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8일 (금)
(홍) 성 이레네오 주교 학자 순교자 기념일 주님께서는 하고자 하시면 저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지방간, 어떻게 해결할까?

스크랩 인쇄

이장성 [jslee9742] 쪽지 캡슐

2009-10-13 ㅣ No.1212

 (  Torsten  )님이 촬영한 A sunny afternoon in the zoo park.

 

 지방간, 어떻게 해결할까?

우리나라 성인들에게 가장 흔한 질환은 무엇일까? 바로 지방간이다. 불규칙한 생활습관과 잘못된 음주문화로 대한민국 가장의 간이 혹사당하고 있다. 피로한 간에서 알리는 초기경보, 지방간의 신호에 귀기울이자.

 

 

 

지방간의 주요 원인, 술과 비만 그리고 당뇨병

지방간은 이름 그대로 간에 과다한 지방질이 쌓여 있는 것을 말한다. 간에 쌓여 지방간을 일으키는 기름기는 주로 중성지방이라고 불리는 '트리글리세라이드'라는 기름기이다. 섭취하는 음식물에 기름기가 많을 때는 물론이고 꼭 기름기 음식을 많이 먹지 않더라도 계속 과식을 하거나 갑자기 체중이 늘었을 때, 또 술을 많이 마실 때에도 간 속에 지방질이 많이 생겨 쌓이게 된다.

 

보통체중이던 사람이 6개월 내에 3kg 이상 체중이 늘었다거나, 한 번에 소주 반 병 이상을 일주일에 세 번 이상 마시는 사람이라면 지방간이 생겼을 확률이 더욱 높다. 따라서 뚱뚱한 사람이 술을 많이 마시면 그만큼 지방간이 생길 가능성은 더 많아진다. 당뇨병이 있는 사람들도 지방간이 쉽게 생기는 경향이 있다. 결국 지방간의 가장 흔한 원인은 술과 비만, 그리고 당뇨병이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원인에 따라 알콜성 지방간과 비알콜성 지방간으로 분류하고 있다.

 

원인을 없애면 반드시 회복될 수 있어

지방간은 대부분 아무 증상이 없지만, 심해지면 간이 붓게 되고 (간비대), 피로감, 전신쇠약감, 식욕부진, 구역질, 황달, 간이 있는 부위를 누르거나 두드렸을 때 통증, 열, 복수 등의 증상이 생길 수도 있다. 지방간은 주로 혈액검사와 초음파검사로 진단을 하게 되는데, 혈액검사에서는 혈청 GOT(AST), GPT(AST), r-GTP, ALP 및 빌리루빈 등의 수치가 약간씩 올라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초음파 검사를 하면 지방간은 정상보다 혼탁해 보이는 소견을 나타내게 되고 때때로 한 두 군데에 뭉쳐 있는 소견도 보일 수 있는데 이런 때에는 간암과 구분하기 힘든 경우도 있으므로 숙련된 전문의의 판독이 중요하다.

 

간염과는 달리 간세포를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간 세포 속에 기름기가 쌓이는 것이므로 열심히 노력하여 원인을 없애 주면 반드시 회복이 되는 병이다. 흔히들 지방간은 별다른 증상도 없고, 몇 달 뒤에 검사를 해 봐도 큰 차이가 없어서 그냥 방치해 두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만약 지방간으로 진단을 받았는데도 술을 계속 마시거나 체중관리를 하지 않으면 점차 악화되어 몇 년 뒤에는 결국 간경변증(간경화증)으로 넘어가서 회복이 불가능해 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때를 놓치기 전에 주의를 하는 것이 현명한 태도이다.

 

폭음보다 소량씩 자주 마시는 습관이 더 위험!

술을 마시는 사람은 음주를 피하는 수 밖에 없다. 금주를 하면 두 달 내에 지방간이 좋아지게 되어있다. 어쩌다 한 번씩 폭음하는 사람보다는 소량씩이라도 꾸준히 술을 마시는 사람들이 더 지방간이 잘 생기고 치료도 힘든 것을 보게 되는데 그만큼 간에게도 휴식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아 둘 필요가 있다.

 

별로 술도 마시지 않는데 생긴 비알콜성 지방간의 사람들은 가급적 과식하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운동요법으로 체중을 감량시키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법이다. 이런 경우 체중을 줄인다고 단식을 하면 지방간은 더 악화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단식요법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흔히 간이 나쁘다고 하면 잘 먹고 휴식을 취해야 좋아진다고 생각하지만 지방간에 의한 간기능의 악화는 그와 반대로 소식하고 꾸준히 운동을 하는 것이 올바른 치료방법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글/윤종률/한림대학교의료원 한강성심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contents365@samsung.com  



615 0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