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15일 (화)
(백) 성 보나벤투라 주교 학자 기념일 심판 날에는 티로와 시돈과 소돔 땅이 너희보다 견디기 쉬울 것이다.

가톨릭 교리

교회의 언어: Ordo(오르도)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25-07-13 ㅣ No.5907

[교회의 언어] Ordo(오르도)

 

 

“질서”, “순서”, “계층”, “규율” 등을 의미하는 라틴어 “Ordo(오르도)”는 교회 안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 중 하나입니다. 성직 계층의 서열(Ordo Sacerdotalis)을 나타낼 때도, 수도회의 규율1)을 나타낼 때도, 미사의 순서(Ordo Missae)나 성무일도의 규칙(Ordo Divini Officii)을 나타낼 때도 사용됩니다. 하지만 이 “Ordo”에는 더 깊은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아우구스티노 성인은 “Ordo”를 하느님께서 창조하신 세상의 조화로운 질서로 보고, ‘올바르게 사랑하게 될 때 모든 것의 질서가 잡힌다.’는 뜻으로 “Ordo amoris(사랑의 질서)”라는 개념을 강조했습니다. 그래서 “Ordo”는 하느님의 뜻 안에서 조화로운 삶을 사는 것을 의미합니다.

 

토마스 아퀴나스 성인도 “Ordo rationis(이성의 질서)”라는 개념을 강조하며 이성(하느님의 지혜)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올바른 영적 삶이라고 말합니다. 혼란과 무질서는 죄로부터 오지만, 하느님의 질서 안에 머무를 때, 우리는 평화와 조화로움을 경험합니다.

 

결국 “Ordo”는 단순한 외적 규율이 아니라, 하느님의 뜻에 따라 정리된 삶과 영적인 조화를 의미합니다. 하느님 안에서 질서를 찾을 때, 우리의 내면도 평화롭게 정돈될 수 있습니다.

 

1) 예) Ordo Fratrum Preaedicatorum(도미니코 수도회), Ordo Sancti Benedicti(베네딕토 수도회)

 

[2025년 7월 13일(다해) 연중 제15주일 가톨릭부산 5면, 남영 세례자요한 신부(성소국장)] 



12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