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0일 (토)
(백) 부활 제3주간 토요일(장애인의 날) 저희가 누구에게 가겠습니까? 주님께는 영원한 생명의 말씀이 있습니다.

성인ㅣ순교자ㅣ성지

[순교자] 하느님의 종 133위 약전: 김범우 토마스 · 이승훈 베드로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19-04-17 ㅣ No.1807

‘하느님의 종 133위’ 약전 (2) 김범우 토마스 · 이승훈 베드로

 

 

김범우(토마스) - 1784년 이승훈에게 세례 받아, 명례방 집을 집회소로 제공

 

김범우(토마스, 1751~1786?)는 중인 역관 출신으로 서울 명례방(현 서울 명동)에서 태어나 자랐다. 124위 복자 가운데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한 김이우(바르나바)와 김현우(마태오)가 그의 이복동생들이다. 또 정약용(요한) 형제들과 먼 인척이었다. 이 때문에 김범우는 중인이지만 이벽(요한 세례자), 권일신(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이승훈(베드로) 등과 가까웠다. 그는 이벽에게서 가톨릭 교리를 배웠고, 1784년 겨울 이승훈에게 세례를 받았다. 

 

그는 입교 후 신자 모임에 적극 참여해 1784년 말에서 1785년 봄까지 자신의 명례방 집을 신자들의 집회소로 제공했다. 

 

1785년 봄, 김범우는 자신의 명례방 집에서 이벽의 주도하에 신앙 집회를 열다 형조 관원들에게 체포됐다. 이를 을사추조적발사건이라 한다. 의금부로 압송된 이들 가운데 양반들은 모두 훈방됐으나 중인인 그는 형조판서 앞에서 문초를 받았다. 그는 거듭된 강요와 형벌에도 배교하지 않고 신앙을 증거해 결국 유배지에서 노역하는 ‘도배형’(徒配刑)에 처해졌다.

 

김범우는 충청도 단양 유배지에서 큰 소리로 기도하고, 교우들을 가르치는 등 공공연하게 신앙생활 실천했다. 그러다 형벌로 생긴 상처 때문에 몸이 약해져 1786년(또는 1787년)에 선종했다. 선종 뒤 김범우의 시신은 가족들이 수습해 그들이 이주해 살던 경상도 밀양에 안장했다.

 

 

이승훈(베드로) - 조선의 첫 영세 가톨릭 신자, 1801년 서소문 밖에서 참수형

 

이승훈(베드로, 1756~1801)은 서울 약현(현 서울 중림동)에서 태어났다. 1868년 순교한 이신규(마티아)와 이재의(토마스)가 그의 아들과 손자이다. 

 

이승훈은 천주 신앙에 대해 알기 전부터 집안에 있던 한역서학서를 읽었고, 특히 서양 수학에 관심이 많았다. 그러던 중 1783년 말 부친을 따라 북경에 가게 됐고, 북당을 찾아가 예수회 그라몽 신부에게 교리를 배워 ‘베드로’라는 세례명으로 영세했다. 조선의 첫 번째 가톨릭 신자로 귀국한 그는 서울 수표교 이벽의 집에서 이벽, 권일신, 처남 정약용 등에게 세례를 주고 첫 신앙 공동체를 일구었다. 

 

이승훈은 1785년 봄 을사추조적발사건으로, 1787년에는 성균관 앞 반촌에서 정약용 등과 함께 교회 서적을 연구하다 발각돼 곤욕을 치렀다. 또 1791년 윤지충(바오로)과 권상연(야고보)이 제사를 폐하고 신주를 불태운 ‘진산사건’으로 체포돼 문초를 받고 관직을 잃었다. 

 

이승훈은 1786년 동료들과 함께 ‘가성직제도’를 만들어 1년간 신부로 활동하다 잘못을 깨닫고 성직자 영입 운동을 펼쳐 중국인 주문모 신부를 입국시켰다. 1795년 이 사실이 발각돼 그는 충남 예산으로 유배됐다. 그리고 1801년 신유박해가 일어나자 이승훈은 ‘천주교의 우두머리’로 지목돼 3월 23일 체포돼 의금부에서 여섯 차례 문초와 형벌을 받고 4월 8일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으로 순교했다.

 

[가톨릭평화신문, 2019년 4월 14일, 리길재 기자]



2,261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