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7일 (목)
(녹) 연중 제12주간 목요일 반석 위에 지은 집과 모래 위에 지은 집

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양승국 신부님_불신 사회에서 성행하는 어법, 맹세!

스크랩 인쇄

최원석 [wsjesus] 쪽지 캡슐

2024-06-15 ㅣ No.173320

 

맹세 비슷한 용어가 있습니다. 공약입니다. 선거에 나선 후보자들이 어떤 사업이나 일에 대해 백성들 앞에 실행할 것을 약속하는 것입니다. 선거 때만 되면, 유권자들은 ‘혹시나?’ 하고 후보자들의 공약에 귀를 기울입니다. 그러나 당선이 되고 나면 ‘역시나!’하고 실망합니다.

맹세는 대체로 불신 사회에서 성행하는 어법입니다. 누군가가 말을 하면 사람들이 그의 말을 믿지 않습니다. 그러면 그 사람은 자신의 말을 제발 믿어달라는 의도에서 맹세를 내세웠습니다.

유다인들은 맹세를 즐겼는데, 맹세를 할 때 성전이나 제단을 두고 한 맹세는 구속력이 없다고 가르쳤습니다. 대신 성전의 금촛대, 금속판, 금화나 제단 위에 놓인 예물을 두고 한 맹세는 유효하다고 가르쳤습니다. 이를 통해 그들은 자신들이 제사에는 관심이 없고 젯밥에만 관심이 많은 사이비 지도자라는 것을 만천하에 공개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하느님과 한 신앙인, 그리고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맹세’라는 극단적인 도구의 통용보다는, 상호 간에 오고 가는 신뢰와 우애, 나눔과 소통 훨씬 중요하다는 것을 가르치셨습니다.

돌아보니 지키지도 못할 실없는 약속들을 참 많이 남발했습니다. 차라리 아무 말 하지 않았으면 좋으련만, 습관처럼 빈말을 되풀이했습니다. “앞으로는 절대 그런 실수 없을 것입니다.” “언제 식사 한번 하시죠!” “조만간 전화 한번 할께!”

주님과의 관계 안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주님, 맹세합니다. 다시는 같은 잘못을 저지르지 않겠습니다.” “주님, 두고 보십시오. 앞으로는 절대 그런 일 없을 것입니다.”

선거 때만 되면 남발하는 정치인들의 선심 공약, 빈말, 거짓 맹세, 탓할 게 하나도 없는 것 같습니다.

예수님 시대 당시 유다인들도 말과 관련해서 오늘날 우리와 별반 다를 바 없었던가 봅니다. 무엇보다도 당시 말들이 많았던가 봅니다. 기도할 때도 깊은 침묵 기도보다는 주저리주저리, 횡설수설, 이것저것 다 갖다 붙였던가 봅니다.

뿐만아니라 하느님의 이름으로 맹세하는 것은 원천적으로 강하게 금지되어 있었기에, 하늘이나 땅, 예루살렘, 심지어 괜히 아무 잘못도 없는 자신의 머리를 두고까지 맹세하곤 했나 봅니다. 허언(虛言)을 남발하는 그들을 향한 예수님의 가르침이 쌍날칼보다 더 날카롭습니다.

“아예 맹세하지 마라. 하늘을 두고도 맹세하지 마라. 하느님의 옥좌이기 때문이다. 땅을 두고도 맹세하지 마라. 그분의 발판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서 예수님께서는 맹세와 관련해서 정확한 한 가지 지침을 내려주십니다. “너희는 말할 때에 ‘예.’할 것은 ‘예.’하고, ‘아니오.’ 할 것은 ‘아니오.’ 라고만 하여라. 그 이상의 것은 악에서 나오는 것이다.”

말을 할때는 복잡하게 늘어놓지 말고 간단하고 단순하게 말하라고 가르치십니다. 잔머리를 굴리지마라고 당부하십니다. 언어 사용에 있어서 솔직해지라고 하십니다. 덧붙이지도 빼지도 말고 마음속에 있는 언어, 그대로를 표현하라고 강조하십니다.

그러나 사실 내면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누군가에게 표현하기란 참 어려운 일입니다. 그것이 좋은 느낌, 사랑의 감정이라면 모르겠지만, 부정적인 내용이라든지, 상대방이 들었을 때, 기분 상할 것이라면, 얼마나 또 망설여지는지요?

정직하고 진솔한 언어 사용이 그렇게 힘든 것입니다. 무한한 용기를 필요로 하는 것입니다. 말하는 대상을 향한 기도와 정중한 마음가짐도 중요합니다. 그를 아예 무시한다거나, 깔보는 상태에서는, 그 어떤 조언도 무용지물입니다.

그렇게 어려운 것이 상대방을 향한 솔직한 언어 사용이지만, 상대방의 성장과 선익을 간절히 위한다면, 상대방을 위해 간절히 기도한다면, 성령께서 도와주십니다. 그 어려운 직언(直言), 고언(苦言), 충언(忠言)도 가능하게 됩니다.

양승국 스테파노, 살레시오회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35 0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