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4일 (월)
(백) 성 요한 세례자 탄생 대축일 그의 이름은 요한이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미국식 ‘多者’는 미국과 영국뿐?

스크랩 인쇄

최성우 세자요한 신부 [john1004] 쪽지 캡슐

1999-06-04 ㅣ No.103

미국식 ‘多者’는 미국과 영국뿐?

오만과 편견으로 가득 찬 최신 언론 용어들…‘emerging markets’은 ‘가난한 나라’지칭

  

외신을 읽거나 듣다보면 행간의 의미를 놓칠 때가 많다. 꾸준하고 주의깊게 외국 언론을 접해온 경우가 아니면 더욱 더 그렇다.

 

언론 검열이 없어도 언론이 쓰는 용어가 항상 직설적인 것은 아니다. 때로는 국익의 편에서, 때로는 오만과 편견에서 때로는 습관적 과장벽으로. 미국의 미디어 모니터 잡지인 '브릴스 콘텐트'(Brill's Content)는 정기적으로 최신 언론 용어집을 내고 있는데. 다음은 최근호에 실린 재미있는 해석들.

 

--------------------------------------------------------------------------------

해외

--------------------------------------------------------------------------------

 

●multilateral(다자간): 미국+영국

 

●international community(국제공동체):서방세계. 백악관에서 애용하고 있음. 세계 평화와 국제 협력에 입각해야 한다는 입장을 표현하기 위한 행정용어가 되고 있으나 실은 미국이 주도권을 잡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눈가림. 예를 들어 초강대국이 좋다는 것이 무엇인지 한마디로 한다면, 프랑스가 뭐라하든 무시할 수 있다는 것.

 

●instability(불안정):모호하고 복잡하고 뭐라 딱히 규정지을 수 없지만 어쨌든 미국의 이익에 배치되는 듯한 일이 일어나고 있는 모든 지역에 무분별하게 쓰이고 있는 냉전시대 이후의 용어.

 

●stability(안정):미국이 확실히 잡고 있다고 생각되는 상황 및 지역에 두루 쓰임.

 

●emerging markets(신흥시장):가난한 나라를 지칭. 아시아의 경제 붕괴를 미화시킬 때 사용. 투자자들은 제3세계에 대한 투자라는 표현보다 '부상하는 국가들'에 대한 투자라는 말에 훨씬 고무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most-favoured-nation status(최혜국지위):MFN 무역 규격에 들어가는 모든 나라를 지칭. 단순히 경제제재 조치를 당한 부랑자 그룹에 끼지 않았다는 것을 뜻함.

 

--------------------------------------------------------------------------------

--------------------------------------------------------------------------------

 

●a tough but fair judge(강하지만 공정한 판사):기자들이 판사를 지칭할 때 무조건 쓰는 말이지만 의미없는 수식어에 불과하다. 말랑말랑하지만 불공평한 판사라는 말은 애초에 어불성설이다.

 

●a complicated legal argument(복잡한 법적 논쟁):기자가 무슨 말인지 모른다는 뜻. 그리고 너무 게을러서 알아볼 생각도 안한다는 뜻.

 

●He could serve up to 20 years in prison if convicted.(유죄가 입증되면 20년을 복역할 수 있다):기자가 실상이야 어떻든 검찰에서 넘겨주는 보도자료만 읽고 기사를 썼다는 뜻. 검찰 보도 자료는 형량이 커야 뉴스감이 된다는 환상의 세계가 지배하고 있다.

 

--------------------------------------------------------------------------------

주식

--------------------------------------------------------------------------------

 

●buy(매수):분석가가 사라고 권하는 건 그냥 위험 부담이 적고 수익률도 낮은, 그저 그런 종목들. 마찬가지로 보유하라는 건 팔라는 의미이고, 팔라고 말할 땐 그 회사가 이미 거의 확실히 2부종목이 될 운명이라는 뜻.

 

●downside risk(하락위기):그냥 risk라고 쓰기 허전해서 잘난체 하고 형용사를 붙인 말. 아무런 의미의 차이가 없음.

 

●high-flying internet stocks(고공행진 중인 인터넷 주식): 그런데 낮게 깔리는 인터넷 관련 주식도 있나?

 

●record earnings(기록적인 수입):흥분할 것 전혀 없는, 잘 운용된 회사가 마땅히 벌어야 할 수익을 정확히 지칭. 우리네 보통 사람들이 정기 예금에 넣어 놓는 돈 100만원도 매년 그 이자와 함께 '전에 없던 기록적 액수로' 착실히 불어나지 않는가.

 

●soared(급상승):실제 솟구친다는 말 그대로 쓰는 경우는 거의 없고 대부분 1,2 퍼센트 올라가도 이런 말을 쓴다. 반대말인 plunged의 경우도 마찬가지. 단지 반대로 1,2 퍼센트 떨어지는 경우에 쓰인다.

 

이정화/런던 통신원

 



343 0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