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일 (일)
(백)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이는 내 몸이다. 이는 내 피다.

신앙상담 신앙상담 게시판은 비공개 게시판으로 닉네임을 사용실 수 있습니다. 댓글의 경우는 실명이 표기됩니다.

q 성사의 효력 / 사효성과 인효성

인쇄

아메림노스 클라라 [115.94.171.*]

2019-03-21 ㅣ No.12118

사효성, 인효성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성서신학은 이론에 

치중한 스콜라 신학의 영향 속에 있었다. 

 

스콜라 신학에 의하면 성사의 효력은 사효적(성사 거행 자체로)이다. 

사효론은 교회가 정한 대로 교회의 의향에 따라 성사가 거행되면,  

집전자의 성덕과는 관계없이 은총이 전해진다는 가르침이다. 

왜냐하면 성사를 통해 본래적으로 활동하는 분은 그리스도이고, 

성사의 집전자는 단지 그분의 도구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가톨릭 교회는 성사의 유효성을 판가름하는 데에서 

인효성보다는 사효성을 위주로 가르쳐 왔다. 

 

성사의 효력과 성사 집전자의 성덕을 결부시키려는 엄격주의자들의

거듭된 저항에 대항하는 과정에서 사효성이 강조된 것은 이해할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사효성을 잘못 이해한 데에 따른 부작용도 적지

않았다는 것을 생각할 때 사효성에 대한 오해를 방지할 수 있는 적절

한 대응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출처 : 메모해 놓지 않은 관계로 모름)

 

 



246 1댓글보기

신고

성사의 효력, 사효성, 인효성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