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2일 (토)
(녹) 연중 제11주간 토요일 내일을 걱정하지 마라.

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지극히 거룩하신 성체와 성혈 대축일

스크랩 인쇄

조재형 [umbrella] 쪽지 캡슐

2024-06-01 ㅣ No.172910

1443년 지금부터 581년 전입니다. 세종대왕은 한글을 창제했습니다. 한글은 배우기 쉽고, 표현하기 쉽고, 디지털 시대에 최적화된 문자입니다. 저는 초등학교 2학년 때 한글을 읽고, 쓸 수 있게 되었지만, 요즘 아이들은 유치원 때 이미 한글을 읽고, 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초등학교에서 한글을 배우지 않는다고 들었습니다. 세종대왕은 한글을 널리 보급하기 위해서 아들 수양대군에게 한글로 된 책을 만들게 했습니다. 1447년 아들 수양대군이 만든 책의 제목은 석보상절(釋譜詳節)’입니다. 책의 내용은 부처님의 일대기를 중요한 것은 자세하게, 그렇지 않은 것은 간략하게 소개하는 것입니다. 유교가 국가의 통치이념인 조선시대에 불교의 부처님을 주제로 책을 쓴 것은 삼국시대, 고려시대를 거치면서 조선은 이미 1000년 동안 불교의 나라였기 때문입니다. 세종대왕은 수양대군의 석보상절을 읽으면서 감명을 받아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1447년에 발표하였습니다. 월인천강지곡은 부처님의 자비와 덕이 하도 커서 마치 달이 천개의 강에 비춘 것과 같다는 의미입니다. 월인천강지곡은 용비어천가와 더불어 한글의 훈민정음을 처음으로 사용한 작품으로 의미가 크다고 하겠습니다. 저는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에게 감사드립니다. 세종대왕 역시 한글이 널리 보급되어 백성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것을 기뻐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부터 2000년 전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예루살렘의 한 다락방에서 제자들과 식사를 하셨습니다. 그 식사를 최후의 만찬(Ultima Cena)'이라고 합니다. 우리는 그 모습을 레오나르드 다빈치의 그림을 통해서 느낄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제자들과 함께 빵과 포도주를 나누면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너희는 모두 이것을 받아먹어라. 이는 너희를 위하여 내어줄 내 몸이다. 너희는 모두 이것을 받아 마셔라. 이는 새롭고 영원한 계약을 맺는 내 피의 잔이니 죄를 사하여 주려고 너희와 많은 이를 위하여 흘릴 피다. 너희는 나를 기억하여 이를 행하여라.” 예수님의 이 말씀은 성체성사가 되었습니다. 미사 때 사제가 빵과 포도주를 축성하면서 예수님께서 하신 말씀을 다시 할 때, 빵과 포도주는 예수님의 몸과 피로 변한다는 것이 성체성사입니다. 부처님의 자비와 은덕이 천개의 강에 비추는 것처럼 예수님의 몸과 피로 변한 성체를 받아 모시면 우리의 몸에 예수님께서 함께 하신다는 것이 성체성사를 통해서 주어지는 은총입니다. 지난 55일에 본당에서는 첫 영성체가 있었습니다. 18명의 어린이들이 생애 처음으로 주님의 성체를 받아 모셨습니다. 이렇게 매일 성체성사를 통하여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오십니다.

 

오늘은 성체 성혈 대축일입니다. 예수님께서 성체성사를 제정하신 것을 기억하는 날입니다. 성체성사의 가장 큰 의미는 내어줌입니다. 사제는 미사 때 빵과 포도주를 축성하면서 예수님께서 하신 말씀을 재현합니다. 하느님께서 이 세상을 공평하지 않게 만드신 것은 흐름이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세상에는 강약, 고저, 장단이 있습니다. 물도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릅니다. 공기도 강한 곳에서 약한 곳으로 흘러갑니다. 구름도 비가 되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내립니다. 사람의 피도 끊임없이 흘러야 생명이 유지됩니다. 세상은 이렇게 흘러야 하고, 그렇게 흐르는 세상은 공평해지는 것입니다. 돈도 흘러야 경제가 살아납니다. 사람이 사는 이 세상도 흐르고 있습니다. 그런데 약한 나라의 것들이 강한 나라로, 가난한 사람들의 것들이 부유한 사람들에게로 흐르는 것이 문제가 됩니다. 하느님께서 사람이 되신 사건이 바로 예수님입니다. 이것은 세상의 흐름을 바로 잡기 위해서였습니다. 세상의 흐름이 강한 곳에서 약한 곳으로,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긴 곳에서 짧은 곳으로 흘러간다면 세상은 공평해지고 아름다워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세상은 예수님이 꿈꾸던 하느님 나라입니다. 사자와 어린아이가 함께 있는 나라, 늑대와 어린 양이 함께 있는 나라, 사막에도 샘이 흘러 꽃이 피는 나라입니다.

 

우리가 열심히 일해서, 공부해서 성공해야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하나는 출세해서 자기만 잘살고, 잘 먹기 위해서입니다. 다른 하나는 출세해서 세상의 차별을 없애기 위해서입니다. 혼자서 오천 명의 것을 빼앗아 먹을 수도 있지만, 혼자서 오천 명을 먹여 살릴 수도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혼자서 오천 명을 먹여 살릴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셨습니다. 섬김을 받을 자격이 있지만 섬기러 오셨습니다. 제자들의 발을 씻겨 드리시면서 어떻게 해야 공평한 세상이 될 수 있는지를 보여 주셨습니다. 첫째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꼴찌가 되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내가 잘사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러나 성체 성혈 대축일의 진정한 의미는 남을 잘살게 해주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사람이 되신 것도, 예수님께서 성체와 성혈의 모습으로 우리에게 오시는 것도 모두 우리가 잘살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입니다. 또한, 우리도 이웃을 잘살게 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입니다.

 

성체 성혈 대축일을 지내면서 예전에 읽었던 시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나는 꽃입니다. 꽃은 나비에게 주고, 꿀은 솔방 벌에게 주고, 향기는 바람에 날려버려요. 그래도 나는 하나도 잃은 것이 없답니다. 가을이 되면 더 많은 열매로 태어날 테니까요.”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367 4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