌보고 보살펴야 한다.

 

사실을 말하자면, 자유로운 신학원 생활이 처음엔 좋았지만, 갈수록 고통스러웠다. 주어진 자유가 너무 편했지만 동시에 생소하기도 했다. 힘들었던 것은, 그 자유로 무엇을 해야 할지 몰랐다는 점이다. 살면 살수록 자유를 사용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음을 깨닫게 된 것이다. 그러다 보니 한국 신학교에서 쌓아올린 나의 삶은 조금씩 무너지고 생활은 피폐해져 갔다.

 

그러던 중 이대로는 안 되겠다는 위기감이 엄습했으며, 내가 왜 이곳에 와 있는지, 그리고 길 위에서 어디쯤 와있는지 스스로 묻게 되었고, 특히 부모님을 비롯한 고국에 계신 소중한 분들, 그리고 한국 교회의 신자분들을 떠올리게 되었다. ‘방탕’한 생활을 뒤로하고 영성지도 신부님과 함께 나의 일상을 새롭게 쌓아올리기 시작했다. 나는 아주 조금씩 다시 일어설 수 있었으며, 영성지도 신부님은 인내심을 갖고 동반해 주셨다. 그 과정에서 내가 가려고 하는 사제의 길을 내가 정말로 바라는지 묻게 되었으며, 나를 향한 주님의 음성 곧 “나와 같이 이 길을 갈 수 있겠니?” 하신 말씀을 분명히 들을 수 있었고, “예, 주님!”하고 답할 수 있었다.

 

영성지도 신부님께서는 이 과정을 자전거를 타는 것에 비유하셨다. 처음에는 미숙해서 넘어지기도 하고 다칠 위험도 있기에 보조 바퀴가 필요하지만, 어느 순간 바퀴가 없어야 자유롭게 다닐 수 있다. 신부님의 역할은 내가 스스로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보조 바퀴가 되는 것이고, 내가 스스로 갈 수 있을 때에는 보조 바퀴처럼 사라지는 것이라고 하셨다.

 

거기서 경험한 하느님의 교육학은 ‘자유의 교육학’이었다. 곧 자유를 양성하는 것이다. 자유는 저절로 자라는 것이 아니라 양성된다. 부르심에 응답하는 삶을 스스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고 동반하는 것이 초점이다. 그것은 시행착오를 거쳐야 하기에, 넘어지고 쓰러지는 것은 다반사이며, 그것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그래야 스스로 일어설 수 있고 계속해서 스스로 앞으로 가는 법을 배울 수 있는 것이다.

 

필자는 이 경험이 사제 성소만이 아닌, 모든 사람에게 해당한다고 확신한다. 모든 사람이 거룩하게 살라는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 보편적 부르심에서 사제도 수도자도 평신도도 다를 바 없다. 우리는 모두 하느님 자녀라는 동등한 이름으로 거룩한 삶으로 초대된 것이다. 그 초대에 응답하는 것은 누가 대신해줄 수 없다. 그렇기에 자유로워야 한다. 그러나 그 자유는 처음부터 완비된 것이 아니기에, 스스로 걷는 법을 체득해야만 한다. 사람마다 시기와 경로가 다르겠지만, 결국 그 길 위에서 자신을 향한 주님의 음성을 듣게 되며, “나와 함께 이 길을 걷지 않겠니?”하는 물음에 “예!”하고 응답하게 된다.

 

우리는 모두 스스로 신앙하는 법을 배우며 계속해서 걷고 있다. 이 길은 진정한 자유와 사랑을 배우는 기쁨의 길이며, 교회 안에서 주님께서 동반하시는 아름다운 길이다. [가톨릭평화신문, 2023년 10월 29일, 한민택 신부(수원가톨릭대학교 교수 겸 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총무)]

 

 

[한민택 신부의 금쪽같은 내신앙] (23) 자유의 교육학 (3) 한계 지어진 자유


반항과 갈등의 시간 거쳐 다져지는 신앙

 

 

인간은 자유로운 존재다. 그러나 인간의 자유는 한계 지어진 자유이기도 하다. 나 말고 다른 자유가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나의 자유는 크게 제약받는다. 그러나 그것 말고도 인간은 살면서 자기의 자유를 제약하는 수많은 장애물을 만난다.

 

인간의 타고난 조건이 원래부터 그렇기에, 한 인간이 얼마나 성숙했는지는 자유의 한계를 얼마나 수용하는지에 달려 있다. 부모는 아이가 원하는 것을 다 들어줄 때, 아이가 인격적으로 올바로 성장하지 못한다는 것을 잘 안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혹은 학교에서 다른 친구들과 어우러져 살면서, 아이는 모든 것을 자기 멋대로 해서는 안 되고 모든 것을 원하는 대로 받을 수 없다는 것을 배우며 성장하게 된다.

 

성경은 이 진리를 원조들의 타락 이야기를 통해 전해준다.(창세 2,4-3,24 참조) 하느님께서는 인간에게 모든 것을 주셨지만, 넘지 말아야 할 선도 그어 주셨다. 곧 ‘선과 악을 알게 하는 나무’에서는 따 먹으면 안 된다. 그것이 인간의 타고난 조건이며, 인간 자유의 타고난 한계성이다. 그것을 잊는 순간 파멸에 이를 것이며, 그것을 잊지 않고 지킬 때 진정한 인간다운 자유를 누릴 것이다.

 

이는 인간의 자유가 양육과 돌봄을 필요로 함을 의미한다. 자기 삶의 주인이 되어 스스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의 준비가 필요하다. 삶이란 어떤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부모로부터, 그리고 다양한 환경에서 대인관계를 통해 배워야 하는 것이다.

 

신앙도 이와 비슷하다. 세례성사를 통해 죄와 악에서 해방된 자유로운 존재로 새로 태어나지만, 그 자유란 아직 여려서 바람 앞의 등불처럼 꺼지기 쉽다. 자기 삶을 스스로 영위하기 위해 긴 양육과 준비의 시간이 필요하듯, 부모의(교회의) 신앙을 자신의 것으로 삼고 스스로 신앙을 살기까지 보호와 돌봄이 필요하며, 긴 단련의 시간이 요구된다.

 

이는 자녀의 신앙교육 문제를 새롭게 바라보도록 한다. 어느 날 자녀가 신앙에 대해 어려움을 토로할 때, 그것을 자유의 문제로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자녀가 자신이 받은 유아세례에 불만을 터뜨리며 왜 자신을 천주교 신자로 만들어서 종교의 자유를 빼앗았느냐고 따질 때, 이제 성당에 나가지 않겠다고 엄포를 놓을 때, 먼저 이러한 태도가 자연스러운 것임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기의 사춘기가 인간의 성장 과정에서 꼭 필요하듯, 아이가 신앙을 자기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반항과 갈등의 시간을 당연히 거쳐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인간의 자유가 한계 지어져 있음을 서로가 인식할 필요가 있다. 자기 삶을 살기 위해 20년을(혹은 그 이상을!) 준비하는 것처럼, 신앙의 이치와 그 안에 담긴 뜻을 깨닫기 위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함을 일깨울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그것 역시 억지로 할 수는 없으며, 자녀가 스스로 체득해야 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기다려주는 수밖에 없다. 지금 당장은 자녀가 수긍하지 않더라도, 하느님과 교회에 신뢰를 두고 인내심을 갖고 서로 대화하고 신뢰하며 계속해서 길을 걷다 보면, 어느덧 신앙의 사춘기를 딛고 조금씩 성장하며 자기 스스로 신앙을 선택하는 자녀를 발견할 때가 올 것이다.

 

그렇다고 거름을 주는 일을 멈춰서는 안 될 것이다. 자녀의 신앙과 자유가 성장하도록 하는 가장 좋은 거름은 바로 신뢰를 쌓는 일이다. 하느님과 교회 그리고 부모님과 자기 자신을 향한 신뢰를 쌓도록 이끌어 주는 것은, 성령께서 자녀의 신앙 여정 안에 활동하시는 데 가장 중요한 협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가톨릭평화신문, 2023년 11월 5일, 한민택 신부(수원가톨릭대학교 교수 겸 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총무)]

 

※ ‘금쪽같은 내신앙’ 코너를 통해 신앙 관련 상담 및 고민을 문의하실 분들은 메일(pbcpeace12@gmail.com)로 내용 보내주시면 소통하실 수 있습니다.



120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