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19일 (금)
(백) 부활 제3주간 금요일 내 살은 참된 양식이고 내 피는 참된 음료다.

교육ㅣ심리ㅣ상담

[상담] 하느님 안에서 기쁨 되찾기: 공감 능력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18-04-30 ㅣ No.830

[하느님 안에서 기쁨 되찾기] 공감 능력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질문

 

현대 사회에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공감 능력이라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런데 저는 다른 사람의 일에는 별로 감흥이 느껴지지 않아 제가 공감 능력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거나 일에 별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 같지만, 어쩐지 외롭고 기쁨이나 즐거움을 잘 느끼지 못하는 듯해 불안합니다.

 

 

답변

 

기본적으로 공감(Empathy) 능력은 건강한 대인관계를 할 수 있도록 돕고, 사회적인 이해 능력을 높여주며, 이타적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인간관계에서 공감 능력이 부족하면 타인의 입장에 대해서 생각하질 못하고, 자신이 경험하지 못한 아픔이나 기분을 느낄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해 심각한 관계상의 소외나 단절의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아마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왕따’ 문제도 이러한 상호 간 공감의 부재 때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이솝 우화에 ‘양치기 소년’이라는 유명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양치기 소년이 장난삼아 “늑대가 나타났다”고 거짓말을 두어 번 하는 바람에 진짜 늑대가 나타났을 때는 마을 사람들이 양을 구하러 가지 않았다는 내용입니다. 사람이 자꾸 거짓말을 하면 나중에 진실을 말해도 타인이 믿지 않게 된다는 교훈을 담고 있는 우화입니다.

 

그런데 양치기 소년은 거짓말 때문에 마을사람들로부터 신뢰를 잃었지만, 문제는 마을 사람들도 아끼던 양을 늑대에게 잃어버리고 말았다는 것입니다. 마을 사람들이 양치기 소년의 장난과 진짜 늑대가 나타났을 때 마을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했던 순간을 구분하지 못한 게 문제였던 것 같습니다. 만약에 마을 사람들이 양치기 소년의 처지가 되어보고 그 소년이 홀로 초원 위에서 하루 종일 양만 지키고 있다 보니 그 일이 얼마나 무료한 일인지, 소년이 느끼는 감정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소년에게 필요한 게 무엇인지를 공감해주었더라면 그 결과는 어떻게 달라졌을지 생각해 봅니다.

 

양치기 소년도 늑대에게 빼앗긴 양이 마을 사람들에게 얼마나 소중한 자산이었는지를 생각해볼 수 있어야 했겠지요. 물론 소년에게 그 정도의 공감 능력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요. 어쨌거나 상호 간의 공감 능력의 부족은 이렇게 개인에게도 타자에게도 손해인 것은 분명한 듯합니다.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의 심리학 교수 리처드 보이애치스와 펜실베니아대 교수 애니 맥키는 저서 「공감 리더십」에서, 리더들이 조직을 조화롭게 이끌기 위해서는 깨어 있는 마음과 희망, 공감과 같은 ‘부드러운’ 요소들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조직 내의 인간관계에서 감성의 끈을 연결하는 공감이 리더들의 ‘파워 스트레스(Power Stress)’의 부정적 효과도 극복할 수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개인이 타인에 대해 ‘지리적으로 가까운 근접성, 상대방의 태도에 대한 유사성, 상호 호감의 정도, 그리고 신체적 매력’이 증가할수록 호감행동(liking)이 증가한다고 합니다. 그러니 타인에 대한 공감도 상대방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분명히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개인의 경험의 차이는 여러 다양성을 만들기 때문에 상대방의 감정과 가치, 태도, 행동을 모두 공감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감 능력이 좋은 인간관계를 맺기 위한 핵심요인이라고 한다면, 타인의 삶과 경험에 대해서 좀 더 귀를 기울이고 그들의 입장에서 공감을 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옛말에 ‘남에 대해 이야기를 하려면 그 사람의 신발을 신고 일주일은 걸어보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누군가를 진정 공감해보기를 바란다면, 오늘부터 그들의 신발을 신고 일주일을 다녀보시면 어떨까요?

 

※ 질문 보내실 곳 : [우편] 04996 서울특별시 광진구 면목로 32 [e-mail] sangdam@catimes.kr

 

[가톨릭신문, 2018년 4월 29일, 황미구 원장(상담심리전문가 · 헬로스마일 심리상담센터장)]



1,907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