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3일 (월)
(홍)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소작인들은 주인의 사랑하는 아들을 붙잡아 죽이고는 포도밭 밖으로 던져 버렸다.

수도 ㅣ 봉헌생활

영성의 향기를 따라서: 서울 포교 성베네딕도 수녀회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07-02-28 ㅣ No.87

[영성의 향기를 따라서] 서울 포교 성베네딕도 수녀회 (상)

 

 

서울 포교 성베네딕도수녀회는 하느님의 영광을 위해 투신하고 있다. 사진은 종신서원식 장면.

 

 

1885년 교회사안에서는 6세기부터 지속돼온 베네딕도회 수도 전통에 자신의 포교사상을 접목시킨 새로운 남녀 수도회가 창설되는 기록이 남겨진다. 

 

창립자는 독일 보이론 관상 베네딕도수도회 회원이었던 안드레아스 암라인(Andreas Amrhein) 신부였고 그 수도회는 현재 한국 교회안에서도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는 포교 성베네딕도 수녀회였다.

 

서울 포교 성베네딕도수녀회의 탄생은 그같은 복음화를 전제로 수도승의 삶을 살고자 한 암라인신부의 창설 영성에서 비롯된 것으로써 교회 수도회 역사 안에 또 하나의 신기원을 세우는 기록이 됐다.

 

1844년 2월 4일 스위스 군쯔빌에서 태어난 암라인 신부는 중세기 교회사를 배우는 과정에서 성 베네딕도회의 수도승적 생활을 통한 사도직 활동 영향으로 유럽 여러 나라들이 그리스도교의 구원과 문화를 받아들인 것을 지켜보았고 베네딕도회적 포교 사업에 대한 깊은 매력을 느꼈다.

 

베네딕도의 수도원이 서구 문화에 끼친 영향의 막대함을 인지하고 베네딕도 수도승의 영성에 깊이 감명을 받았던 그는 보이론 베네딕도회의 마우루스 아빠스의 인품과 보이론 예술의 놀라운 문화에 감명을 받아 1870년 독일 보이론 베네딕도 수도원에 입회했다.

 

그는 「수사로서의 삶」과 「선교사」라는 이중의 부르심을 느끼고 베네딕도회의 수도승적 축성 생활에 애착을 깨우치면서도 외교인들을 위한 선교사 양성의 못자리가 될 수도회 창설의 소명을 깨우쳤다.

 

이후 자신이 속했던 수도원 보이론 베네딕도 수도원과 친구들은 물론 교회안에서 수도승적 규율 준수와 선교사라는 특별한 생활 양식에 대한 인가를 얻기 위해 온 생애를 바쳤다.

 

수도승적이면서도 선교사로서의 특성을 가진 수도회 창설은 당시 시대적 환경 안에서는 불가능한 일처럼 보였으나 마침내 1885년 교황 레오 13세가 인가를 내림으로써 「베네딕도회 수도승 생활을 하는 가운데 하느님 나라를 선포하는」 수도회가 모습을 드러냈다. 

 

이러한 과정에서 탄생한 포교 성 베네딕도 수녀회는 초대 비르짓다 코르프 총원장에 의해 1904년 독일 튜찡(Tutzing)에 정착했다. 그런 면에서 올해는 튜찡 모원 정착 100주년의 해이기도 하다.

 

수녀회의 영성은 외방에 파견되는 수도자 일지라도 베네딕도 수도승의 생활을 전제, 즉 공동체로 하느님을 찬미하는 「하느님의 일: Opus Dei」과 「거룩한 독서:Lectio Divina」의 삶을 우선하는 수도승의 생활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이는 성 베네딕도께서 강조하시는 『모든 것을 하느님의 영광을 위하여』(성 베네딕도의 규칙서 57장 9절) 생활하는 삶이며, 하느님 현존을 늘 의식하며 일상을 사는 삶이다. 성인은 『그리스도보다 아무것도 더 낫게 여기지 말라』(성 베네딕도의 규칙서 4장 21절)는 근본적인 크리스찬 삶의 원형에서 비롯된다.

 

이런 면에서 『모든 것을 하느님의 영광을 위하여』(성규57장 9절) 사는 베네딕도의 삶의 지표는 『기도하고 일하라Ora et Labora』로 대표되었고 베네딕도 수도회를 상징하게 되었다.

 

수녀회의 한국 진출은 1925년 독일 툿찡 모원에서 파견된 4명의 독일 수녀들이 함경남도 원산에 입국 수련소를 개설한후 수녀원을 시작한데서 출발하며 서울 포교 성베네딕도 수녀원은 1987년 회원들의 숫자가 많아짐에 따라 서울과 대구로 수녀원을 분리함으로써 설립됐다. [가톨릭신문, 2004년 7월 4일, 이주연 기자]

 

 

[영성의 향기를 따라서] 서울 포교 성베네딕도 수녀회 (하)

 

 

수도생활 자체를 선교로 보는 수도회의 특성에 따라 수도승의 삶을 지구촌이 함께 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적인 협력에도 주력하고 있다. 사진은 연례 장상모임 장면.

 

 

창설 2년 후인 1887년부터 아프리카 여러 나라에 선교사 수녀들을 파견하기 시작한 포교 성 베네딕도 수녀회는 1925년 11월 21일 성모 봉헌 축일에 원산 교구장 보니파시오 사우어(Bonifatius Sauer) 주교 초청으로 한국에 진출했다. 

 

수녀회는 당시 원산교구에 필요한 본당사목 유치원사목과 주민들의 요구였던 시약소를 개설, 시대적 지역 요청에 응하였으며 학교에 가지못한 아이들을 위한 빈민학교와 부녀자 대상 교육 일환으로 야학을 실시하는등의 활동을 펼쳤다. 

 

서울 포교 성 베네딕도 수녀회는 대구 포교 성 베네딕도회에서 1987년 분가된 프리오랏이다. 회원수가 많아지면서 베네딕도회 특성인 독립 수도원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회원수 200명이 넘을 때 분가를 시도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판단에서였다. 대구 수녀회는 북한 공산화와 한국 전쟁으로 남한에 피난, 대구에 정착한 수녀회로써 현재는 파티마 병원 등을 운영하고 있다.

 

분가 후 서울 수도회는 수익 사업체를 지양하고 기도와 일의 조화를 이루며 하느님을 찬미하는 공동 기도와 공동 생활 양식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으며, 대구 수녀원에서 설립한 서울 지구와 인천 지구, 수원 지구에 있는 분원을 기반으로 서울 돈암동 아리랑 언덕에 자리잡은 상지 피정의 집 피정 센터를 서울 수녀원 본부로 삼았다.

 

1989년 마침내 미국 스카일러에 있는 남자 분도회 도움으로 본원 건물을 신축, 11월 16일 신비가인 베네딕도회 성녀 성 겔트르드를 주보로 하여 한국 교회안에 또 하나의 베네딕도회 독립 수도원이 창립됐다. 

 

수녀회는 하느님을 찬미하는 「하느님의 일: Opus Dei」과 「거룩한 독서: Lectio Divina」의 삶을 우선하는 수도승의 생활을 강조하고 있으며, 하루에 7번 공동 기도와 개인 기도 시간을 통해 사도직에 임하고 있다.

 

이는 성 베네딕도께서 강조하는 『모든 것을 하느님의 영광을 위하여』(규칙서 57:9)를 생활화하는 삶이며, 하느님 현존을 늘 의식하며 일상을 사는 삶이다.

 

「기도하고 일하는」 베네딕도회 영성을 살리기 위해 최소한 4명 이상의 공동체 형성을 회헌으로 강조하고 있는 수녀회는 본당에 파견되는 경우에도 2~3명의 본당수녀와 함께 유치원사목, 사회사목을 병행하여 4인 이상의 공동체가 되도록 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수도생활 자체를 선교로 보는 수도회의 특성에 따라 수도승의 삶을 지구촌이 함께 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적인 협력에도 주력하고 있다.

 

현재 서울에서는 케냐에 4명을 파견하고 있으며 우간다에 2명, 나미비아에 1명, 로마 총원에 1명 그리고 동독에도 파견을 준비하고 있다. 미국 동부 뉴웍 교구의 데마레스트 분원에서 5명의 수녀들이 2개의 본당을 맡아 이민 사목을 하고 있다. 

 

창설 당시부터 「해외에 파견하여 수도승의 삶을 사는 것」을 선교로 본 수도회 정신에 따라 현재 18개 나라 23개 지구에서 수도 생활을 하고 있는 수녀회는 수도회간 유대를 위해 영어를 국제 통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가톨릭신문, 2004년 7월 11일, 이주연 기자]



840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