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9일 (토)
(홍)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너는 베드로이다.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성미술ㅣ교회건축

제대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04-10-30 ㅣ No.8

제대

 

 

우리말 제대는 제단과 구별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이미 용어를 그렇게 정착시켰다. 곧 '제대'는 미사를 봉헌하기 위해 초를 놓고 미사 전례서와 성작, 성반 등을 올려놓은 탁자를 가리킨다. 반면 '제단'은 제대가 위치하고 사제석, 봉사자석, 복음선포대(독서대) 등이 위치한 일정한 구역으로서 일반 신자석과 구별되게 몇 개의 단으로 높여 놓은 영역을 말한다.

 

제대(altar)란 말은 라틴어로 '높은' 또는 '드높여진'(altus)이란 뜻에서 유래하였다. 본래 제대는 하느님과 인간 사이의 결합(합일)점을 위해 사용되는 드높여진 장소(자리)이다. 이런 이유로 거룩한 제물을 올려놓기 위해 산이나 언덕이 우선시 되는 장소들이다. 거기서 하느님은 내려오시고 인간은 거기로 올라간다. "(하늘을 기울여) 산으로 내려오소서, (발길이 닿기만 해도) 산들이 연기를 뿜으리이다."(시편 143.5) 어떤 지역에서 예배의 초기에는 운석같이 때때로 하늘에서 떨어진 바위덩어리였다.(메카의 경우)

 

제대는 또한 예배의 장소를 총체적으로 일컫기도 한다. 동방 교회에서 그렇게 지칭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 가운데에 위치한 중심을 의미한다. 곧 하느님께 드리는 음식을 차려놓은 식탁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 돌식탁 위에 놓은음식물들은 하느님의 손안에 놓인 것과 같은 것이다. 제물에 불을 질러 태우는 것(구약의 제사)은 하늘로 곧장 올라가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하느님이 바쳐진 연기를 맡으신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창세 8, 21 참조). 이 탁자 위에서 봉헌물들이 거룩한 성별의 영역 안에 들어가면, 제대는 하느님의 거룩한 것에 참여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모든 이들이 가까이 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보통 사제들만이 미사 전례에서 실질적으로 친구(입맞춤)하는 것과 같은 공경의 행위와 함께 접근할 수 있다(출애 29장 참조).

 

제물을 태워 연기로 하느님께 올라가게 하는 희생제사의 탁자인 제대는, 하느님과 믿는이 공동체가 친교의 표지로 음식물들을 나누는 식탁이다. 하느님에 의해 주어진 음식은 그분께 되돌려지는 것이며, 사람에게 주어지는 몫은 전적으로 거룩한 것으로 이해되었다. 하느님과 인간은 이 음식을 통해 같은 생명으 ㄹ통교하는 것이다. 곧 한 식구, 한 솥의 밥을 먹는 사이이다. 이스라엘 백성의 시나이 계약은 모세가 십계명을 받은 이야기이다. 이 계약의 종결 부분에서 희생 제물의 피 일부를 제대 위에 뿌렸다. 그것은 하느님을 또 다른 부분은 계약 맺은 백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희생제사의 덕분으로 하느님과 인간은 피를 나눈 혈연관계가 맺어진다(출애 24장 참조).

 

신약(새 계약)에서 그리스도께서는 실존적으로 하느님으로서 제대이며, 인간으로서 희생제물이며 사제이시다. "그리스도께서는 십자가에 몸을 바쳐 옛 제사를 완성하셨으며, 저희 구원을 위하여 자신을 아버지께 맡기시고 사제요 제대이며 어린양(제물)이 되셨다."라고 다섯 번째 부활감사송은 말하고 있다.

 

제대 축성 때는, 축성 성유로 다섯 번의 십자표를 그으며 도유한다. 가운데 한번 그리고 네 귀퉁이에 한다. 그리고 제대의 전 표면 위에 대해서도 하는데, 이것은 이 돌(반석)을, 성부께서 성령으로 도유하신 그리스도의 상징이 되게 만드는 것이다. 제대 위에 피우는 향은, 감미로운 향기로(에페 5,2) 성부께 봉헌하신 그리스도의 희생을 상징하고 성령으로 영감받은 신자들의 기도를 상징한다. 제대 위에 겹으로 덮은 제대보는 제대가 성찬 음식을 위한 식탁임을 가리킨다. 이 식탁에서 하느님과 인간은 서로 통교한다. 더 이상 동물의 희생제물의 피가 아니라 육화하시고 죽으시고 부활하신 말씀의 피로 일치를 이룬다. 제대 주변 또는 가장자리에 밝힌 촛불들은 그리스도를 나타내는데, "뭇 민족들을 비추기 위한 빛"(루가 2,32)을 말해준다. 제대의 판 아래에 준비된 함이 있는데, 성인의 유해를 넣는다. 이것은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희생(제사)과 신비체인 교회 구성원의 희생의 일치를 보여주는 것이다. 지금은 유해를 모시지 않아도 무방하다. 현 우리 가톨릭 교회에서, 제대는 신약의 유일한 희생제사를 새롭게 하신 자리로 이해하며, 성전 전체에서 수렴하는 중심점인 것이다. 제대의 내면적인 위엄(중요성을)을 더 잘 드러내기 위해, 영속적으로 성체 보존을 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로 성체께 대한 공경의 태도로 장궤(깊은 절)를 하듯이, 또한 제대에도, 십자가에 대한 것보다 더, 신자들은 공경의 행위를 갖도록 해야 한다. 미사 시작과 끝에 사제가 제대에 하는 친구(입맞춤)는 공경과 친교의 표지이다. 그래서 제대, 사제, 성찬례는 부수적인 차원에서 그리스도의 상징이다.

 

단지 고정된 제대만 축성한다. 이동할 수 있는 제대는 주교나 교회의 책임 사제에 의해 축복된다. 그리고 성인의 유해는 넣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전례생활, 제1호(2001년 3월 26일), 나기정 다니엘 신부]



1,566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