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GOOD NEWS 자료실

검색
메뉴

검색

검색 닫기

검색

오늘의미사 (홍) 2024년 11월 22일 (금)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 기념일너희는 하느님의 집을 ‘강도들의 소굴’로 만들어 버렸다.

신앙생활

sub_menu

7성사ㅣ 준성사
[세례성사] 주님 세례 축일에 알아보는 물과 세례, 세례공간

311 주호식 [jpatrick] 스크랩 2020-01-12

주님 세례 축일에 알아보는 물과 세례, 세례공간


‘생명의 원천’ 물로 세례… 하느님 자녀로 다시 태어나

 

 

“예수님께서는 세례를 받으시고 곧 물에서 올라오셨다. 그때 그분께 하늘이 열렸다.”(마태 3,16)

 

물에서 올라온 예수에게 하늘 문이 열리고, 예수가 하느님의 아들이라는 신원이 밝혀졌다. 주님 세례 축일은 예수가 요한에게 세례 받은 것을 기념하는 날이며, 세례 성사의 기원도 여기에 있다.

 

곧 예수가 요한에게 세례를 받을 때 하늘에서 들려오는 음성을 통해 하느님의 아들임이 계시됐고, 성령이 비둘기 모양으로 내려와 파견됐다. 또한 예수의 세례는 죄로 물든 인간들과 맺은 유대 관계를 표명한 것이며, 물의 세례를 통해 죄를 사하는 힘을 부여했다.

 

이처럼 물은 하느님 안에서 새롭게 태어나는 세례의 본질적 요소다. 성경과 교회 전통 안에서 생명을 상징하는 물의 의미를 살펴보고, 세례가 이뤄져 온 공간들을 알아본다.

 


물–생명의 상징

 

 

물은 태초부터 생명과 풍요의 원천이다. 교회는 노아의 방주 사건을 세례를 통한 구원의 표징으로 보았고, 홍해를 건너 해방된 이스라엘 백성은 ‘세례 받은 새 백성’의 모습을 미리 보여준다. 또한 이스라엘 백성이 요르단강을 건넘으로써 약속된 땅을 선물로 받았는데, 이는 세례로써 영원한 생명을 상속 받은 것을 뜻한다. 아울러 구약성경 안에는 물로 부정을 씻는 예식에 대한 전통도 나타난다. 특히 정화 예식은 바빌론 유배 이후부터 예수 시대에 이르기까지 계속됐으며, 회당에서는 이를 위한 시설도 마련됐다.

 

구약의 모든 사건들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실현되듯이, 물의 생명성도 예수가 요한에게 세례를 받을 때 절정에 이른다.

 

이때 나오는 세례를 뜻하는 그리스어 ‘밥토’(bapto), ‘밥티조’(baptizo)는 사전적으로 ‘물에 넣다’, ‘물속에 잠그다’라는 의미가 있다. 즉 기본적으로 세례는 ‘담그다’라는 말을 의미한다. 또한 ‘씻는다’는 말도 의미하는데, 이는 죄의 얼룩을 제거하며, 생명의 원천인 물로 상징화된 그리스도의 새로운 생명을 나타낸다.

 

서울 주교좌명동대성당의 성세대(세례대). 앞쪽에서 제대를 바라보고 오른쪽에 설치됐다. 높이 85cm, 너비 2m 50cm의 현재 배치된 세례대는 대리석으로 제작됐고, 하부와 상단은 전통 형태인 8각형이다. 덮개는 나무로 제작됐다. 1898년 제작된 최초의 세례대는 목재로 만든 것으로 현재는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에 이전돼 보관 중이다.

 

 

물과 세례

 

물을 통해 받은 예수의 세례는 하느님의 자녀로 다시 태어나는 오늘날 세례성사의 기원이 된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는 1213항에서 세례성사에 대해 “그리스도교 생활 전체의 기초이며, 성령 안에 사는 삶으로 들어가는 문이고, 다른 성사들로 들어가는 길을 여는 문이다”며 “세례는 물로써 말씀으로 다시 태어나는 성사”라고 정의한다. 이 외에도 사도 바오로는 세례는 성령을 통해 이뤄지며, 죄인을 깨끗하고 거룩하게 하는 목욕이라고 말한다.

 

이처럼 물은 세례성사가 유효할 수 있는 본질적 요소다. 교회법 849조에는 “성사들의 문이고 구원을 위하여 실제로나 적어도 원의로 받는 것이 필요한 세례는 합당한 말의 형식과 함께 물로 씻음으로써만 유효하게 수여된다”고 명시한다.

 

 

세례 형식

 

세례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세례성사가 유효할 수 있는 본질적 요소로서 물로 씻는 예식인 수세(水洗)와 세례성사는 아니지만 세례의 효과를 갖는 화세(火洗)와 혈세(血洗)가 있다. 여기서 세례성사의 본질적 요소인 물을 통한 세례는 전통적으로 세 가지 방법 가운데 하나로 거행됐다.

 

초기 교회부터 시작해 교부 시대에는 온몸이나 머리를 물에 잠그는 침수세례(baptismal immersion)가 일반적이었고, 물을 이마에 붓는 주수세례(baptismal affusion)도 이뤄졌다. 살수세례(baptismal aspersion)도 있는데, 이는 베드로 사도가 3000명의 군중에게 물을 뿌려 세례를 베풀었을 때 했을 것으로 여겨지는 형식이다. 교회가 여러 지역으로 확장되고 유아세례가 보편화됨에 따라 주로 주수세례가 거행됐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 출간된 「세례 예식서」에는 물에 잠그는 예식이나 물을 붓는 예식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세례 공간

 

오늘날은 이마에 물을 붓는 주수세례가 일반적이지만, 물을 본질적 요소로 갖는 세례성사의 특별함 때문에 초대교회부터 신자들은 세례를 위한 공간을 따로 마련하고 세례성사를 거행해 왔다. 세례를 위한 공간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 세례당(Baptistery)

 

‘세례당’은 ‘세례소’라고도 불리며, 세례성사 거행을 위한 곳으로 성당과 분리돼 단독으로 지어진 건물 또는 성당 건물의 부속 공간을 말한다. 초기 그리스도교 전례에서 세례성사는 매우 중요하고 장엄한 예식으로 여겨졌다. 또한 그리스도교로 개종하는 이방인이 급격히 증가하고 성찬례에 예비 신자들이 참여하지 못했기 때문에 세례당이라는 독립적인 건축물이 등장했다. 하지만 유아 세례의 등장과 발전에 따라 세례당의 필요성이 줄어들어 사라지는 추세를 보였고, 오늘날의 세례당은 매우 간소화된 형태로서 세례대로 대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세례반(Font)

 

1~3세기에는 침수세례가 보편적이었다. 따라서 세례는 흐르는 물이 있는 강가나 샘, 바다 등지에서 거행됐다. 세례반과 세례터는 물리적으로 물을 보관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곳이다. 보통 세례반은 죽음으로 내려가는 것을 상징해 땅 밑으로 낮췄다. 소아시아 교회를 중심으로 발전한 세례반은 세례를 받는 이들에게 적합하도록 계획됐다. 즉, 성인용은 바닥보다 낮았으며, 유아용은 바닥보다 높게 만들어졌다. 예비신자가 세례반 가운데 들어가 무릎을 꿇고 앉으면 사제가 머리에 물을 부으며 세례 예식을 거행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제주 주교좌중앙본당이 유일하게 이동식 세례반을 설치하고 침수세례를 거행하고 있다.(김진태 신부(수원교구) 박사학위 논문 참조)

 

▲ 세례대(Baptismal Font)

 

세례대는 세례수를 담아 보관해 두는 받침이 있는 큰 그릇을 일컫는다. ‘성세대’라고도 하는 세례대는 유아 세례가 보편화되면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아기의 몸이 물에 잠길 정도의 깊이로 만들어진 것이 특징이다. 주례자가 세례 받는 이의 이마에 세례수를 부으면 세례대 안으로 흘러내리게 계획됐다. 또한 세례대와 세례반에는 별도의 배수관을 만들어 일반 물과 섞이지 않고 지면으로 스며들게 했다. 우리나라에는 서울 주교좌명동대성당과 서울 혜화동성당, 대구 주교좌범어대성당 등에 세례대가 설치돼 있다.

 

「가톨릭교회 세례 공간의 역사적 고찰」을 써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건축학 박사학위를 받은 김진태 신부(수원교구 국내연학)는 논문에서 “한국교회는 지난 30년간 교세가 급속도로 확장됐으나 세례 전례의 간소화로 인해 교회 내 세례의 중요성은 점차 소실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가 열악한 환경에서도 세례 공간의 중요성을 유지하려고 노력했던 것처럼 신학적 은유와 상징성을 담을 수 있는 공간으로서 세례 공간의 복원 및 계획에 힘써야 한다”고 밝혔다.

 

[가톨릭신문, 2020년 1월 12일, 박민규 기자]


0 5,138 0

추천  0

TAG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로그인후 등록 가능합니다.

0 / 500

이미지첨부 등록

더보기
리스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