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부] 교부들의 삶과 신앙: 그리스도교 원공동체들의 충돌 사건
-
926 주호식 [jpatrick] 스크랩 2025-04-22
-
[교부들의 삶과 신앙] 그리스도교 원공동체들의 충돌 사건 (1) 그리스도교 직무의 탄생과 시노달리타스
지난 달에 다루었던 그리스도교 원공동체의 탄생은 성령강림사건 이후 선교의 사명을 수행했던 “주님 부활의 증거자들”을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박해의 상황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선교의 사명을 수행했던 사도들의 모습은 사도행전에 잘 기술되어 있습니다(사도 5,17-42). 하지만 그리스도교 원공동체의 탄생은 새로운 시작을 의미했고, 곧바로 그들 사이에 적지 않은 분란이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이를 처음으로 보도하는 장면이 사도행전 6장에 등장합니다.
“그 무렵 제자들이 점점 늘어나자, 그리스계 유다인들이 히브리계 유다인들에게 불평을 터뜨리게 되었다. 그들의 과부들이 매일 배급을 받을 때에 홀대를 받았기 때문이다”(사도 6,1).
로마 제국아래 놓이게 된 유대계 그리스도인들 사이에도 서로 다른 언어 사용으로 인해 소통의 문제가 생기자 자연스럽게 분란이 생겼습니다. 사도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들 사이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봉사자를 뽑게 됩니다.
“우리가 하느님의 말씀을 제쳐 놓고 식탁 봉사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그러니 형제 여러분, 여러분 가운데에서 평판이 좋고 성령과 지혜가 충만한 사람 일곱을 찾아 내십시오. 그들에게 이 직무를 맡기고, 우리는 기도와 말씀 봉사에만 전념하겠습니다”(사도 6,2-4).
사도행전 6장을 통해 그리스도교 첫 직무에 해당되는 “사도직”은 “기도와 말씀 봉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에 생겨나게 된 “식탁봉사”의 직무는 공동체 내부의 갈등을 중재하여 공동체가 서로 갈라지지 않고 일치를 이루게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봉사자의 선출은 공동체의 사람들의 의견이 적극 반영되었습니다. 이는 그리스도교 원공동체가 하느님 나라로 가는 지상 여정에 필요했던 봉사자를 선출하는 과정에서 이미 교회의 의사결정 방식(Synodalitas, 함께 걸어가는 길)이 존재했다는 것을 잘 알려줍니다.
[2025년 4월 20일(다해) 주님 부활 대축일(장애인의 날) 가톨릭마산 8면, 이승언 토마스 아퀴나스 신부]
-
추천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