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8일 (금)
(홍) 성 이레네오 주교 학자 순교자 기념일 주님께서는 하고자 하시면 저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예술적 자본(artistic capital)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2-07-21 ㅣ No.5955

                                                                                       예술적 자본(artistic capital)




경영 과학이 꽃을 피우고 지대한 역할을 수행하던 시대에 투입 자원(capital)은 전통적인 노동(labor), 자본(capital), 토지(land) 등의 물리적 자원이면서 유한 자원이었다. 즉 자원은 사용하면 소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주로 공급자가 시장을 주도하는 구조라서 소위 만들면 팔리는 시대라고 볼 수 있다.

대변혁이 요구되는 아트 경영(the art of business)의 시대가 도래했다. 미래 지속적인 파괴적 혁신을 위해 기업이 지녀야 할 새로운 자본들이 필요한데 이를 예술적 자본(artistic capital)이라고 한다.
예술적 자본은 과거의 물리적 자산이 아니라 감정과 긍정적인 정서(emotion), 몰입(flow), 창의력(creativity), 내적 동기 부여(motivation) 등 무형의 자산을 일컫는다. 따라서 아트 경영에서의 투입 자원은 경영 과학 시대의 물리적 자원과는 다른 상상(imagination), 감성(emotion) 등의 매우 소프트한 자원이며, 눈에 보이지 않은 자원들이자 무한 자원이다

상상과 감정의 영역이 세상을 지배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이것이 기술의 진보와 함께 4차 산업혁명에서 창조와 파괴적 혁신의 핵심인 것이다. 아트 경영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상상과 감성 자원을 통해 구현하는 산출물은 의미(meaning), 심미(beauty), 감동(excitement)으로 구성된다. , 개발된 제품이 경영 과학에서는 기능적인 측면에 머물렀다면 아트 경영에 있어서는 심미적, 경험적 차원을 넘어서는 경지로 나아가는 것이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2,902 1

추천 반대(0) 신고

예술적 자본(artistic capital),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