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6일 (수)
(녹) 연중 제12주간 수요일 너희는 그들이 맺은 열매를 보고 그들을 알아볼 수 있다.

성인ㅣ순교자ㅣ성지

[순교자] 복자 유중철 요한 약전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06-01-31 ㅣ No.383

유중철 요한(1779-1801년)

 

 

‘종석’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던 유중철(柳重哲) 요한은, 1779년 전주 초남이(현, 전북 완주군 이서면 남계리)의 부유한 양반 집안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1801년에 순교한 유항검 아우구스티노가 그의 부친이고, 이순이 루갈다가 그의 아내이며, 유문석 요한은 그의 동생이다.

유 요한의 집안에서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이게 된 것은, 한국 천주교회가 창설된 직후에 부친인 유항검 아우구스티노가 경기도 양근에 살던 인척인 권일신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에게 교리를 배워 입교하면서였다. 이후 부친은 가족과 친지들에게 널리 교리를 전하였고, 그의 집은 전라도 신앙 공동체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러한 환경으로 유 요한은 일찍 세례를 받고, 신앙 안에서 자라나게 되었다. 또 그는 한정흠 스타니슬라오에게 오랫동안 글을 배워 어느 정도 학식도 갖추게 되었다.

“유중철은 성실하고 솔직한 신심, 굳은 신앙과 열렬한 애덕을 갖추고 있었다. 본분에 충실하고 올바른 생활을 하며, 세속의 모든 허영을 업신여겼으므로 젊은 나이인데도 무게가 있고 점잖은 어른 대접을 받았다.”

유중철 요한은 16세가 되던 1795년, 주문모 야고보 신부가 초남이 마을을 방문하였을 때 첫영성체를 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이때 ‘동정 생활을 하겠다.’는 자신의 결심을 주 야고보 신부와 부친 앞에서 털어놓았다.

그로부터 2년 뒤 주 야고보 신부는, 한양에 살던 이순이 루갈다에게서 동정을 지킬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요청을 받게 되었다. 이에 주 야고보 신부는 전주에 사는 유 요한을 염두에 두고 둘의 혼인을 주선하였고, 마침내 1797년 가을에 유 요한과 이 루갈다의 혼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1798년 10월 유 요한은 아내 이 루갈다와 함께 부모님 앞에서 동정 서약을 하고, 오누이처럼 일생을 살겠다고 다짐하였다.

이후 유 요한은 동정 서약을 어길 마음이 생길 때마다 이 루갈다와 함께 기도와 묵상으로 이를 극복해 나갔고, 함께 순교의 길로 나가자고 굳게 다짐하였다. 그러다가 1801년 봄, 신유박해로 체포되어 전주 옥에 갇히게 되었다.

유 요한이 갇히게 되자, 동생 유문석 요한이 줄곧 전주를 오가면서 음식을 가져다주었다. 그러나 의복만은 전해줄 수 없었으므로 한여름에도 겨울옷을 그대로 입고 지내야만 하였다. 그는 밤낮으로 목에 칼을 쓰고 있어야만 하였으며, 옥중의 고통은 그에게 진정한 형벌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 요한은 조금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고 끝까지 자신의 신앙을 보존하였다.

9월 중순에는 유 요한의 아내 이 루갈다를 비롯하여, 동생과 다른 가족들도 체포되었다. 그리고 20여 일 후에 포졸들은 유문석 요한을 가족에게서 떼어 내, 형 유중철 요한에게 데려왔다. 그런 다음 관장의 명에 따라 그 둘을 교수형에 처하였으니, 그때가 1801년 11월 14일(음력 10월 9일)로, 요한의 나이는 22세였다.

유중철 요한이 순교한 뒤, 옥중에 있던 아내 이 루갈다는 그가 끝까지 신앙을 지키고 순교하였다는 것을 확인하고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마침내 편지 한 장이 집에서 왔습니다. 그 편지에는 이러한 말이 적혀 있었습니다. 요한의 옷 안에서 자기 누이(곧 아내 루갈다)에게 보내는 쪽지가 발견되었는데, 그 쪽지에는 ‘나는 누이를 격려하고 권고하며 위로하오. 천국에서 다시 만납시다.’라는 내용이 들어 있었습니다.”

[주교회의 시복시성 주교특별위원회 편, '복자'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123위 '하느님의 종' 증거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 서울(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14년]



파일첨부

858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