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5일 (화)
(백)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 남북통일 기원 미사 두 사람이나 세 사람이라도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다.

성인ㅣ순교자ㅣ성지

[순교자] 대구지역 순교자: 김희성 프란치스코의 순교 이야기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14-06-23 ㅣ No.1294

[대구지역 순교자 20위의 삶을 묵상하며 - 대구대교구 시복시성위원회] 온화한 성품의 모범


김희성 프란치스코(1765-1816)의 순교 이야기



좋지 않은 일로 갑자기 마음이 급해지면 행동도 급해진다. 그런 때 기도해야 한다는 생각조차 잊어버린 체 허둥거리며 당황하고 불안하거나 심지어 화를 내기도 한다. 그게 나 혼자만의 일이 아니라 우리 가족의 일일 때는 더 경황이 없어진다. 순교자 김희성 프란치스코는 달랐다. 밀고자가 포졸들을 이끌고 그를 체포하러왔을 때, 그는 아들에게 당부하기를 “나는 하느님의 명을 따라 가야 한다마는, 너는 나를 따라오지 말고 집안을 보살피되, 특히 할머니를 극진히 모시거라.”하고서 아주 기쁜 표정으로 포졸들에게 음식을 대접하였다. 어머니께 하직 인사를 올리면서 너무 슬퍼하지 말라며 위로해 드리고, 아내에게는 시어머니를 잘 봉양하고 자식들을 잘 가르친 뒤에 자신의 뒤를 따르도록 당부하였다. 그는 오랏줄에 묶인 후 편안하고 웃는 얼굴로 포졸을 따랐으며 그의 마음은 천국을 향한 기쁨으로 넘쳐났다.

본디 그는 급한 성격이었으나 끊임없는 고신극기의 수행을 통해 온화해졌기에 사람들마다 그의 성품을 찬탄하였다. 안동 관아로 끌려간 그는 그곳에서 문초와 형벌을 받은 후 다시 대구로 이송되어 고문을 받았다. 그가 관원들이 오히려 당황할 정도로 항구하게 신앙을 증거하자, 대구 감사는 그의 심지가 확고해 더 이상 배교시킬 수 없음을 판단했다. 조정에 올린 그에 관한 서신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 되어 있다. “김희성은 집 안에 천주교 서적을 숨겨 왔으며, 평소에 십계명과 같은 요사한 글들을 이웃과 함께 외우곤 하였습니다.”

1765년 충청도 예산 여사울에서 순교자 김광옥 안드레아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며 영혼을 구하는 일에 힘쓰면서 살았다. 아버지의 순교 후 재물을 버리고 경상도 영양으로 숨어들어 가족들과 함께 금욕생활과 고신극기를 실천하며 살았다. 1815년 3월에 체포되어 대구에서 옥중 생활을 하다가 1816년 12월, 그의 나이 51세에 참수형으로 순교하였다.

순교자 김희성 프란치스코님! 저희도 매일의 일상에서 덕행을 닦아 갑작스런 어려움에도 온화한 모습으로 주님이 드러나도록 빌어주소서.

[2014년 6월 22일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대구주보 3면, 글 대구대교구 시복시성위원회, 그림 김효애 크리스티나]



995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