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9일 (토)
(홍)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너는 베드로이다.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성인ㅣ순교자ㅣ성지

[순교자] 그림으로 보는 순교자 열전68: 김진후 비오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10-10-30 ㅣ No.853

그림으로 보는 순교자 열전 (68) 김진후 비오


옥중 신공(제111도)

 

 

김진후(비오)가 옥중에서 기도를 바치면서 열심히 신앙을 실천하고 있다. 그림=탁희성 화백.

 

 

김진후(비오, 1739~1814)는 충청도 면천 솔뫼(현 충남 당진군 우강면 송산리)에서 태어났다. 성 김대건(안드레아) 신부의 증조부요, 1816년에 순교한 김종한(안드레아)의 부친이다. 족보에는 그의 이름이 '운조'(運祚)로 기록돼 있다.

 

김진후는 50살쯤 됐을 때 이존창(루도비코 곤자가)에게서 교리를 전해들은 맏아들의 영향으로 천주교 신앙을 접했다. 하지만 처음에는 천주교 교리에 귀 기울이지 않았다. 특히 감사 밑에서 작은 관직을 얻게 되자 맏아들을 비롯한 자식들 권유를 강하게 물리쳤다.

 

그러나 자식들의 꾸준한 노력에 점차 회심하게 됐고 마침내 관직을 버리면서까지 신앙생활에 열성과 모범을 보였다.

 

김진후는 1791년 신해박해 때 처음으로 체포된 이후 네댓 차례나 체포됐으나 그때마다 풀려나곤 했다. 1801년 신유박해 때도 체포됐다 유배형을 받았지만 곧 해배됐다. 1805년 다시 체포돼 해미로 압송된 그는 이때부터 관장 앞에서 서슴없이 신앙을 고백했다. 그러나 당시 박해가 공식적이 아니어서 그는 사형판결을 받지 못한 채 옥중에서 지냈다. 그렇게 10년이란 세월이 흘렀다.

 

김진후는 오랜 옥중 생활 끝에 1814년 12월 1일(음력 10월 20일) 마침내 숨을 거두고 말았다. 그의 나이 75살이었다.

 

[평화신문, 2010년 10월 24일]



파일첨부

717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