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일 (일)
(백)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이는 내 몸이다. 이는 내 피다.

성인ㅣ순교자ㅣ성지

[성지] 울산 장대에서 대구로 이어진 신앙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04-10-30 ㅣ No.214

울산 장대에서 대구로 이어진 신앙

 

 

울산 시내 동쪽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동해 남부선의 효문 역 근처에는 이 지역의 유명한 순교 터인 '울산 장대'(울산시 중구 남외동 567번지)가 있다. '장대'란 군대 지휘관이 올라서서 군사를 지휘하던 곳으로 대부분 돌을 쌓아 만들었다. 이 곳 울산에는 경상좌도 병마 절도사의 지휘소가 있었고, 장대 앞에는 군인들의 주둔지와 연병장이 위치해 있었으므로 자주 중죄인들의 처형장으로 이용되었으며, 경신박해와 병인박해 때는 교우들의 형장이 되었다.

 

그 첫 번째 순교자인 오치문(베드로 ?)은 언양의 명문 가정에서 태어났는데 신앙을 받아들인 뒤에는 오로지 교리만을 실천하려고 애썼다. 주변의 유력한 사람들이 그에게 벼슬길을 열어 주겠다고 유혹했지만 그의 굳은 마음을 돌릴 수는 없었다. 1860년 경신박해가 경상도 지역을 휩쓸게 되자, 이름이 알려져 있던 오치문은 곧바로 포졸들에게 체포되어 울산 장대로 압송되었고 그 곳에서 순교하였다. 순교 당시 그는 얼굴을 한지로 덮은 채 물을 뿌림으로써 숨이 막혀 죽게 하는 백지사(白紙死, 일명 도모지) 형벌을 받았는데, 무의식 중에 혀를 내밀어 물 묻은 한지를 뚫자 군사들이 그 구명을 막아 질식시켰다고 전한다.

 

경신박해 때의 또 다른 사적지로는 울산 '죽림굴'(울산시 상북면 이천리)이 있다. 이 곳은 간월산 아래의 깊은 산중에 있으며, 최양업 신부가 곳곳의 교우들을 순방하던 중에 박해를 만나게 되자 은거한 곳이다. 토마스 신부는 이곳에서 4개월 동안 모든 것을 주님께 의탁한 채 교우들과 함께 생쌀을 먹으며 박해를 피했고, 스승에게 마지막 서한(1860년 9월 3일자)을 작성하면서 자신의 애처로운 모습을 설명하기도 하였다.

 

울산 장대의 두 번째 광란은 1868년에 일어났다. 병인박해가 계속되면서 교우들은 아무도 살지 않는 곳으로 옮겨가야만 했고, 이 때 울산 간월산 아래에 살던 허인백(야고보)도 더 깊은 산중인 대재(울주군 상북면 이천리) 교우촌으로 이주하였다. 당시 대재 마을에는 이양등(베드로) 가족을 비롯하여 문경 멍에목(문경군 동로면 명전리)에서 이주해 온 김종륜(루가) 등이 함께 생활하고 있었다.

 

포졸들의 포위망이 점점 좁혀 오자 대재의 교우들은 범바위굴을 찾아 가족들을 피신시킨 다음 목기(木器)를 만들어 팔거나 구걸을 하면서 어렵게 살았다. 이러한 생활 속에서도 그들은 신앙을 버리지 않았고, 오히려 기도 생활 안에서 즐거움을 찾았다. 그러나 포졸들은 그들의 조그마한 흔적까지도 찾아내려 하였고, 1868년 5-6월경에는 마침내 범바위굴에 있던 신앙 공동체를 발견하였다. 이에 앞서 가족들을 피신시킨 이양등, 허인백, 김종륜은 순교를 각오하고 있다가 체포되어 경주 진영으로 압송되었다. 그런 다음 그곳에서 형벌을 받고 울산으로 이송되어 장대 앞에서 참수형을 받으니, 때는 1868년 8월 14일(양력 9월 30일)이었다.

 

한편 이들과 함께 체포된 간월 교우촌의 김영제(베드로)는 경주 진영에서 서울로 압송되어 9개월 동안 옥에 같혀 있으면서 종지뼈가 떨어져 나갈 정도로 심한 형벌을 받게 되었다. 이후 그는 석방되어 가족들이 있는 살티(울주군 상북면 덕현리) 교우촌으로 돌아오게 되었지만, 형벌로 생긴 상처 때문에 고생하다가 6년 후에 선종하고 말았다. 그의 무덤은 지금 살티 공소 인근에 순교자 묘역으로 조성되어 있다.

 

들어간다. 들어간다. 우리 세 명 천국으로 들어간다. … 너희들 저 두 사람의 목을 먼저 베고 내 목을 맨 나중에 베되, 머리를 각각 제 몸에서 떨어지지 않게 해 다오. 훗날 부활할 육신이다(김구정 편저, "영남 순교사", 1966년). 순교 직전에 허 야고보가 남긴 말이다.

 

형이 집행된 후 세 명의 시신은 허 야고보의 부인 조아에게 거두어져 인근에 매장되었다가 신앙의 자유를 얻게 된 후에 수습되어 경주 산내면 진목정(일명 참나무정이) 교우촌의 안산에 합장되었다. 당시 이들의 유해는 조아가 묻을 때 잘 표시를 한 뒤에 아들들에게 그 장소와 표를 기억하고 있도록 한 덕택에 누구나 쉽게 구분할 수 있었다고 한다.

 

1932년에 대구 교우들은 진목정 순교자의 무덤을 발굴하여 그 유해들을 대구시 월배 감천리의 교회 묘역으로 옮겨 안장하기로 결의하였으며, 5월 29일에는 수백 명의 교우들의 운집한 가운데 장엄한 천묘식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41년 뒤인 1973년 10월 19일에는 순교자들의 유해가 병인박해 순교 기념 성당으로 건립된 신천(복자) 성당(대구시 동구 신천 3동) 구내로 다시 옮겨짐으로써 울산 장대에서 꽃핀 신앙이 대구로 이어져 오게 되었다. 현재 부산교구 병영 본당 구역인 울산 장대는 순교 사적지로 조성되어 순례자를 기다리고 있다.

 

[사목, 2000년 1월호, pp.91-93, 차기진]



260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