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GOOD NEWS 자료실

검색
메뉴

검색

검색 닫기

검색

오늘의미사 (백) 2024년 4월 16일 (화)부활 제3주간 화요일하늘에서 너희에게 참된 빵을 내려 주시는 분은 모세가 아니라 내 아버지시다.

가톨릭문화

sub_menu

성인ㅣ순교자ㅣ성지
[순교자] 하느님의 종 133위 약전: 이육희 · 김흥금 · 김장복 · 안치룡

1825 주호식 [jpatrick] 스크랩 2019-06-10

‘하느님의 종 133위’ 약전 (9) 이육희 · 김흥금 · 김장복 · 안치룡

 

 

이육희(?~1802)

 

이육희는 1801년 순교한 유관검의 아내로 전주 초남이에서 살았다. 순교자 유항검(아우구스티노)은 그의 아주버니이고, 신희는 동서이다.

 

이육희는 1784년 한국 교회 설립 직후 아주버니인 유항검을 통해 신앙을 받아들였다. 남편의 교회 활동을 열심히 뒷바라지했고, 1795년 초남이를 방문한 주문모 신부에게 성사도 받았다. 

 

그는 1801년 10월 22일 신희를 비롯한 유항검의 남은 가족과 함께 체포돼 전주 옥에 갇혔다. 그는 전주 감영에서 갖은 문초와 형벌에도 굴하지 않고 신앙을 지키며 옥살이를 했다. 

 

조정은 이육희와 동서 신희, 신희의 맏며느리 이순이(루갈다)를 함경도 각처의 관비로 보내라는 명을 내렸고, 이들은 그해 11월 18일 유배지로 떠났다. 

 

이육희는 이에 앞서 관리에게 “우리는 천주를 공경합니다. 그러니 나라의 법률에 따라 처형해 주십시오. 우리 모두는 천주를 위해 죽기를 원합니다”라고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런데 이들이 유배지로 향하던 도중 관아에서 아이들을 제외한 어른들은 다시 전주로 회송하도록 했고, 이에 따라 다시 전주로 끌려와 투옥됐다. 이후 이육희와 가족들은 다시 문초와 형벌을 받고, 1802년 1월 31일 모두 전주 숲정이 형장에서 참수형으로 순교했다.

 

 

김흥금(1765~1815)

 

김흥금은 충청도 홍주 출신으로 일찍이 아내와 사별하고 장복과 작단 두 남매를 기르며 홀아비로 살았다. 그는 1801년 교리를 배워 실천하기 시작했는데 너무 가난해 자식들을 데리고 연풍 교우촌으로 이주해 살 수밖에 없었다. 

 

연풍으로 이주한 지 얼마 되지 않아 포졸들이 교우촌을 급습하자 그는 자식들을 데리고 경상도 진보 땅으로 피신했다. 그는 그곳에서 자식들에게 교리를 가르치고 함께 열심히 신앙을 실천했으며, 자신보다 더 어려운 이들을 위해 즐겨 갖가지 자선을 베풀었다. 

 

1815년 을해박해가 경상도 북부 교우촌에 불어 닥쳤다. 김흥금과 교우촌 신자들은 체포돼 안동 관아로 압송됐다. 이곳에서 이들은 혹독한 문초와 형벌을 받고, 대구 감영으로 이송돼 다시 고문을 받았다. 이 때문에 김흥금의 딸 작단은 마음이 약해져 배교하고 석방됐지만, 김흥금과 아들 장복은 끝까지 신앙을 지켜냈다. 이들 부자가 세례를 받은 것도 이 무렵이었다. 김흥금은 1815년 12월 26일 대구 감영 옥에서 병사했다.

 

 

김장복(1797~1815)

 

김장복은 충청도 홍주 출신으로 순교자 김흥금의 아들이다. 그는 여동생과 함께 부친에게서 교리를 배워 열심히 신앙을 실천했다. 

 

1815년 을해박해 때 아버지와 여동생과 함께 체포된 그는 안동 관아를 거쳐 대구 감영으로 압송돼 혹독한 문초와 형벌을 받았다. 그는 대구 감영 옥에서 1815년 12월 26일 아버지 김흥금과 함께 순교했다. 당시 그의 나이 18세였다.

 

 

안치룡(1766?~1816?)

 

안치룡은 충청도 보은 출신으로 교우들 사이에서 ‘안 첨지’라 불렸다. 그는 윤필영에게서 교리를 배워 입교해 청송 노래산 교우촌에서 신앙생활을 했다. 

 

1815년 을해박해 때 밀고자를 앞세운 박해자들이 노래산 교우촌을 습격했다. 이때 안치룡은 최봉한(프란치스코), 서석봉(안드레아), 구성열(바르바라), 고성대(베드로) 등과 함께 체포돼 경주 관아로 압송됐다. 

 

그는 경주 관아에서 갖은 문초와 형벌을 받은 뒤 대구 감영으로 이송됐다. 경상 감사는 그가 갖은 고문에도 배교하지 않자 “안치룡은 어리석고 무식한 무리로, 귀로 듣고 입으로 외워 천주 교리를 깊이 믿었으며, 여러 차례 형벌을 받았지만 죽기를 맹세하고 뉘우치지 않습니다”라며 조정에 처벌을 요청했다. 

 

안치룡은 형벌을 이겨내지 못하고 1815년 12월 26일 옥중 사망했다. 그의 나이 약 50세였다.

 

[가톨릭평화신문, 2019년 6월 9일, 정리=리길재 기자]


0 1,591 0

추천  0

TAG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로그인후 등록 가능합니다.

0 / 500

이미지첨부 등록

더보기
리스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