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8일 (금)
(홍) 성 이레네오 주교 학자 순교자 기념일 주님께서는 하고자 하시면 저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프레그넌츠의 법칙(principle of pragnanz)과 가현 운동(apparent movement)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2-11-03 ㅣ No.6061

                                              프레그넌츠의 법칙(principle of pragnanz)과 가현 운동(apparent movement)




인간의 지각(知覺)은 단순히 대상이 되는 개별적인 감각자극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전체적인 틀에 의해 크게 규정되고 있다는 것이 게슈탈트 심리학(Gestalt psychology)의 입장이다. 게슈탈트 심리학(Gestalt psychology)에는 규칙적이면서 안정된 단순한 형태로 정리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는 프레그넌츠의 법칙(principle of pragnanz)이라 불리며 게슈탈트 심리학의 중심 사상이 되었다. 게슈탈트 심리학에서 주장하는 법칙은 프레그넌츠의 법칙(principle of pragnanz)과 가현 운동(apparent movement)이다.

프레그넌츠란 간결함. 딘순 충만성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프레그넌츠의 법칙(principle of pragnanz)은 시야에 비친 도형을 가장 규칙적이고 안정된 형태로 지각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사고법으로, 근접성의 법칙, 유사성의 법칙, 폐쇄성의 법칙, 연속성의 법칙을 포함한다. 근접성의 법칙은 근접해 있는 것들끼리 조화되어 보이는 것을 말하며, 유사성의 법칙은 유사한 것들끼리 조화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더불어 폐쇄성의 법칙은 독립된 형태로 닫혀 있는 것끼리 조화되어 보이는 것을 말하며, 연속성의 법칙은 연속되어 있는 것끼리 조화를 이루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말한다.

가현 운동(apparent movement)이란 원래는 정지되어 있는 것이 표면상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 다시 말해 실제 움직이지 않는 물체가 착각 현상으로 마치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실제로 물리적인 운동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이지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시지각(視知覺) 움직임이다. 예를 들어 전동차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자신이 승차하고 있는 정지된 차량이 움직이는 것 같은 느낌을 받고 깜박이는 건널목 점등기는 마치 조명이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게슈탈트 심리학은 독일의 심리학자 막스 베르트하이머(Max Wertheimer 1880-1943)에 의해 체계화되어 독일의 심리학자 볼프강 쾰러(Wolfgang Kohier)와 쿠르트 코프카(Kurt Coffka)에 의해 그 가능성이 확대되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817 1

추천 반대(0) 신고

프레그넌츠의 법칙(principle of pragnanz),가현 운동(apparent movement),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