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신학ㅣ사회윤리
[생명] 청년들을 위한 생명 지킴 안내서7: 부모가 되면 조건 없이 내어주는 사랑 체험 |
---|
[청년들을 위한 생명 지킴 안내서] (7) 부모가 되면 조건 없이 내어주는 사랑 체험
제2장 사랑이란 무엇일까? 전개 2. 인격과 함께 성장하는 사랑 2) 혼인 안에서 증여하고 일치하는 사랑의 능력
인격적으로 성숙하게 ‘자기 됨’을 이룬 사람은 나아가 타인과 소통하고 연대하면서 직업을 가지고, 배우자를 선택하여 혼인합니다. 사람은 혼인을 통해서 사랑의 새로운 국면을 맞이합니다. 혼인은 한 남자와 한 여자가 부부의 사랑과 자녀의 출산과 교육을 지향하는 서약을 통하여 평생 공동 운명체를 이루는 것입니다. 혼인 안에서 한 남자와 한 여자는 인격적인 존재로서 자신을 서로에게 선물로 증여하며, 성적 결합을 포함한 일치를 통해서 부부 사랑을 이루고, 생명의 출산을 지향함으로써 사랑하는 능력을 성장시켜 나갑니다. 혼인 이전의 사랑이 인격적인 ‘자기 됨’을 이루는 사랑의 성숙 과정이었다면, 혼인 이후의 사랑은 인격적인 ‘자기 됨’을 이룬 두 사람이 상대방에게 인격적으로 자기 자신을 내어 주는 동시에 전인격으로서 증여된 상대방을 온전한 인격으로 기꺼이 수용함으로써, 새로운 생명을 지향하는 사랑으로 성장해 나가는 과정입니다.
자기 자신을 증여하고 수용하는 사랑의 체험은 ‘자기 됨’을 이룬 고유한 인격이 서로 일치하는 가운데 새로운 인격의 탄생을 지향하는 부부 사랑을 완성하게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부부 사랑은 더 나아가 인간 생명의 창조적 능력에 협력하는 최고의 친밀감 체험으로까지 이어집니다. 부부는 각자 고유하고 개별적인 존재였지만, 일치된 사랑의 체험을 통하여 새로운 자신으로서 서로를 체험하고 이해하게 됩니다. 성적 사랑의 친밀감으로 유대를 맺은 부부는 헌신적인 사랑으로 더욱 깊고 견고하게 일치하여 사랑의 성장을 실현합니다. 이러한 증여와 일치는 임신과 출산을 통해서 더욱 새로운 사랑의 능력으로 성장하는 것입니다. 임신과 출산은 부부를 부모가 되게 합니다.
함께 작업해 봅시다
‘내 삶의 여정’(성장 곡선, 행복)을 그래프로 그립니다. 그리고 각자 사랑의 성장 과정에서 중요한 계기가 되었던 사건과 그 영향에 대하여 그래프에 표시해 보세요.
함께 나누어 봅시다
각자 사랑의 성장 과정에서 중요한 계기가 되었던 사건에 대하여 서로 나누어 보세요.
3) 새로운 생명을 창조하는 사랑의 능력
한 남성과 한 여성이 혼인하여 부부가 됩니다. 그러나 한 남성이 혼인했다고 해서 그 남성을 아버지라고 부르지는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한 여성이 혼인했다고 해서 그 여성을 어머니라고 부르지도 않습니다. 어느 누군가를 아버지나 어머니로 부르는 것은 그에게 자녀가 있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아버지와 어머니는 사랑의 성장을 통하여 이루어진 특별한 관계의 이름입니다. 아버지나 어머니가 된 이들은 너무나 놀랍게도 자신을 조건 없이 내어주는 사랑의 능력을 체험하게 됩니다. 자녀의 출산은 부부가 된 이들이 새로운 생명을 창조하는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인간적이고 인격적인 생산성을 경험하게 합니다. 부부는 혼인과 출산을 통해서 배우자와 자녀를 기꺼이 배려하는 사랑을 살아갑니다. 아버지와 어머니가 된 이들이 지니는 사랑의 능력은 서로를 살게 하고 약한 것을 돌보며 타인을 배려하게 합니다. 부모로서 살아가는 사랑의 능력은 인간적인 사랑 가운데 가장 신적인 사랑으로 칭송받는 하느님다운 사랑, 자신을 조건 없이 내어 주는 아가페적 사랑입니다.
함께 나누어 봅시다
삶의 마지막 순간에 이루고 싶은 ‘사랑’의 모습에 대하여 나누어 보세요.
결론 : 자기완성에 이르는 사랑
사랑은 우리가 알고 느끼는 것보다 더 강력하고 위대합니다. 진정으로 사랑하기 위해서는 온전히 ‘자기 됨’을 이루어야 합니다. 그래야 인간은 성적인 면을 포함하여 정서적이고 사회적이며 지성적이고 영적인 가치를 지닌 인격 존재로서 자기 자신을 상대방에게 기꺼이 증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간은 자신에게 증여된 인격 존재를 온전히 수용하며 그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어야 합니다. 인간은 상대방을 위해서 기쁜 마음으로 자기 자신을 내어줌으로써 (성적 요소를 포함해서) 배우자와 일치를 이루고, 나아가 생명 창조의 능력을 실현함으로써 자기완성에 이르는 사랑의 성장 과정을 살아갑니다. 그러므로 인간의 삶 전체가 사랑이 성장하는 여정입니다. 그러기에 우리가 나누고 살아가는 사랑은 매 순간 선을 향하여 성장하는 ‘특별한 사랑’입니다.
추천 도서 에릭슨의 성격 발달 이론 관련 서적
교회 문헌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25
[가톨릭평화신문, 2025년 2월 16일] 0 11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