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문헌ㅣ메시지
2025년 제9차 세계 가난한 이의 날 교황 담화문 |
---|
레오 14세 교황 성하의 제9차 세계 가난한 이의 날 담화 (2025년 11월 16일, 연중 제33주일) “주 하느님, 당신만이 저의 희망이십니다”(시편 71[70],5)
1. “주 하느님, 당신만이 저의 희망[이십니다]”(시편 71[70],5). 이는 극심한 환난에 짓눌린 무거운 마음에서 우러나온 말입니다. “주님께서는 저에게 많은 곤경과 불행을 겪게 하셨습니다.”(20절) 하고 시편 저자는 말하지만, 그럼에도 그의 마음은 여전히 열려 있고 신뢰에 차 있습니다. 시편 저자는 확고한 믿음으로 하느님의 도우심을 인식하며 이렇게 고백합니다. “당신은 저의 바위, 저의 성곽이십니다”(3절). 이로써 하느님에 대한 희망은 결코 우리를 부끄럽게 하지 않는다는 시편 저자의 굳건한 믿음이 드러납니다. “주님, 제가 당신께 피신하니 영원히 수치를 당하지 않게 하소서”(1절).
삶의 시련 속에서도 우리의 희망은 성령께서 우리 마음에 부어 주시는 하느님 사랑에 대한 굳건하고 분명한 확신으로 북돋워집니다. 희망은 결코 우리를 부끄럽게 하지 않습니다(로마 5,5 참조). 그래서 바오로 사도는 티모테오에게 다음과 같이 써 보낼 수 있었습니다. “바로 그것을 위해서 우리가 열심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 살아 계신 하느님께 우리가 희망을 걸고 있기 때문입니다”(1티모 4,10). 살아 계신 하느님께서는 참으로 “희망의 하느님”(로마 15,13)이시고,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의 죽음과 부활을 통하여 몸소 “우리의 희망”(1티모 1,1)이 되셨습니다. 우리는 이 희망으로 구원받았음을 한시도 잊지 말아야 하고, 이 희망에 굳건히 뿌리 내리고 있어야 합니다.
2. 가난한 이들은 강하고 굳건한 희망의 증인이 될 수 있습니다. 불확실하고 궁핍하며 불안하고 소외당하는 상황 속에서도 그러한 희망을 고백하기 때문입니다. 가난한 이들은 권력과 소유에서 평안을 얻지 못합니다. 오히려 그들은 권력과 소유로 고통받고 흔히 그 희생양이 되어버립니다. 그들은 필연적으로 다른 데에서 희망을 찾을 수밖에 없습니다. 하느님께서 우리의 첫째가는 유일한 희망이심을 깨달을 때, 우리도 덧없는 희망에서 영원한 희망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하느님께서 우리 삶의 여정에 함께하시기를 바라는 열망이 있으면, 물질적 부는 상대적인 것으로 여겨집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참 보화를 발견하기 때문입니다. 주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하신 말씀은 언제나 힘차고 명료하게 울려 퍼집니다. “너희는 자신을 위하여 보물을 땅에 쌓아 두지 마라. 땅에서는 좀과 녹이 망가뜨리고 도둑들이 뚫고 들어와 훔쳐 간다. 그러므로 하늘에 보물을 쌓아라. 거기에서는 좀도 녹도 망가뜨리지 못하고, 도둑들이 뚫고 들어오지도 못하며 훔쳐 가지도 못한다”(마태 6,19-20).
3. 가장 큰 가난은 하느님을 알지 못하는 것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께서는 「복음의 기쁨」(Evangelii Gaudium)에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가난한 이가 겪는 최악의 차별은 영적 관심의 부족이라는 것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상당수의 가난한 이들은 신앙에 특별히 열려 있습니다. 그들은 하느님을 필요로 합니다. 우리는 그들에게 하느님의 우정과 강복과 말씀, 성사 거행, 그리고 신앙의 성장과 성숙의 여정을 끊임없이 제공하여야 합니다”(200항). 하느님 안에서 우리의 보화를 발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인식이 여기 있습니다. 요한 사도는 이렇게 강조하였습니다. “누가 ‘나는 하느님을 사랑한다.’ 하면서 자기 형제를 미워하면, 그는 거짓말쟁이입니다. 눈에 보이는 자기 형제를 사랑하지 않는 사람이 보이지 않는 하느님을 사랑할 수는 없습니다”(1요한 4,20).
이것이 믿음의 법칙이자 희망의 비결입니다. 곧, 모든 지상 재화와 물질적 실재, 세속적 쾌락과 경제적 번영은 아무리 중요하다 하더라도 우리 마음에 행복을 가져다줄 수 없습니다. 부는 종종 우리를 기만할 뿐만 아니라 비극적인 가난, 무엇보다도 하느님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며 하느님 없이 살아가려는 시도에서 비롯되는 가난에 빠지게 할 수 있습니다. 아우구스티노 성인의 말씀이 마음에 와닿습니다. “여러분의 모든 희망을 하느님께 두십시오. 하느님에 대한 필요를 느끼고, 하느님께서 그 필요를 채워 주시게 하십시오. 하느님 없이는, 여러분이 소유하는 것이 무엇이든 여러분을 더욱 공허하게 만들 뿐입니다”(「시편 강해」[Enarrationes in Psalmos], 85,3).
4. 하느님의 말씀은 그리스도인의 희망이 인생 여정의 모든 단계에서 확실한 것이라고 우리에게 이야기합니다. 그 희망이 인간의 힘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성실하신 하느님의 약속에 의존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초대 교회 때부터 그리스도인들은 희망을 안전하고 견고한 닻의 상징을 통하여 인식해 왔습니다. 그리스도인의 희망은 당신의 죽음과 부활로 우리를 구원하셨고 우리 가운데에 다시 오실 주 예수님의 약속에 우리 마음을 고정해 주는 닻과 같습니다. 이러한 희망은 우리 존재의 참된 지평이자 모든 생명이 그 참된 의미를 찾게 되는 “새 하늘과 새 땅”(2베드 3,13)으로 우리를 이끌어 줍니다. 우리의 참된 고향은 하늘이기 때문입니다(필리 3,20 참조).
그러하기에 하느님의 도성은, 사람들의 도시를 더 풍성히 가꾸도록 우리를 재촉합니다. 이제 우리의 도시는 하느님의 도성을 닮기 시작해야 합니다. 성령을 통하여 우리 마음에 부어진 하느님의 사랑이 지탱하는 희망은(로마 5,5 참조), 인간의 마음을 생명과 세상을 위한 사랑이 꽃필 수 있는 비옥한 토양으로 변화시켜 줍니다. 교회의 전통은 믿음과 희망과 사랑의 세 가지 대신덕의 순환적 관계를 계속 강조해 왔습니다. 희망은, 모든 덕의 어머니인 사랑을 바탕으로 희망을 키우고 지탱하는 믿음에서 생겨납니다. 지금 여기에서 우리 모두는 사랑이 필요합니다. 사랑은 그저 하나의 약속이 아니라, 기쁨과 책임감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현실입니다. 사랑은 우리를 참여하게 하고 우리의 결정이 공동선을 지향하도록 인도합니다. 반대로, 사랑이 부족한 이들은 단지 믿음과 희망만 부족한 것이 아닙니다. 그들은 이웃들의 희망까지 빼앗아 갑니다.
5. 따라서 성경이 전하는 희망으로의 초대에는, 역사적 책임을 주저 없이 짊어져야 하는 의무가 따릅니다. 실제로 “사랑은 가장 큰 사회적 계명입니다”(『가톨릭 교회 교리서』[Catechismus Catholicae Ecclesiae], 1889항). 가난에는 맞서 싸워 뿌리를 뽑아야 하는 구조적 원인들이 있습니다. 또한 수많은 성인이 오랜 세월 증언해 왔듯이, 우리 저마다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증거할 새로운 희망의 표징들을 보여 주도록 부름받습니다. 예를 들어, 병원과 학교는 가장 힘없고 소외된 이들을 돕기 위하여 설립된 기관들입니다. 이러한 기관들은 각국의 공공 정책 안에 통합되어야 마땅하지만 전쟁과 불평등 때문에 종종 그렇게 되지 못합니다. 오늘날에는 요양원, 미성년자 보호 시설, 경청과 환대 센터, 무료 급식소, 노숙자 쉼터, 저소득층 학교 등에서 희망의 표징들이 점점 더 많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무관심을 걷어내고 다양한 형태의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참여를 이끌어 내는 데에 매우 중요한, 우리 눈에 잘 띄지 않고 숨어 있는 이러한 희망의 표징들이 얼마나 많이 존재합니까!
가난한 이들은 교회에 불편한 존재가 아니라, 사랑하는 형제자매입니다. 그들은 자신의 삶으로, 자신의 말과 지혜로 우리에게 복음의 진리를 접하게 해 주기 때문입니다. 세계 가난한 이의 날을 거행하는 의미는, 우리 공동체들에게 우리의 모든 사목 활동의 중심은 가난한 사람들이라는 사실을 일깨워 주려는 것입니다. 이는 교회의 애덕 활동만이 아니라 교회가 기념하고 선포하는 메시지에도 반영되어야 합니다. 하느님께서는 가난한 이들의 음성과 이야기와 얼굴을 통하여 우리를 부유하게 하시고자 몸소 그들의 가난을 입으셨습니다. 모든 형태의 가난은 예외 없이, 복음을 구체적으로 체험하고 효과적인 희망의 표징들을 보여 주라는 부름입니다.
6. 이것이 이번 희년을 경축하며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초대입니다. 이 은총의 해를 마무리하는 시점에 세계 가난한 이의 날을 기념하는 것은 그저 우연의 일치가 아닙니다. 성문(聖門)이 닫히고 나면 우리는 이 기도와 회심과 증언의 해를 지내며 받은 하느님의 선물들을 소중히 간직하면서 동시에 다른 이들과도 나누어야 합니다. 가난한 이들은 사목 활동의 대상이 아니라 오늘날 복음을 살아가기 위하여 새로운 길을 찾아야 하는 도전 과제를 우리에게 제시하는 창의적 주체입니다. 우리는 빈곤의 새로운 형태들에 직면하여 완고해지고 체념해 버릴 위험에 빠질 수 있습니다. 우리는 날마다 가난하거나 궁핍한 이들을 마주칩니다. 어쩌면 우리조차 예전보다 가진 것이 적어지고, 한때는 보장된다 여겼던 것들 곧 보금자리와 일용할 충분한 양식, 보건 의료와 양질의 교육과 정보에 접근할 권리, 종교 자유와 표현의 자유를 잃어가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이처럼 공동선을 증진하는 데에서 우리의 사회적 책임은, 모든 이에게 지상 재화를 함께 누리게 해 주신 하느님의 창조 행위에 기반합니다. 지상 재화와 마찬가지로 인간 노동의 열매도 모든 이가 공평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가난한 이들을 돕는 일은 애덕의 문제이기에 앞서 정의의 문제입니다. 아우구스티노 성인은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그대는 주린 이에게 빵을 줍니다. 그러나 아무도 굶주리지 않는다면 더 좋을 것입니다. 그렇게 될 때에 그대는 누구에게도 빵을 나누어줄 수 없지만 말입니다. 그대는 헐벗은 이에게 옷을 줍니다. 그러나 모두가 옷을 입어 그러한 궁핍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면 얼마나 더 좋겠습니까”(「요한의 첫째 서간 주해」[Commentarii in I Ioan], 8,5).
저는 이번 희년을 통하여, 오래된 것이든 새로운 것이든 온갖 형태의 가난을 척결하고 가난한 이들 가운데 가장 가난한 이들을 지원하고 도와줄 새로운 계획을 실행하려는 정책 개발이 촉진되기를 희망합니다. 노동, 교육, 주거, 보건은 무력 사용으로는 결코 이룰 수 없는 안보의 조건입니다. 이미 이루어지고 있는 일들에 감사를 드리며, 선의를 지닌 많은 이가 국제적 차원에서 날마다 펼치는 노력에도 감사드립니다.
근심하는 이의 위안이신 지극히 거룩하신 마리아께 우리 자신을 맡겨 드리고 그분과 함께 ‘사은 찬미가’(Te Deum)를 부르며 희망의 노래를 높이 올려드립시다. “주님, 저희가 주님께 바랐사오니 영원토록 부끄러움 없으리이다”(In Te, Domine, speravi, non confundar in aeternum).
바티칸에서 2025년 6월 13일 가난한 이들의 수호자,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 기념일 레오 14세 교황
<원문: Message of the Holy Father for the 9th World Day of the Poor, ‘You are my hope’ (cf. Ps 71[70],5), 2025.6.13., 이탈리아어도 참조>
영어: https://www.vatican.va/content/leo-xiv/en/messages/poor/documents/20250613-messaggio-giornata-poveri.html
이탈리아어: https://www.vatican.va/content/leo-xiv/it/messages/poor/documents/20250613-messaggio-giornata-poveri.html 0 11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