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철학ㅣ사상
인공지능과 인간4: 기술은 인간을 어떻게 바꾸어 놓는가 (1) |
---|
[인공지능과 인간 4] 기술은 인간을 어떻게 바꾸어 놓는가 (1)
2011년 신학교에서 석사 논문을 써야 하는 시기가 되었을 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으로 대표되는 SNS의 급성장을 바라보며 소셜 미디어를 제 논문의 주제로 정했습니다. 신문이나 방송과 같은 기존의 매스미디어와 다른 소셜 미디어의 특성에 주목하며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이 세상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각 분야별로 이 새로운 미디어를 어떻게 잘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던 시기였습니다.
그때 제 관심을 끌었던 것 중 하나는, 정확히는 소셜 미디어의 등장보다는 인터넷이 인간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와 관련된 것으로 인터넷으로 인해 사람들의 뇌 구조가 변화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글을 읽고 그것을 논리적으로 탐구하여 새로운 정보를 얻고 그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던 시대에서, 인터넷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쉽게 검색하여 찾을 수 있고 잊어버리더라도 다시 찾으면 되는 시대로 변화하며 인간의 뇌 구조 자체가 바뀌고 있다는 주장이었습니다. 실제 우리의 뇌 구조가 바뀌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문해력 문제가 점차 심각해지고 글을 통해 소통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는 요즘의 현실을 생각하면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주장이라 생각합니다.
또 한 가지는 SNS가 가진 특성 탓에 사회의 양극화가 심화할 것이란 점이었습니다. 소셜미디어가 만들어 내는 인간관계는 현실 세계의 인간관계와 달리 관심사에 따라 아주 쉽게 만들어지며 언제든 끊을 수 있는 매우 느슨한 형태라는 특성을 가집니다. 더구나 알고리즘은 나와 비슷한 성향과 관심사를 가진 이들을 아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만들어줍니다. 그 결과, 학교나 회사와 같은 공간이 형성한 인간관계로 인해 갈등 속에서도 함께해야 했던 관계에서 벗어나, 이제는 나와 잘 맞는 사람들과만 소통하는 관계로 변화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오늘날 이러한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유튜브 알고리즘이라 생각합니다. 특정 주제의 영상을 하나만 시청해도 이와 관련된 영상들이 내 유튜브 메인 화면에 주르륵 뜨는 것을 아마 모두들 경험해 보셨을 겁니다. 제가 논문을 발표하던 2014년까지도 SNS의 영향력을 과소평가하던 사람들이 많아 별로 주목한 사람들이 없던 연구였지만 2020년대 이후로 그리고 특히 최근 우리나라의 모습을 보면 양극화는 너무나도 심각한 문제가 되었습니다.
대략 10여 년 전, 인터넷에 익숙하지 않고 SNS라는 건 젊은 사람들, 그리고 특히 자기를 드러내기 좋아하는 사람들이나 열심히 하는 거라고 생각했던 분들이라면 소셜미디어가 인간의 뇌 구조를 바꾸고, 우리 사회를 바꿀 것이란 주장들이 지나친 걱정이라 생각했을 겁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 사회는 분명히 변화되었습니다. 저는 인공지능도 마찬가지의 입장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새로운 기술의 등장은 늘 인간을, 그리고 변화된 인간들이 모인 사회를 아주 크게 변화시키곤 합니다.
(이 주제에 대해 관심이 있는 분들은 니콜라스 카의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셰리 터클의 <외로워지는 사람들>과 <대화를 잃어버린 사람들>을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
[2025년 3월 23일(다해) 사순 제3주일 춘천주보 4면, 안효철 디오니시오 신부] 0 6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