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7일 (목)
(녹) 연중 제12주간 목요일 반석 위에 지은 집과 모래 위에 지은 집

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요셉 신부님의 매일 복음 묵상 - 기도하면 저절로 원수까지 사랑하게 되는 이유

스크랩 인쇄

김백봉7 [gloria7] 쪽지 캡슐

2024-06-18 ㅣ No.173434

 

 

 

 

 

 

2024년 나해 연중 제11주간 화요일

 

 

 

<기도하면 저절로 원수까지 사랑하게 되는 이유> 

 

 

 

 복음: 마태오 5,43-48

 

 

 


십자가를 지고 가는 예수


엘 그레코 작, (1600-1605),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원수를 사랑하는 게 가능할까요? 기도하면 무엇이든 가능합니다. 정말 가능할까요? 가능합니다. 안 되는 것은 기도하지 않아서입니다. 저는 여기에서 한 여인이 기도의 힘으로 무엇을 얻었는지를 말하며, 박해하는 이들을 위해 기도하라는 예수님의 말씀이 진리임을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 
    아래의 글은 이마쿨레 일리바기자의 『로사리오 기도: 나의 생명을 구한 기도』를 덴버 가톨릭(Denver Catholic)이라는 블로그에서 “감히 용서하라!”라는 제목으로 정리해서 쓴 글입니다. 


    임박한 죽음의 고통이 "천 개의 바늘처럼" 임마쿨레의 몸을 찔렀다. 그녀는 "어떻게 죽는 거지?" 하고 걱정스럽게 생각했다. 그녀가 다른 8명의 여성과 함께 숨어있던 3x4피트 크기의 화장실 밖에서, 그녀는 총과 마체테와 창을 든 남자들이 집을 수색하기 위해 다가오는 목소리를 들었다. "그들이 나에게 무슨 짓을 할까?"
의심과 분노, 용서할 수 없는 그녀의 치열한 내적 싸움이 시작된 것은 그때부터 그랬다. "나를 죽이려는 사람들을 어떻게 용서할 수 있을까? 만약 내게 신의 힘이 있다면, 나는 그들을 순식간에 모두 죽일 것이다." 그녀는 생각했다.


    1994년 르완다 대학살의 뿌리는 르완다의 두 주요 부족인 후투족과 투치족 사이의 오랜 정치적, 민족적 긴장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임박한 비극에 대한 가장 분명한 경고는 동정녀 마리아로부터 나왔는데, 성모 마리아는 1981년 키베호라는 작은 마을에서 슬픔의 성모라는 제목으로 세 소녀에게 나타나 사람들이 자신의 길을 바꾸고 하느님을 따르지 않으면 르완다에 피의 강이 흐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이 나라에서 투치족을 몰아내기 위해 오랫동안 계획된 종족 말살 사건은 1994년에 대통령의 헬리콥터가 격추된 후에 시작되었다. 투치족을 비인간화하기 위한 수년간의 마케팅 노력 끝에, 이제 그 메시지는 라디오에서 공개적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그들을 모두 죽여라. 바퀴벌레를 끝장내라! 아이들을 잊지 마라. 나라를 깨끗이 해야 한다!"


    투치족인 이마쿨레 일리바기자는 겨우 십대였다. 독실한 신자였던 아버지는 그녀에게 묵주를 주고 이웃집으로 보내 숨게 했다. 그 이웃은 반대 부족의 일원이었지만 정직한 믿음의 사람이었다. 그녀는 91일 동안 피에 굶주린 남자들이 대낮에 수천 명의 투치족을 학살하는 동안 나머지 8명과 함께 작은 화장실에 숨어 지냈다.
이마쿨레의 증오와 용서의 신앙적 갈등은 그녀가 숨어든 지 불과 며칠 만에 시작되었다. 발각될 가능성에 그녀는 내면의 목소리로 "문을 열어라, 고문을 끝내라! 어쨌든, 놈들은 널 죽일 거야." 그러나 다른 목소리가 그녀에게 "문을 열지 마라. 하느님께 도움을 구하라! 그분은 전능하신 분이시다. 그것은 그가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직 기회가 있다."


    그때 그녀는 인생을 바꾸는 약속을 한다: "하느님, 저는 당신에 대해 모든 것을 알지는 못하지만, 계속해서 당신을 찾을 것입니다. 다시는 당신의 존재를 의심하지 않겠습니다." 이 때문인지 집을 수색하던 남자들은 화장대 뒤에 잘 숨겨져 있는 화장실 문을 발견하지 못했다. 
그녀는 자기를 도와주는 남자에게 성서를 달라고 부탁하였다. 처음으로, 그는 하느님과 대화하면서 성서를 주의 깊이 읽기 시작하였습니다. 하느님께서 순수한 사랑으로 자신을 창조하셨고 천국의 축복으로 부르셨다는 것을 깊이 깨닫게 되었다. 그녀는 하늘나라에 있기를 간절히 바랐다. 그곳에 가려면 예수 말씀과 계명을 따르기만 하면 되었습니다. "천국의 영원성에 비하면 그렇게 나쁘지 않구나." 그녀는 생각했다. "나도 할 수 있어."


    그러나 이마쿨레는 예수님의 말씀을 읽었을 때 따끔한 현실에 직면했다: "너희를 미워하는 자들을 용서하여라…. 너희를 박해하는 자들을 위하여 기도하여라."
"나는 내가 곤경에 처해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 하느님은 내가 나를 죽이려고 하는 사람들을 용서할 수 없다면 천국에 갈 수 없다고 말씀하고 계셨다."라고 이마쿨레는 회상했다.
대신 그녀는 아빠가 준 묵주로 눈을 돌렸다. 기도하면서 그녀는 새로운 것, 즉 깊은 평화를 경험했다. 그녀는 이 평화를 꽉 붙잡았다. 그녀는 매일 총 27번의 묵주기도와 14번의 하느님 자비의 기도를 바쳤다. 이것만이 그녀가 분노와 절망의 생각에 빠지지 않게 해 주었다.


    그러나 며칠 후, 하느님의 온화한 손길이 다시 한번 용서로 그녀를 이끌었다. 성부께 기도할 때, "우리에게 잘못한 자를 용서하듯이"라는 구절이 너무 불안해서 아예 생략하기로 했다 — 적어도 하느님께 거짓말을 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것은 며칠 동안 계속되었고, 그녀는 다른 음성이 그녀에게 말하는 것을 느꼈다, 
    "나는 네가 바치는 주님의 기도가 인간이 만든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기를 바란다. 예수 자신도 이 기도를 바치셨고, 그분은 실수하실 수 없는 분이시다."
    "그때 처음으로 항복의 의미를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하느님께서 제게 '혼자서 모든 것을 할 줄 알아야 할 필요는 없다. 그것을 내게 주어라.'라고 하실 때 '좋아, 기도는 하겠지만, 아직도 어떻게 용서해야 할지 모르겠어. 제발 도와주세요.'라고 기도했다."


    하느님의 도움이 왔다. 감당할 수 없는 분노와의 싸움은 십자가 밑에서 “아버지, 저들을 용서해 주십시오. 저들은 자기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 모릅니다.”(루카 23,34)라는 예수 말씀을 읽었을 때 끝이 났다. 이마쿨레는 이렇게 회상했다.
    "그 순간 저는 진정으로 그것을 깨달았습니다. 마치 예수 예수님께서 제게 용서의 공식을 건네시는 것 같았습니다. 그는 나에게 말하길, '너를 죽이려는 사람들은 그것을 이해하지 못한다 — 그들은 그들에게 닥칠 결과를 측정하지도 않는다…. 그들처럼 된다고 해서 달라지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내게서 배워라!" 
그녀는 사람들이 살아 있는 한, 자신이 그랬던 것처럼 하느님의 은혜로 증오에서 사랑으로 돌이킬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때 저는 증오의 편에 선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며 여생을 보내야겠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3개월 만에 화장실에서 나왔을 때 그녀는 새로운 사람이었다. 그 은총에 의해서만 그녀는 부모, 형제, 사촌, 친구들을 포함하여 백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죽임을 당했다는 끔찍한 현실을 직면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 모든 상황 속에서도 하느님의 임재는 결코 그녀를 떠나지 않았다: "나는 그분이 나를 꽉 붙잡으시고 이렇게 말씀하시는 것을 느꼈다: '네가 사랑하는 사람들의 여정은 이 지상에서 끝났지만, 너의 여정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너의 삶이 얼마나 길든 간에 어떻게 살기로 선택하는가는 너 자신에게 달려있다.'"


    몇 년 후 그녀는 르완다로 돌아와 자기 가족을 죽인 모든 사람을 직접 용서했다. 이마쿨레와 함께 키베호와 키갈리로 순례를 다녀온 사람들은 그녀가 기뻐하며 한 남자를 껴안고 돌아서서 "그의 오빠가 내 오빠를 죽였다."라고 말하는 모습에 어리둥절하지 않을 수 없었다.
    "나는 용서하지 않음의 고통과 피해를 알고 있다."라고 말한 이마쿨레는 모든 이들에게 "그러니 간청하노니 감히 용서해 달라. 하느님을 붙잡고, 묵주기도를 바치고, 성경을 읽고, 미사에 가고…. 용서에는 너무나 많은 기쁨과 자유가 있습니다. 감히 도전하라!" 

[출처: ‘Dare to forgive: Immaculée Ilibagiza & radical reconciliation’, Denver Catholic]


    기도는 성령을 받는 시간입니다. 기도하면 성령을 받아 내가 어떤 존재인지를 깨닫게 됩니다. 내가 어떤 존재인지를 깨닫게 되면 점점 그것과 어긋나는 생각과 말과 행위를 할 수 없게 됩니다. 가장 큰 것이 미움입니다. 내가 하느님의 자녀이고 사랑받는다고 믿는 이상 기도 안에서 미움은 성령과 공존할 수 없습니다. 둘 중의 하나를 택해야만 합니다. 
결국 하느님과 있는 행복을 택하기 위해 원수를 사랑하기를 택합니다. 그러면 나도 모르게 내 안에 그런 능력이 주어져 있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예수님처럼, 스테파노 성인처럼, 모세처럼 하느님 안에 머물기 위해서는 자신을 박해하는 이들을 위해 기도할 수밖에 없게 되고 이것에서 자신이 진정으로 하느님 자녀가 되었음이 믿어지고 더 행복해집니다. 기도의 능력을 믿어야 합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69 0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