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일 (일)
(백)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이는 내 몸이다. 이는 내 피다.

성인ㅣ순교자ㅣ성지

[성지] 새재와 연풍에 어린 복음의 발자취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04-10-30 ㅣ No.202

새재와 연풍에 어린 복음의 발자취

 

 

새들도 쉬어 가며 넘는다는 문경 새재(鳥嶺). 서울에서 충주와 수안보 온천 지대를 지나 30여 리를 가면 만나는 곳이 충청도 연풍(延豊)이고, 이곳에서 다시 심하게 굽은 고개를 올라 조령, 조곡, 주흘 등 세 개의 관문을 지나면 경상도 문경이 나온다. 그러나 이제 터널이 개통되면서 어렵게 새재를 넘는 이들을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연풍은 본래 산수가 좋기로 유명한 곳이었다. 그도 그럴 것이 백화산에서 내려오는 물줄기와 조령 관문 아래의 수옥 폭포에서 내려오는 두 개의 물줄기가 합쳐지는 곳에 자리잡고 있으니, 풍수지리적으로는 최적의 거주지였던 셈이다. 그러나 연풍은 이제 지리적 위치보다는 천주교 성지로서 교우들의 마음 속에 자리잡게 되었다.

 

그러면 이 지역에 교우들이 거주하게 된 것은 언제부터였을까? 이미 1790년대 후반, 교우들이 새재를 넘나들 무렵부터 한두 명의 교우들이 이곳에 자리잡았다. 그들은 이내 교우촌을 일구고 포졸들에게 쫓기는 교우들을 받아들여다. 또 훗날 최야업 신부나 프랑스 선교사들은 경상도의 비밀 교우촌을 찾아보기 위해 연풍을 거쳐 새재를 넘었으며, 그것도 포졸들의 눈을 피하기 위해 으레 성벽 아래의 수구문(水口門)을 이용해야만 하였다.

 

이와 같이 문경 새재와 연풍은 복음의 연결 통로였지만, 한편으로는 박해자들의 발길도 끊이지 않던 곳이었다. 포졸들은 천주교 신자들을 찾아내는 데 혈안이 되어 새재를 넘나들었고, 그 아래의 연풍 주막에 묵으면서 신자들을 색출하여 공을 세우고자 하였다. 실제로 1866년에 박해를 피해 다니던 칼래 신부는 연풍 주막을 지나가다가 포졸들에게 체포되어 위험에 빠진 적도 있었다.

 

제가 연풍 주막 앞을 막 지나치려고 할 때 포졸들이 의심을 품고 '당신은 누구요?'라고 하면서 뒤따라와 이내 체포되고 말았습니다. 그때 앞장서서 걸어가던 유 토마스가 심하게 시비를 걸자 포졸들이 모두 거기에 신경을 쓰게 되었고, 저는 있는 힘을 다해서 도망을 쳤습니다. 그 와중에서 저의 전대가 떨어져 돈이 튀어나오자 포졸들은 저를 잊어 버리고 돈을 줍는 데만 정신이 팔렸습니다(칼래 신부의 1866년 6월 10일자 서한 중에서).

 

연풍과 관련하여 또 하나 기억해야 할 것은 이곳이 바로 황석두(루가) 성인의 고향이요, 연풍 성지는 곧 그의 시신이 안장되어 있는 곳이라는 점이다.

 

부유한 평해 황씨 집안에서 태어난 황석두는 일찍부터 과거 공부에 노력해왔으나, 25세 무렵인 1837년경에 복음의 진리를 깨닫고는 구름이 걷힌 하늘을 보는 듯한 기쁨에 넘쳐 세상의 모든 욕심을 버리게 되었다. 더욱이 부친을 개종시키기 위하여 2년 동안 벙어리 노릇까지 하였다. 그러나 올바른 신앙 생활을 지속하기는 쉽지 않았다. 부친이 사망한 뒤 가세가 기울면서 그는 투기 행위를 하였고, 이로써 10년 동안 교회 활동에 참여할 수 없게 되었다. 그것은 일종의 추방 같은 것이었다. 이 추방 기간 동안 그는 더 열심한 신앙인이 되었으며, 그 결과 1858년에는 회장으로 임명되고, 다블뤼 주교의 복사요 제자가 되어 번역 사업에 동참하게 되었다.

 

8년 뒤 대박해가 전국을 휩쓸게 되었을 때 황석두도 체포되어 다블뤼 주교와 함께 있게 되었다. 이때 그는 끝까지 주교를 따라가겠다고 작정할 정도로 이미 순교할 원의가 충만하였다. 그러므로 서울로 압송된 뒤에도 신앙을 증언하면서 오히려 자신의 학식과 교리를 바탕으로 박해자들을 이해시키려고 하였다.

 

충효는 대군 대부이신 하느님께 대한 것이 제일이요, 임금과 부모께 대한 것은 그 다음일 뿐입니다. 세속 일에서도 친구나 이웃에게 해가 되는 일을 고발하지 않는 법인데, 어찌 한 형제인 교우들을 고발하고 교회 일을 발설하겠습니까? 관장께서 이를 강요하는 것은 어찌된 도리입니까? 1866년 전에 예수 그리스도께서 강생하시어 세상에 널리 편 것은 어느 성인도 가르칠 수 없는 진리이니, 어찌 그 가르침을 배반하겠습니까?([우포도청등록], 병인 2월 3일, 황석두 공초)

 

물처럼 흐르는 그의 호교론에 관장은 말문이 막힐 정도였고, 모두 어안이 벙벙하였다. 결국 그에게는 군문효수형이 언도되었으며, 임금의 재가가 떨어지자마자 포졸들은 선교사와 장주기와 함께 그를 옥에서 끌어내 닷새가 걸려서야 보령의 갈매못 형장에 도착하였다. 그리고 3월 30일(음력 2월 14일). 그곳 백사장에서 형을 집행하였으니, 당시 황석두의 나이는 54세였다.

 

순교자들의 시체는 나흘 동안 형장에 버려진 채로 있었다. 그중에서 황석두의 시신은 가장 먼저 가족들에 의해 고향 선산으로 옮겨졌고, 나머지 순교자들은 홍산으로 이장되었다가 1882년에 발굴되어 교회의 품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그리고 이로부터 1000여 년이 지난 1968년에 황석두가 복자품에 오르면서 연풍 성지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1979년에는 마침내 평해 황씨 선산에 안장되어 있던 그의 무덤이 발굴되어 성지로 이장되었다.

 

[사목, 1999년 7월, pp.129-131, 차기진]



464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